맥도날드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맥도날드 마케팅전략 분석과 맥도날드 글로벌전략및 성공사례연구 및 나의의견정리 보고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맥도날드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맥도날드 마케팅전략 분석과 맥도날드 글로벌전략및 성공사례연구 및 나의의견정리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맥도날드 기업소개
2. 맥도날드의 기업히스토리
3. 맥도날드의 기업정신 ‘QSC&V’

Ⅱ. 본론
1. 맥도날드 SWOT 분석
2. 맥도날드 마케팅 4P전략
(1) 제품전략 (Product)
(2) 가격전략 (Price)
(3) 유통전략 (Place)
(4) 촉진전략 (Promotion)

3. 맥도날드의 해외진출 글로벌전략
(1) 포지셔닝 전략
(2) 현지화 전략
(3) 서비스전략
(4) 품질전략
(5) 맥도날드 인도시장 진출 성공사례분석

Ⅲ. 결론 및 나의의견
1. 최종결론
2. 나의의견

본문내용

불편 사항을 본사에 전달하고 있으며, 어떤 매장은 어린이 고객들을 위해 놀이시설을 설치하기도 하였다. 즉, 맥도날드가 생각하는 서비스는 음식을 제공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 작은 즐거움과 행복이 되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4) 품질전략
맥도날드는 고유의 품질과 위생관리를 보장하기 위해 철저한 품질 안전도 유지 시스템 (Food Safety System)을 운영하고 있다. 즉 맥도날드의 각 제품은 해당 국가의 식품안전 위생기준을 모두 통과하는 것은 물론이며, 어떠한 원재료라도 엄격한 자체 품질검사를 통과해야만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다. 고기는 매장에 배달되기 전까지 최소한 40가지 이상의 품질 검사를 거치며 냉동 배송 절차를 통해 가장 안전하게 관리된다. 매장에서도 항상 영하 18도 이하에서 냉동 저장되는지 시간별로 확인하고 있으며, 냉장보관 제품들도 1차, 2차 유효 기간으로 나눠 철저히 유효기간을 지키고 있다. 이렇듯 위생에 대한 안정성의 보장에 대해 강조를 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믿고 살 수 있게 하였다.
(5) 맥도날드 인도시장 진출 성공사례분석
맥도날드사에서 시행했던 글로벌 전략은 무수히 많지만 인도에서 사용했던 전략을 예로 들면 표준화와 현지화 전략을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인도에서 맥도날드가 사업을 시작한 것은 1996년이었다. 인도는 12억 4000만의 인구에 중산층만도 약 2억 명에 이른다. 하지만 맥도날드가 인도에 진출하면서 문화적 차이로 큰 어려움을 겪었다. 인도의 힌두문화는 수천 년 동안 암소를 숭배해오고 있다. 힌두교에서는 암소는 성스러운 어머니의 상징이었다. 암소는 농사를 짓는 쟁기를 끄는 수소를 낳고, 요구르트와 버터의 원료가 된다. 또한 암소의 오줌은 전통적인 힌두 의술에서 중요하게 쓰이며, 분변은 연로로 사용된다. 인도에는 약 3억마리의 암소가 있다. 인도 인구의 약 80%를 차지하는 힌두교도는 소고기를 먹지 않는다.
소를 숭배함 소고기를 먹지 않는 힌두교도가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나라에, 세계 최대의 소고기 소비 기업인 맥도날드가 진출한 것이다. 1955년 설립 이래 맥도날드로 인해 희생된 소는 수도 없다. 소고기로 성공한 기업이 소고기를 먹는 것이 큰 죄가 되는 나라에 진출하는 것이 가능한가. 더구나 돼지고기를 사용하려 해도 인도에는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 이슬람교도가 약 1억 4000만명이나 된다. 결국 맥도날드는 닭고기와 양고기를 사용한 인도판 ‘빅맥’을 만들었고 힌두교도에 채식주의자가 많은 점을 고려하여 채식주의자 식사와 비채식주의자 식사를 엄격히 구분하였다. 메뉴의 75%가 인도용으로 새로이 만들어졌다.
이런 노력에 불구하고, 맥도날드는 2001년 불의의 일을 당하게 되었다. 시애틀에 사는 3명의 인도인 기업인이 맥도날드를 상대로 집단 소송을 제기한 것이다. 이들은 “맥도날드가 프렌치프라이에 소고기를 사용하고 잇다는 것을 고의로 은폐하고 있다.”고 제소하였다. 맥도날든 100% 식물성기름을 사용하여 프렌치프라이를 조리하고 있다고 하였지만, 결국 기름 중에 미량의 소고기 엑기스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인정한 맥도날드는 1000만 달러로 화해하고 다음과 같은 사과문을 발표하였다. “맥도날드는 미국 내 점포에서 고객이 충분히 이해하고 음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하는 것을 태만히 하였음을 힌두교도와 채식주의자를 포함한 고객 여러분에게 진심으로 사과합니다.”
또한 맥도날드는 음식의 성분표시를 개선함과 동시에 조리 기름에 포함되었던 소고기 엑기스를 대체할 것을 약속하였다. 그런데, 이에 그치지 않고 인도에서 힌두교도 민족주의자들이 델리 시가에서 맥도날드 점포를 습격하고 시위를 하였다. 그리고 인도 수상에게 맥도날드 점포의 폐쇄를 요구했다.
이에 굴하지 않고 맥도날드는 2012년에 무모할 정도로 종교 성지 옆에 순례자들을 위한 맥도날드 매장을 또다시 만들었다. 성지를 순례하는 사람들이니 만큼 신앙심이 클 것이며 당연히 고기는 먹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이 맥도날드 매장은 살아남았다. 왜냐하면 채식 전용 맥도날드였기 때문이다. 여기에 들어가는 패티는 고기가 아닌 당근, 감자, 완두콩으로 만든 ‘맥베지’를 넣었다. 이 매장은 미국의 표준화된 매장처럼 영업하지 않았다. 철저히 인도의 문화를 이해한 제품을 내놓은 것이다. 즉, 맥도날드는 이전에 인도에서의 현지화에 실패했음에도 불구하고 빠르게 자사의 잘못을 인정하고 수정하여 성공적으로 인도에서 맥도날드가 자리 잡을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맥도날드는 철저한 현지화 전략에 성공한 것이다.
Ⅲ. 결론 및 나의의견
1. 최종결론
세계 최대의 패스트푸드 공룡 프랜차이즈 맥도날드는 2014년 3분기 순이익이 30%나 급감하는 등 수년 동안 최악 수준의 분기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거의 모든 주요 사업 부문이 문제를 안고 있다는 지적을 외부로부터 받으며, 세계 최대 레스토랑 체인 맥도날드는 아시아와 유럽, 무엇보다 홈그라운드인 미국에서 매출이 감소해 고전하고 있다. 맥도날드는 바쁜 시간대에 직원을 충원하는 등 매장서비스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한편 2년도 안돼서 미국 사업부 대표를 두 차례나 교체하는 등 경영진 개각도 단행했지만, 매출이나 이익을 끌어올리는데는 역부족이었다.
그 이유는 갈수록 복잡해지는 메뉴 때문에 서비스가 더뎌지고, 든든한 지지기반이었던 젊은 층이 맞춤화 주문과 신선한 재료를 내세운 치폴레와 파이브 가이스 같은 패스트캐주얼 체인으로 이동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사실, 맥도날드는 글로벌 경기침체라는 어두운 터널 속에서도 고속질주를 거듭했다. 하지만 이제 글로벌 경기침체보다 더 큰 장애물이 생겼고 그것은 소비자 구매패턴의 변화와 디지털 시장의 급속한 발전이라는 것이다. 즉, 완전히 다른 차원의 문제가 직면한 것이다.
결국, 돈 톰슨 맥도날드 최고경영자(CEO)는 2015년 1월부터 인기제품 중심으로 메뉴를 간소화하고 미국 내 21개 지역 지부에 제품 출시와 관련한 더 많은 자율권을 부여할 계획이라고 밝혔고, 2015년 3분기에는 일부 시장에서 맞춤화 주문 및 모바일 결제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맥도날드는 최근 론칭한 고객질문응답 소셜 미디어 캠페인과 일부 시장에서
  • 가격4,2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5.09.11
  • 저작시기201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11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