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영화의 이해 (네 멋대로 해라) : 본 교재 “영화의 역사” 부분(2장, 3장, 4장)에서 언급되고 있는 영화들 중 한 편을 보고, 그 영화의 영화사적 의미와 개인적인 평가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중영화의 이해 (네 멋대로 해라) : 본 교재 “영화의 역사” 부분(2장, 3장, 4장)에서 언급되고 있는 영화들 중 한 편을 보고, 그 영화의 영화사적 의미와 개인적인 평가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누벨바그 영화의 발생원인
2. ‘네 멋대로 해라’의 영화사적 의미
1) 누벨바그 영화의 대표작 : 영화적 실험 시작(1959~1967)
2) ‘네 멋대로 해라’의 주요 특징
3. ‘네 멋대로 해라’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III.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격리된 영화계에 기술자, 창작의 협력자, 촬영기사, 시나리오 작가의 새로운 세대를 끌어들여 시나리오로부터 영화의 완성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선택을 근간으로 삼아 영화를 만들었다.
고다르는 기존의 영화제작방식으로부터 탈피하여 프랑수아 트뤼포나에릭 로메르, 자크 리베트 등과 같은 당시의 감독들과 함께 누벨바그 미학의 정립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그는 이 시기에 다른 누벨바그 감독과 마찬가지로 기존의 영화와 차별화를 주장하며 새로운 영화적 실천을 보여주기 위해 왕성한 창작력을 보여주었다. 그는 이 시기에 24편의 영하를 만들었다. 그는 젊음을 영화에 불사르며 다양한 형식의 영화, 드라마, 코미디, 범죄물, 로맨스, 스릴러, SF, 뮤지컬,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만들었다. 그는 첫 장편영화 \'네 멋대로 해라\'(1960)에서 형사물과 코미디, 서스펜스, 로맨스를 혼합한 장르의 영화적 실험을 시도하기도 했다. 이때 그는 연출을 하면서도 내레이터 역할로 목소리를 영화에 담거나 주연은 아니지만 단역으로 직접 출연하기도 했다 이용주, 고다르의 영화적 비전과 여정, 프랑스문화예술학회, 프랑스문화예술연구, 제31집, 2010.
.
2) ‘네 멋대로 해라’의 주요 특징
영화 \'네 멋대로 해라\'의 두 주인공은 프랑스 실존주의 시대에 유행하던 당시의 방황하는 젊은이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영화의 배경 또한 대도시인 파리의 거리로, 마치 주인공 미셸의 정신상태를 반영하는 것처럼 단절과 소외를 상징하고 있다. 미셸은 자신이 살인을 할 때도, 거리의 교통사고를 볼 때도 죽음을 대면하는 데 있어서도 지극히 무심하고 대법하기까지 하다 최유리, 누벨바그 영화에서 음악의 역할 : 고다르의 \'네 멋대로 해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이화음악논집, 18권 2호, 2014.
. 유일한 목표는 친구에게 받을 돈을 받고 사랑하는 파트리샤와 이탈리아로 떠나는 일 뿐, 그의 행동은 오로지 충동과 우연에 내맡겨져 있다. 여자 친구 파트리샤 역시 출세가 우선인 미국 여자로, 미셸과는 가벼운 육체적 친구일 뿐 진정한 의사소통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마지막 장면에서 쫓ㅈ기고 있는 미셸은 도망가는 것도 지겹고 귀찮다며 스스로 죽음을 택한다.
고다르는 틀에 얽매이지 않고 예측할 수 없는 주인공들의 행동을 통해서 전개되는 이야기를 기승전결의 논리적 구조가 아닌 새로운 파격적인 영화 언어로 이야기하고 있다. 이 영화에서의 주요 특징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주제의 선택에 있어 전통적인 영화와 다르게 진실에 가깝고 자연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즉, 주인공의 내명에서 일어나는 변화들에 의해 영화의 내러티브가 진행되며, 대도시의 거리를 배회하는 부랑아와 같이 반항적이며 즉흥적이고 우연적으로 보여준다. 고다르는 일회적이고 우연한 순간의 영상을 자연주의적 활영수법으로 담아내고 있다 조성애, 고다르의 \'네 멋대로 해라\'와 \'미치광이 삐에로\'에 나타난 공간미학, 프랑스문화예술연구, 2009.
.
둘째, 주인공 미셸이 심리상태를 테마 모티브에 함축하여 미셸의 자의식과 자발성, 그리고 그의 주관적인 감정과 정신상태를 표현함으로써 음악이 누벨바그 영화 표현방법에 일조흘 하고 있다.
셋째, 영상과 이야기에 우월성을 부여하던 기존 관습과는 달리, 영상 이미지를 포함한 영하의 구성요소(소스음악, 배경음악, 테마으악, 대사, 음향효가, 표정연기 등)들을 다양한 차원에서 영화에 도입하여 기존 영화의 위계성을 해체하고 있다.
넷째, 점프컷(jump cut)이라는 편집기술로 어느 정도 떨어진 두 사람 사이의 공간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기존의 영화관습인 시공간의 연속성을 해체하려는 의도있다.
다섯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09.22
  • 저작시기201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23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