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환자역할의 개념
2. 환자역할의 주요기능
3. 환자역할에 대한 비판
4. 낙인론적 환자역할
5. 파슨스의 환자역할과 낙인론적 환자역할의 공통점과 차이점
6. 임상에서 관찰한 환자역할(급성기와 만성기, 중산층과 빈곤층 비교)
Ⅲ. 결론
Ⅱ. 본론
1. 환자역할의 개념
2. 환자역할의 주요기능
3. 환자역할에 대한 비판
4. 낙인론적 환자역할
5. 파슨스의 환자역할과 낙인론적 환자역할의 공통점과 차이점
6. 임상에서 관찰한 환자역할(급성기와 만성기, 중산층과 빈곤층 비교)
Ⅲ. 결론
본문내용
키지 못하는 사람에게 주어지는 것이며, 손상된 역할을 가진 사람들은 회복이라는 생각 자체를 완전히 포기하고 , 자신의 조건과 의존성을 영원한 것으로 받아들이게 된다는 것을 뜻한다.
파슨스의 환자 역할을 만성질환자에게 적용이 어려운 점은 만성질환자의 경우 환자역할을 아동과 같은 의존의 대가로 그들의 가족, 직업 및 시민으로서의 책임을 면제 당하고 싶어하지 않음으로 생각해 본다면, 사실상 이러한 면제사항은 만성질환자들을 지역사회 생활에 참여하고 완전한 인격체가 될 권리를 부정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물론 파슨스는 환자의 병을 사회적 역할에서 제외되는 이상 상태로 규정하고 사회의 정상적 역할로 다시 복귀하는 전환 과정을 환자의 역할로 규정하였다. 파슨스는 질병을 만성적이고 지속적인 것이라기 보다 급박한 위기로 파악하고 있으며 전문가적 견해로 보고 있는 것이다. 그 외 빈곤층의 경우 의료진을 선택하는 의무를 잘 지켜지지 않고 치유되기 위한 의무 자체보다도 경제적인 부담감이 앞선다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근래 당뇨나 고혈압과 같은 일상생활이 가능한 사회에서 면제가 불필요한 만성질환이 늘어가고 있고 사고로 인한 장애로 재활 치료만이 가능한 경우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리고 빈곤층의 경우 환자역할 자체가 환자 스스로 받아들여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자신의 질환보다는 경제적 상황으로 치료를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고찰의 결과로 파슨스의 환자역할의 이론이 선별적인 적용은 되지만 전반적인 환자 상황에 적용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인류라는 종이 존재하는 한, 더 정확히 표현하자하면 인류가 질병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않은 한 앞으로도 계속 존재할 환자역할이다. 그러나 이 환자역할은 그 자체로 절대적인 관계가 아니며, 그 관계의 성립을 가능케 만드는 제반 조건들의 변화에 따라 다른 양상을 취하게 된다. 그러기에 의료계와 환자의 관계가 의료의 핵심적인 부분을 이룬다는 사실에는 변화가 없으나 실제로 그것이 취하게 되는 모습은 그것이 놓이는 역사적,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다양한 사회적 역사적 변화에 따른 환자의 입장에 대한 많은 고민과 연구가 따라야 된다고 결론을 내린다.
참고자료
1. 정경균외 4인, 보건사회학, 서울대학교출판부,1998, 자료1
2. 니키하트저, 엄영진, 문창진 역, 보건과 의료의 사회학, 열음사. 1991, 자료2
3. 르네이 C. 팍스, 조해인 역, 의료의 사회학, 도서출판 나남,1993, 자료3
4. 곤도히소시,강신익 역, 환자와 의사의 인간학, 도서출판 장락,1995
5. 문창진 외 4인,「보건사회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6. 홍여신, 김영일,「간호학특론」, 서울;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1996
7.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 교실 최영 http://chonnam.ac.kr
8. 보건연구센타 http://www.richis.org/
9. 구미옥, 이은옥, 건강신념모델과 한국인 만성 질환자의 환자역할 행위 Health Belief Model and Sick Role Behavior of Korean Chronic ill Patients, 대한간호, 1990, 29(3) P.49-63
10. 박정숙,한국문화에 따른 간호정립을 위한 기초조사연구Ⅰ [전통적인 인간관과 혼자역할 기대를 중심으로] A Survey for the Construction of Nursing Theory According to Korean Culture - Traditional View of Human and Expectation of Sick Role, 간호학회 지,1996, 26(4) P.782-798
파슨스의 환자 역할을 만성질환자에게 적용이 어려운 점은 만성질환자의 경우 환자역할을 아동과 같은 의존의 대가로 그들의 가족, 직업 및 시민으로서의 책임을 면제 당하고 싶어하지 않음으로 생각해 본다면, 사실상 이러한 면제사항은 만성질환자들을 지역사회 생활에 참여하고 완전한 인격체가 될 권리를 부정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물론 파슨스는 환자의 병을 사회적 역할에서 제외되는 이상 상태로 규정하고 사회의 정상적 역할로 다시 복귀하는 전환 과정을 환자의 역할로 규정하였다. 파슨스는 질병을 만성적이고 지속적인 것이라기 보다 급박한 위기로 파악하고 있으며 전문가적 견해로 보고 있는 것이다. 그 외 빈곤층의 경우 의료진을 선택하는 의무를 잘 지켜지지 않고 치유되기 위한 의무 자체보다도 경제적인 부담감이 앞선다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근래 당뇨나 고혈압과 같은 일상생활이 가능한 사회에서 면제가 불필요한 만성질환이 늘어가고 있고 사고로 인한 장애로 재활 치료만이 가능한 경우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리고 빈곤층의 경우 환자역할 자체가 환자 스스로 받아들여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자신의 질환보다는 경제적 상황으로 치료를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고찰의 결과로 파슨스의 환자역할의 이론이 선별적인 적용은 되지만 전반적인 환자 상황에 적용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인류라는 종이 존재하는 한, 더 정확히 표현하자하면 인류가 질병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않은 한 앞으로도 계속 존재할 환자역할이다. 그러나 이 환자역할은 그 자체로 절대적인 관계가 아니며, 그 관계의 성립을 가능케 만드는 제반 조건들의 변화에 따라 다른 양상을 취하게 된다. 그러기에 의료계와 환자의 관계가 의료의 핵심적인 부분을 이룬다는 사실에는 변화가 없으나 실제로 그것이 취하게 되는 모습은 그것이 놓이는 역사적,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다양한 사회적 역사적 변화에 따른 환자의 입장에 대한 많은 고민과 연구가 따라야 된다고 결론을 내린다.
참고자료
1. 정경균외 4인, 보건사회학, 서울대학교출판부,1998, 자료1
2. 니키하트저, 엄영진, 문창진 역, 보건과 의료의 사회학, 열음사. 1991, 자료2
3. 르네이 C. 팍스, 조해인 역, 의료의 사회학, 도서출판 나남,1993, 자료3
4. 곤도히소시,강신익 역, 환자와 의사의 인간학, 도서출판 장락,1995
5. 문창진 외 4인,「보건사회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6. 홍여신, 김영일,「간호학특론」, 서울;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1996
7.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 교실 최영 http://chonnam.ac.kr
8. 보건연구센타 http://www.richis.org/
9. 구미옥, 이은옥, 건강신념모델과 한국인 만성 질환자의 환자역할 행위 Health Belief Model and Sick Role Behavior of Korean Chronic ill Patients, 대한간호, 1990, 29(3) P.49-63
10. 박정숙,한국문화에 따른 간호정립을 위한 기초조사연구Ⅰ [전통적인 인간관과 혼자역할 기대를 중심으로] A Survey for the Construction of Nursing Theory According to Korean Culture - Traditional View of Human and Expectation of Sick Role, 간호학회 지,1996, 26(4) P.782-79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