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인지학의 기존 형식주의 문제점 대해 새로운 대안을 제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어인지학의 기존 형식주의 문제점 대해 새로운 대안을 제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범주화
1) 가족 유사성
2) 피지성
3) 좋은 보기와 나쁜 보기
4) Rosch의 원형이론
5) 인지모형, 문화모형, 민간 모형, 전문가 모형
6) 범주의 확장

2. 은유와 환유
1) 은유란?
2) 은유의 종류
(1) 구조적 은유
(2) 지향적 은유
(3)존재적 은유
2) 환유란
3, 지각 원리
1) 모습과 배경
2) 해석
4. 문법화
1) 개념
2) 문법화에 대한 일방향성 가설
3) 탈 범주화

Ⅲ. 맺는말

본문내용

포괄적인 지식 구조가 인지 모형으로 조직화된다, 따라서 어떤 낱말의 의미는 그 낱말 자체이 언어적 의미 뿐만 아니라 그 낱말에 관련된 여러 지식 (즉 백과 사전적 지식)을 환기하고 , 그 전체의 지식 안에서 이해된다, 물론 이런 인지 모형은 인간이 속하는 사회나 문화에 의존하게 된다, Lipka를 인용하면 동양과 서양에서 책상의 원형이 다름을 쉽게 알 수 있는데, 이는 두 문화권의 전통에서 비롯된다, 즉, 책상다리를 하고 바닥에 앉아서 글을 쓰는 동양적 전통과, 의자에 앉아서 글을 쓰고 책상이 문방구의 보관 기능을 함께 갖추게 되는 서양적 전통에서 각각 원형으로 인식되는 책상의 모습이 다른 것이다, 결국 개인적인 체험에 바탕한 인지 모형뿐 아니라, 특정 문화 내 사람들이 공유하는 인지 모형 (즉, 문화 모형)이 주어진 단어 의미 메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이런 문화모형 역시 정적인 것은 아니라 사회 문화가 변하는 역시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6) 범주의 확장
고전주의 범주화에 대한 반증을 보여준 연구 성과들이 인지 언어학이 이론적 근간이 되었다, 범주에 대한 원형 이론이 언어학 연구에 맨 처음 적용된 분야는 어휘 의미론 분야였다, 예를 들어, with, up out 등가 같은 전치사의 다의성에 대한 분석에서 낱말의 여러 의미들을 구성원들로 갖는 범주를 형성하는데, 그 중에서 원형적인 의미가 있으며 주변적인 의미로 방사상으로 확장되어, 이런 의미들이 서로 얽혀 연결되는 망조직을 갖고 있다고 설명한다, 방사상, 범주, radial 이렇게 범주의 방사상 구조로 확장되는 과정은 자의적인 것이 아니고, 다음절에 소개하는 은유나 환유 같은 인지 과정이 관련된 것으로 설명된다,
2. 은유와 환유
본 절에서는 은유와 환유가 앞 절에서 다룬 범주화에 중요한 과정이며, 자의적이 아니라 인간과 신체, 사회, 문화적 경험을 토대로 하여 이루어진다는 현대적인 해석을 소개한다, 은유와 환유는 단순히 비 일상적 언어의 영역에서 시적 상상력과 수사적 장식을 위한 장치로서가 아니라 head of the departmant (학과장)이나 takes between Washing and Moscow (미소 정상 회담) 과 같은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의 일상적인 언어에 널리 퍼져있는 현상이다,
1) 은유란?
전통적으로 은유는 수사학의 전유물로 문체론이다 언어의 장식법의 일종으로 유사성을 표현하는 ‘A is like B\'에서 like 가 생략된 직유라고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인지 언어학 관점에서 은유에 대한 커다란 인식의 변화를 가져오게된 Lakoff & Johnson은 언어 자체의 기본 골격이 은유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즉 우리의 일상적인 개념 체계가 본질적으로 은유적이므로 인간의 사고를 반영하는 언어는 은유적일 수 밖에 없다는 점이다, 이점이 바로 전통적인 은유에 대한 생각과 큰 차이점이 이다, 예컨대 My father exploded라는 문장에서 ANGER 라는 추상적 감정을 우리가 구체적인 세계에서 친근하게 경험한 폭탄, 가스불, 폭죽, 등이 터지는 구체적인 것에 빗대어 표현하게 되는 일이 흔하게 일어난다, 이들이 은유라는 사실을 우리 대부분이 전혀 자각하지 못한다,
인지적 관점에서 은유는 어느 한 영역의 개념을 가지고 다른 영역의 개념을 이해하는 과정으로 여기서 구체적인 근원 영역이 되고 추상적인 것이 목표 영역이 된다,
2) 은유의 종류
(1) 구조적 은유
Lakoff & Johnson 은 어떤 개념이 다른 개념을 토대로 은유적으로 구조화되는 것을 구조적 은유라고 불렀는데, 예를 들어 개념적 은유인 가 우리의 일상적인 언어에서 다양한 표현으로 반영되어 있다는 것을 지적한다. 논의에 관한 표현들이 전쟁의 개념으로 기술되고 있는데 실제 논의를 할 때 우리는 총, 칼같은 ‘무력’이 아닌 ‘언어’로 전쟁을 하는 것이다, 우리 마음에 무의식적으로 라는 인식이 작용한 결과인 것이다,
(2) 지향적 은유
‘UP-Down\' \'in-out\' \'on-off\' \'front-back\' \'right-left\' \'deep/shallow\'등 대부분 공간의 방향과 관련된 지향적 은유는 인간이 두 다리리로 서서 전후의 방향성을 갖는 존재라는 점에서 필연적으로 인식되는 개념으로 우리는 일상적인 신체적, 문화적 경험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HAPPY IS UP 라는 개념을 UP으로, SAD IS DOWN에서 SAD는 DOWN 으로 개념화된다,
몸이 축 처지는 자세는 전형적으로 슬픔과 연결되고, 직립한 자세는 긍정적인 감정 상태와 연결된다, 그 밖에도 의식이 있는 것, 건강하고 생명이 있는것, 높은 지위, 좋은 것, 선한 것, 이성적인 것은 UP 으로, 반면 무의식적이고, 아프고, 죽은 것, 힘에 구속되는 것, 덜한 것, 낮은 지위, 나쁜 것, 감정적인 것은 DOWN 으로 은유가 성립되어 다양한 영어표현에서 나타난다, 이들은 모두 공간에 관한 우리의 기본적인 신체적, 사회적 경험이 기반이 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자의적이 아님을 알 수 있다,
(3)존재적 은유
추상적인 경험을 물체나 내용물의 경험으로 이해하는 것을 존재적 은유라고 한다, 즉 시간, 마음, 사회 현상, 감정, 사상 등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 경험을 표현하기 위해 구체적인 존재인 사물에 비유하여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물가 상승이라는 사회현상을 inflation 이라는 명사에 의해 하나이 존재물로서 파악할 수 있다,비인간적인 존재물을 인간의 특징들로 이해하는 의인화를 은유의 한 유형으로 볼수 있다,
2) 환유란
은유와 마찬가지로 환유는 전통 수사학에서 문제론의 비유법 도구중의 하나로 기술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의 인지 언어학에서 그 특성이 우리의 언어, 사고, 태도 및 행위를 구조화하는 중요한 인지 기체로 인식되고, 환유의 개념화는 우리의 경험에 바탕을 둔 것으로 파악된다, 다시 말해 환유의 개념은 자의적이지 않고 체계적이며, 단순히 언어만의 문제가 아니고, 우리가 경험하는 일상 생활의 일부라는 것이다,
환유란 사람
  • 가격1,2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10.15
  • 저작시기201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43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