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발한 프로그램의 설명 및 목표 3
1.1 개발 프로그램. – 오목 - 3
1.2 오목이란? 3
1.3 오목 with network 의 구성 3
1.4 이번 프로젝트의 목표 5
2. 프로그램 설계 및 구조 4
3. 각 조원 별 구현한 함수 설명 6
(코드는 제외하고 기능만 설명) 5
4. 구현 결과 9
4.1 서버측의 구동 화면 9
4.2 클라이언트의 연결 9
4.3 새로 게임 시작하는 화면 10
4.4 게임화면 10
4.5 전적보기화면 11
4.6 메시지보내기화면 12
4.7 승리화면 13
4.8 종료화면 13
4.8 게임방식설명화면 14
5. 후기 및 소감 15
6. Reference 16
1.1 개발 프로그램. – 오목 - 3
1.2 오목이란? 3
1.3 오목 with network 의 구성 3
1.4 이번 프로젝트의 목표 5
2. 프로그램 설계 및 구조 4
3. 각 조원 별 구현한 함수 설명 6
(코드는 제외하고 기능만 설명) 5
4. 구현 결과 9
4.1 서버측의 구동 화면 9
4.2 클라이언트의 연결 9
4.3 새로 게임 시작하는 화면 10
4.4 게임화면 10
4.5 전적보기화면 11
4.6 메시지보내기화면 12
4.7 승리화면 13
4.8 종료화면 13
4.8 게임방식설명화면 14
5. 후기 및 소감 15
6. Reference 16
본문내용
1. 개발한 프로그램의 설명 및 목표
1.1 개발 프로그램. – 오목 -
이번 컴퓨터 공학 실습 1의 term project를 위해 우리가 개발한 프로그램은 많은 사람들이 바둑 혹은 장기와 더불어서 가장 보편적으로 즐겨하는 오목 게임 프로그램이다.
1.2 오목이란?
오목이란, 흑과 백의 2명의 사람이 오목판 가로, 세로 10×10의 선으로부터 100개의 교차점에 교대로 자신의 색의 돌을 한 수씩 두어 먼저 자신의 돌 다섯 개를 가로, 세로, 대각선으로 일렬로 늘여놓은 사람이 이기는 게임이다.
간단한 규칙이면서 무척 복잡한 운과 우연 등에 지배되지 않는 수학적, 이론적인 사고 게임이다. 오목이라는 말은 `말을 5개 나란히 놓는다` 는 뜻이며, 중국에서는 격오(格五), 일본에서는 연주(連珠)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오목놓기` 라는 말을 많이 쓴다.
1.3 오목 with network 의 구성
이 오목과 더불어서, 현실에서 두 사람이 오목을 두는 것과 같이 두사람이 함께 즐길수 있도록 만들기 위해 기존의 오목 게임에 TCP네트워크 소켓을 이용하여 원거리에 위치한 상대방과도 게임을 즐길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에서 오목은 먼저 바둑판과 함께 각 자리의 x,y의 좌표값이 출력된 것을 시작으로, 사용자는 바둑알을 두고 싶은 곳의 x y 좌표값을 입력함으로써 진행된다.
게임은 새로 시작하기 및 이어서 하기가 가능하며 각각 사용자의 승패횟수를 저장하여 알려준다. 또한 게임도중에 메시지 전달을 할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1.1 개발 프로그램. – 오목 -
이번 컴퓨터 공학 실습 1의 term project를 위해 우리가 개발한 프로그램은 많은 사람들이 바둑 혹은 장기와 더불어서 가장 보편적으로 즐겨하는 오목 게임 프로그램이다.
1.2 오목이란?
오목이란, 흑과 백의 2명의 사람이 오목판 가로, 세로 10×10의 선으로부터 100개의 교차점에 교대로 자신의 색의 돌을 한 수씩 두어 먼저 자신의 돌 다섯 개를 가로, 세로, 대각선으로 일렬로 늘여놓은 사람이 이기는 게임이다.
간단한 규칙이면서 무척 복잡한 운과 우연 등에 지배되지 않는 수학적, 이론적인 사고 게임이다. 오목이라는 말은 `말을 5개 나란히 놓는다` 는 뜻이며, 중국에서는 격오(格五), 일본에서는 연주(連珠)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오목놓기` 라는 말을 많이 쓴다.
1.3 오목 with network 의 구성
이 오목과 더불어서, 현실에서 두 사람이 오목을 두는 것과 같이 두사람이 함께 즐길수 있도록 만들기 위해 기존의 오목 게임에 TCP네트워크 소켓을 이용하여 원거리에 위치한 상대방과도 게임을 즐길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에서 오목은 먼저 바둑판과 함께 각 자리의 x,y의 좌표값이 출력된 것을 시작으로, 사용자는 바둑알을 두고 싶은 곳의 x y 좌표값을 입력함으로써 진행된다.
게임은 새로 시작하기 및 이어서 하기가 가능하며 각각 사용자의 승패횟수를 저장하여 알려준다. 또한 게임도중에 메시지 전달을 할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추천자료
실과교육 - 교수법
교직이수자가 들어야할 필수교직과목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과목에서 제출했던 레포트
구성주의 기반의 컴퓨터 교육
원격교육의 이해[사회복지]
[인터넷활용교육]인터넷활용교육의 특징과 전산망 구축 모델 및 다양한 국내․외 사례 분석(인...
농업과 학습지도법의 여러 가지 형태에 관하여 특성과 장단점 연구
교수 학습 방법의 종류와 내용
문학교육전략(수업전략), 독서교육전략(수업전략), 양성평등수학교육전략(수업전략), ICT활용...
2016년 1학기 레크리에이션활동지도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청소년교육과 레크리에이션활동지도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8년 1학기 레크리에이션활동지도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