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I. 서론 -2
1. 슈렉을 선정한 이유 -2
2. 영화 줄거리 -2
3. 성격이론 적용 방향 -3
II. 본론 -4
1. 정신분석적 방략 (융의 분석심리학 중심) -4
2. 성향적 방략 -8
3. 환경적 방략 -11
4. 표상적 방략 -14
III. 결론 -20
1. 각 방략의 적용 한계 -20
2. 전체적으로 아쉬운 점 -21
3. 분석을 마치며 -21
4. 참고 문헌 -21
I. 서론 -2
1. 슈렉을 선정한 이유 -2
2. 영화 줄거리 -2
3. 성격이론 적용 방향 -3
II. 본론 -4
1. 정신분석적 방략 (융의 분석심리학 중심) -4
2. 성향적 방략 -8
3. 환경적 방략 -11
4. 표상적 방략 -14
III. 결론 -20
1. 각 방략의 적용 한계 -20
2. 전체적으로 아쉬운 점 -21
3. 분석을 마치며 -21
4. 참고 문헌 -21
본문내용
고, 사교적인 것으로 보아 외향성이라고 할 수 있다. 영화에서 그녀는 쉽게 다른 캐릭터와 친해지며, 자신의 마음을 잘 표현한다. 다른 사람들은 슈렉을 보면 무서워하며 도망가지만, 그녀는 슈렉과 적극적으로 어울리고 슈렉의 겉모습과 다른 따뜻한 마음을 본다. 그녀는 슈렉에 비해 신경증적인 성향이 낮다. 오히려 굉장히 차분하며, 마음 적으로 안정이 되었다. 그것은 아마 슈렉은 많은 사랑을 받지 못했지만, 피오나 공주는 공주로써 많은 사람에게 사랑을 받고 자라서 세상에 대하여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어서 그런지 모르겠다. 하지만 어린 시절을 저주 때문에 용이 살고 있는 성에 갇혀서 보통 사람이면 높은 우울증 경향성이 있고 폐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독특한 기질적인 이유 때문인지 그런 모습은 잘 발견 되지 않는다. 굳이 찾으라면 피오나 공주에게 어떤 어려움이 있을 때 잘 울고, 위기에 처할 때 굉장한 무술실력으로 상대방을 때려눕힌다는 것이다. 그녀는 또한 개방성이 높다. 다른 사람을 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독창적인 사고를 잘한다. 피오나 공주는 다른 캐릭터에게 동정적이고 친화적인 캐릭터이다. 많은 사람에게 사랑을 받는 따뜻한 캐릭터이다.
3) 돈키
돈키는 분명 외향적인 캐릭터이다. 쉬지 않고 말을 하며, 계속 움직인다.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바로바로 하며 정서상태를 잘 표현한다. Eysenk은 유기체의 기질이나 특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학습을 하는데도, 일반적 법칙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세밀한 개체마다의 특성에 따라 학습방식이 다르다고 하는 것이다. 특히, 돈키를 보면 재미있는 예가 나오는데, 슈렉과 피오나와 돈키가 머나먼 왕국으로 마차를 타고 떠날 때 돈키는 슈렉이 소리를 지르고 혐오적인 처벌을 가해도 자신의 노래 부르는 행동을 멈추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혐오적 자극은 행동의 빈도를 떨어뜨리는 데 말이다. 이는 Eysenk의 학습방식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는데, 그는 보통 외향적 성격의 사람은 혐오적 처벌에 둔감하고 보상에 약하다고 말한다. 따라서 외향적 성격의 돈키는 소리를 지르는 슈렉에게 전혀 개의치 않은 모습을 보인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오히려 먹을 것이나 돈을 줬더라면 노래 부르는 것을 멈추게 할 수 있었을지 모른다. 돈키는 신경증적인 성향이 조금 높다고 본다. 안절부절못하지 못하며, 혼자 있지를 못한다. 그리고 가끔 우울한 모습을 보여준다. 몸이 조금 아프거나 어떠한 부정적인 생각이 들면 자신이 죽고 있다고 생각하는 건강 염려증과 같은 증상도 보인다. 아마 충분한 사랑을 받지 못하고 자랐을 것 같은 생각이 든다. 돈키에게 경계선 성격장애 경향성이 있지 않나 생각이 든다. 자아 정체성이 불안정하여, 다른 캐릭터에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슈렉과 함께하면 슈렉과 동일시하려는 경향이 있다. 자신의 모습에 자신 없어하며 회의적인 사고를 가진 것을 볼 수 있다. 자기 혼자 결정하지 못하는 것을 보면 의존적 성격장애 경향이 있는 것 같다. 자신이 당나귀라는 사실을 인정하지 못하고 현실도피적인 행동을 자주 보이며 자신에 대한 만족하지 못하는 것을 쉴 새 없이 얘기하면서 잊어갈려고 하는 것 같다. 콤플렉스가 심한 친구이다.
4) 챠밍왕자
챠밍왕자는 자기애적인 성격장애와 히스테리 성격장애 경향성이 동시에 가지고 있는듯하다. 그는 모든 사람의 관심을 받기를 원하며 자신에 대한 프라이드가 무척강하다. 자존심이 강하고 고집이 쎈 것을 볼 수 있다. 모든 사람을 자기 아래에 두고 싶어하며, 이러한 야심적인 모습은 피오나 공주와 결혼해서 왕국을 차지하려는 것에서 볼 수 있다. 자신의 외모에 지나치게 관심을 가지고 다른 사람에게 좋은 멋진 모습만 보여주려고 노력한다. 결혼 축하 파티에 가는 길에서 관중들에게 자신의 모습을 마음껏 드러내길 즐기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어머니인 요정대모에게 의존적인 경향을 볼 수 있다. 어려움이 닥칠 때 어머니에게 의존하는 마마보이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 어머니가 마지막 장면에서 죽는데 그 후 챠밍 왕자가 어떻게 이 험한 세상을 살아갈지 의문이다. 나의 생각인데 다시 의존할 사람을 찾고 그 사람에게 기대면서 살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어머니인 요정대모와 성격이 쏙빼닮은 것으로 보아 유전적인 영향을 받지 않았는가 하는 생각도 한다.
5) 파과드영주
파과드 영주는 다른 악역 캐릭터와 마찬가지로 목표추구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공주와 결혼하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자신의 목표를 위해 진저브래드맨을 고문하는 장면에서 그가 목표추구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챠밍 왕자와 겉모습은 다르지만 그에게도 나르시스 성격장애를 발견할 수 있다. 자기를 과도하게 사랑을 하며, 모든 사람의 관심을 받고자 한다. 공주와의 결혼식에서 결혼식 참석자들에게 ‘박수’, ‘야유’를 받기 위해 사람들을 강요하는 장면에서 다른 사람을 조정하려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그는 강박성격장애를 가진 것처럼 보인다. 완벽주의적인 경향이 있고, 다른 사람이 자기를 따르기를 원하는 강박성격장애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6) 푸스 (장화신은 고양이)
개방적 성향이 강한 인물이라 할 수 있다. 다른 인물들 보다 독창적이고 상상력도 풍부해 보이는 인물이다. 위기의 상황에서의 눈망울 연기를 하는 장면에서 그의 개방적 성향을 발견된다. 또한 감각추구적 성향을 보여주고 있다. 위험한 상황을 오히려 즐기는 듯하고, 상대방과 싸우면서 떠벌대는 모습에서 감각추구적 성향을 볼 수 있다.
3. 환경적 방략으로 본 인물 성격 분석
1) 슈렉
사람들이 자신의 진정한 모습(내면의 모습)을 알지도 못하고 겉모습만 보고 판단하는 것에 상처를 받아서 혼자 있으려고 하는 내성적인 성격이라고 볼 수 있다. 형성된 과정을 보면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 사람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한다거나, 비판을 받는 경험을 하면서 슬프거나, 우울한 감정과 연합됐다고 볼 수도 있고(고전적 조건화), 사람들로부터 따돌림 당하는 것을 처벌로 볼 수도 있다(도구적 조건화).
CS
→
US
→
UR(CR)
사람들과 있음
따돌림, 비판
슬픔, 우울함
그리고 사람들이 괴물을 잡으러 왔을 때
3) 돈키
돈키는 분명 외향적인 캐릭터이다. 쉬지 않고 말을 하며, 계속 움직인다.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바로바로 하며 정서상태를 잘 표현한다. Eysenk은 유기체의 기질이나 특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학습을 하는데도, 일반적 법칙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세밀한 개체마다의 특성에 따라 학습방식이 다르다고 하는 것이다. 특히, 돈키를 보면 재미있는 예가 나오는데, 슈렉과 피오나와 돈키가 머나먼 왕국으로 마차를 타고 떠날 때 돈키는 슈렉이 소리를 지르고 혐오적인 처벌을 가해도 자신의 노래 부르는 행동을 멈추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혐오적 자극은 행동의 빈도를 떨어뜨리는 데 말이다. 이는 Eysenk의 학습방식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는데, 그는 보통 외향적 성격의 사람은 혐오적 처벌에 둔감하고 보상에 약하다고 말한다. 따라서 외향적 성격의 돈키는 소리를 지르는 슈렉에게 전혀 개의치 않은 모습을 보인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오히려 먹을 것이나 돈을 줬더라면 노래 부르는 것을 멈추게 할 수 있었을지 모른다. 돈키는 신경증적인 성향이 조금 높다고 본다. 안절부절못하지 못하며, 혼자 있지를 못한다. 그리고 가끔 우울한 모습을 보여준다. 몸이 조금 아프거나 어떠한 부정적인 생각이 들면 자신이 죽고 있다고 생각하는 건강 염려증과 같은 증상도 보인다. 아마 충분한 사랑을 받지 못하고 자랐을 것 같은 생각이 든다. 돈키에게 경계선 성격장애 경향성이 있지 않나 생각이 든다. 자아 정체성이 불안정하여, 다른 캐릭터에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슈렉과 함께하면 슈렉과 동일시하려는 경향이 있다. 자신의 모습에 자신 없어하며 회의적인 사고를 가진 것을 볼 수 있다. 자기 혼자 결정하지 못하는 것을 보면 의존적 성격장애 경향이 있는 것 같다. 자신이 당나귀라는 사실을 인정하지 못하고 현실도피적인 행동을 자주 보이며 자신에 대한 만족하지 못하는 것을 쉴 새 없이 얘기하면서 잊어갈려고 하는 것 같다. 콤플렉스가 심한 친구이다.
4) 챠밍왕자
챠밍왕자는 자기애적인 성격장애와 히스테리 성격장애 경향성이 동시에 가지고 있는듯하다. 그는 모든 사람의 관심을 받기를 원하며 자신에 대한 프라이드가 무척강하다. 자존심이 강하고 고집이 쎈 것을 볼 수 있다. 모든 사람을 자기 아래에 두고 싶어하며, 이러한 야심적인 모습은 피오나 공주와 결혼해서 왕국을 차지하려는 것에서 볼 수 있다. 자신의 외모에 지나치게 관심을 가지고 다른 사람에게 좋은 멋진 모습만 보여주려고 노력한다. 결혼 축하 파티에 가는 길에서 관중들에게 자신의 모습을 마음껏 드러내길 즐기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어머니인 요정대모에게 의존적인 경향을 볼 수 있다. 어려움이 닥칠 때 어머니에게 의존하는 마마보이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 어머니가 마지막 장면에서 죽는데 그 후 챠밍 왕자가 어떻게 이 험한 세상을 살아갈지 의문이다. 나의 생각인데 다시 의존할 사람을 찾고 그 사람에게 기대면서 살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어머니인 요정대모와 성격이 쏙빼닮은 것으로 보아 유전적인 영향을 받지 않았는가 하는 생각도 한다.
5) 파과드영주
파과드 영주는 다른 악역 캐릭터와 마찬가지로 목표추구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공주와 결혼하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자신의 목표를 위해 진저브래드맨을 고문하는 장면에서 그가 목표추구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챠밍 왕자와 겉모습은 다르지만 그에게도 나르시스 성격장애를 발견할 수 있다. 자기를 과도하게 사랑을 하며, 모든 사람의 관심을 받고자 한다. 공주와의 결혼식에서 결혼식 참석자들에게 ‘박수’, ‘야유’를 받기 위해 사람들을 강요하는 장면에서 다른 사람을 조정하려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그는 강박성격장애를 가진 것처럼 보인다. 완벽주의적인 경향이 있고, 다른 사람이 자기를 따르기를 원하는 강박성격장애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6) 푸스 (장화신은 고양이)
개방적 성향이 강한 인물이라 할 수 있다. 다른 인물들 보다 독창적이고 상상력도 풍부해 보이는 인물이다. 위기의 상황에서의 눈망울 연기를 하는 장면에서 그의 개방적 성향을 발견된다. 또한 감각추구적 성향을 보여주고 있다. 위험한 상황을 오히려 즐기는 듯하고, 상대방과 싸우면서 떠벌대는 모습에서 감각추구적 성향을 볼 수 있다.
3. 환경적 방략으로 본 인물 성격 분석
1) 슈렉
사람들이 자신의 진정한 모습(내면의 모습)을 알지도 못하고 겉모습만 보고 판단하는 것에 상처를 받아서 혼자 있으려고 하는 내성적인 성격이라고 볼 수 있다. 형성된 과정을 보면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 사람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한다거나, 비판을 받는 경험을 하면서 슬프거나, 우울한 감정과 연합됐다고 볼 수도 있고(고전적 조건화), 사람들로부터 따돌림 당하는 것을 처벌로 볼 수도 있다(도구적 조건화).
CS
→
US
→
UR(CR)
사람들과 있음
따돌림, 비판
슬픔, 우울함
그리고 사람들이 괴물을 잡으러 왔을 때
키워드
추천자료
뻐꾸기 둥지로 날아간새
감성리더쉽에 대한 이해와 사례분석 - 리더와 리더쉽, 영화속 램지함장의 모습
굿월헌팅
[프로이드][프로이트][Freud][성격발달단계][정신분석치료][상담기술][프로이드이론]프로이드...
[프로이드][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이론][프로이드이론 비판적 검토]프로이드와 프로이드이론...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적 성격이론
Carl Gustav Jung: 분석심리학적 성격이론
[프로이드][프로이드이론][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정신분석이론][성격발달단계][프로이트][...
인간행동 이해를 위한 주요 성격이론 각각의 주요개념 및 발달 단계, 이론의 한계점 등에 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성격이론에 있어서, (1) 성격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2) 성격은 어떻...
프로이드(Frued) 정신분석이론의 성격발달에 대해 설명하고 부모교육에 시사하는 점을 기술
[문학의 이해 공통] 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신이 애독, 애청한 소...
상담심리학-정신분석 상담이론의 Freud 와 Erikson의 성격이론의 차이점과 교육적 시사점을 ...
다음의 제시한 영화 중 하나를 보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인 관점에서 논하거나 캐릭터를 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