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선덕여왕에서 김춘추까지, 권력 변동의 현장
제2장 세종의 초정 행차에 깃든 민본정신
제3장 정조의 화성 행차와 화성 신도시 건설
제4장 일본 관동대지진과 조선인 대학살의 현장을 찾아서
제5장 1894년 농민전쟁과 김개남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해설포함) *
제2장 세종의 초정 행차에 깃든 민본정신
제3장 정조의 화성 행차와 화성 신도시 건설
제4장 일본 관동대지진과 조선인 대학살의 현장을 찾아서
제5장 1894년 농민전쟁과 김개남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해설포함) *
본문내용
제1부 통치와 지배의 현장
제1장 선덕여왕에서 김춘추까지, 권력 변동의 현장
1. 647년 비담의 난
가. 비담과 염종의 모반
① 647년 1월, 명활산성에서 상대등 비담(毗曇)이 “여왕이 정치를 잘할 수 없다”는 명분으로, 염종(廉宗) 등과 함께 모반을 일으켰다.
② 선덕여왕 즉위 후 차기 왕위를 노리던 반대 세력이, 선덕여왕이 김춘추(金春秋)와 김유신(金庾信)을 후원하여 세력 균형이 깨지게 되자 역전을 기도한 반란사건이다.
③ 왕군은 월성을 근거지로, 반란군은 명활산성을 근거지로 군사적 충돌을 시작했으나 10여 일이 지나도 승패가 나지 않는 등 반란군의 기세가 대단하였다.
※ 상대등(上大等) : 법흥왕 18년(531) 처음 설치된 이래 왕 다음으로 국정을 관장하는 최고 관직이자 귀족 회의체 화백(和白) 회의를 주관하며 왕권을 견제할 수 있는 자리이다.
나. 반란의 명분 - ‘여주불가론’
① 반란의 명분 ‘여주불가론(女主不可論)’은 당 태종(太宗)의 발언에서 나왔으며, 선덕여왕에게 불만을 품은 귀족 세력들은 이를 반란의 명분으로 삼았던 것으로 짐작된다.
② 선덕여왕의 즉위는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으므로 왜 그 시기에 선덕이 왕위를 계승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 중략 -
제1장 선덕여왕에서 김춘추까지, 권력 변동의 현장
1. 647년 비담의 난
가. 비담과 염종의 모반
① 647년 1월, 명활산성에서 상대등 비담(毗曇)이 “여왕이 정치를 잘할 수 없다”는 명분으로, 염종(廉宗) 등과 함께 모반을 일으켰다.
② 선덕여왕 즉위 후 차기 왕위를 노리던 반대 세력이, 선덕여왕이 김춘추(金春秋)와 김유신(金庾信)을 후원하여 세력 균형이 깨지게 되자 역전을 기도한 반란사건이다.
③ 왕군은 월성을 근거지로, 반란군은 명활산성을 근거지로 군사적 충돌을 시작했으나 10여 일이 지나도 승패가 나지 않는 등 반란군의 기세가 대단하였다.
※ 상대등(上大等) : 법흥왕 18년(531) 처음 설치된 이래 왕 다음으로 국정을 관장하는 최고 관직이자 귀족 회의체 화백(和白) 회의를 주관하며 왕권을 견제할 수 있는 자리이다.
나. 반란의 명분 - ‘여주불가론’
① 반란의 명분 ‘여주불가론(女主不可論)’은 당 태종(太宗)의 발언에서 나왔으며, 선덕여왕에게 불만을 품은 귀족 세력들은 이를 반란의 명분으로 삼았던 것으로 짐작된다.
② 선덕여왕의 즉위는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으므로 왜 그 시기에 선덕이 왕위를 계승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 중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