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과 건강 : 간호표준과 간호수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환경과 건강 : 간호표준과 간호수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간호표준
1. 간호표준 정의
2. 간호표준 설정의 필요성 및 의의
3. 간호표준 설정 지침
4. 간호표준 개발 경과
6. 앞으로의 방향

II. 간호수가
1. 간호원가 및 간호수가의 정의
2. 간호수가 산정방법
3. 우리나라의 현재 간호 관련 수가체계
4. 외국의 간호수가 제도
5. 간호수가의 문제점
6. 간호수가 개선 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로 질이 낮아 질 수 있음
○ 예산제에서 예산배정의 기초로 사용되기도 함.
독일
총액계약제(global budget)
○ 보험자 측 과 의사단체(보험의협회)간에 국민에게 제공되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진료비 총액을 추계협의한 후, 사전에 결정된 진료비총액을 지급하는 방식임
- 의료공급자와 보험자의 협상에 의해 전체 예산의 크기만을 결정하고 그 전체 예산을 개별 의료공급자에게 배분하는 것은 의사단체가 책임을 지게 됨.(의사단체는 행위별 수가기준 등에 의하여 각 의사에게 진료비를 배분함)
- 독일의 보험의(의원급)에게 적용되는 방식임.
○ 총액계약제는 전체 보건의료체계 또는 보건의료체계의 특정 부문에 국한하여 적용이 가능함
- 특정 의료기관별로 연간 진료비를 예산으로 지급하고, 그 예산의 범위 내에서 의료기관이 진료비를 충당하는 형태임(예산할당제)
○ 진료의 가격과 양을 동시에 통제 및 조정함으로써 진료비지출 증가 속도를 조절하고 예측을 가능하게 함
- 의료서비스 제공자는 과소진료를 제공할 가능성이 상존 함
5. 간호수가의 문제점
1) 간호의 경제적인 가치가 평가 절하됨.
① 간호의 문화적인 뿌리의 문제(의존적인 성격)
② 간호의 역할 및 영역의 불명확성
③ 간호서비스에 대한 구매필요성 저하(필수적인 것이 아님)
2) 간호원가 산정 방법의 불일치
① 직접 간호시간 정의 불분명
② 직접비 및 간접비 항목의 불일치
③ 간호직원의 구분 불명확(간호사, 간호조무사, 보조원, 운반용원 등)
3) 현행 간호수가의 원가보전이 어려움
① 간호 관리료: 1993년 임상간호사회 연구에 의하면 2000년도까지의
물가상승률을 감안했을 때 원가는 3등급병원이 260,20원인데 비해 현재는 118,80원임(45.7%).
② 현행 간호 행위료 중 원가보전이 안 되는 것이 대부분임(1999년 7월:박정호
외 4명이 연구한 “상대가치를 이용한 간호행위별 간호 원가산정”에 의거).
4) 현행 간호 관리료는 소비자 입장에서 공정성이 결여되어 있음.
같은 등급 내에서는 환자의 간호 요구도에 상관없이 같은 간호 관리료를 지불하 고 있어 공정성이 결여됨.
5) 의료수가제도 결정에 참여권 부족
6. 간호수가 개선 방향
;간호료 지불체계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와 함께 전체적인 의료ㅕ비 지불체계 속에서의 간호료 위상을 재정립하고 이를 현실화하기위한 연구에 간호계의 노력이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1) 간호의 경제적 가치향상
① 간호역할 및 영역의 확대
② 소비자가 인정할 수 있는 독립적인 간호서비스의 개발
-전문 간호영역 및 환자교육 프로그램
③ 전문 간호사의 클리닉 개설
2) 기본적인 간호는 포괄적 개념으로 간호 관리료에 포함시키고 환자에게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수한 간호는 행위료에 반영시킨다.
① 환자 교육료 등
3) 지속적인 간호원가 및 질 관리에 관한 연구
① 간호원가 산정방법
② 간호등급별 원가산정
③ 환자 중증도에 따른 간호원가 산정
④ 간호비용과 질에 관한 연구
4) 협회 차원에서의 질 관리 필요
① 간호의 질 관리 지표 개발
② 상주보호자관리 및 간병인 관리로 책임 있는 간호 시행
5) 의료제도 및 보험급여정책에 간호수가가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정치
참여 필요함
간호정우회의 활성화
참고 문헌
1. ICN (1989). Development for Standards for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guideline for
2. 대한간호협회 (1995). 간호관련인력별 직무표준 설정에 관한 연구.
3. 대한간호협회 (1996). 보건간호인력별 직무표준 설정연구 .
4. 임상간호사회 학술 위원회 (1992). 환자간호실무표준에 관한 연구.
5. 삼성서울병원 (2000). 직무분석을 통한 병원 근무 신입간호사의 기본능력 수준 설정.
6. 대한간호학회 (1998). 간호사 국가시험 방향설정을 위한 임상수행 능력.
7.ANA (1994). Legal aspects of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clinical nursing practice.
8. NCLEX (1994). Nursing Practice standards.
9. ANCI (2000). australia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for the Registered Nurse and the Enrolled nurse, australia.
10. ICN (1999). Environmental scan
11. Guidelines for Professional practice (1996). UKCC for Nursing, Midwifery and visiting.
12. ANA (1987). The Scope of Nursing practice.
13. JNurs (1998). Professional Standards ; linking care, competency, and quality. ca re qual. 12(4): 22-29care qual. 11(5): 48-54.
14.ICN (2000). Ethics and Human right.
15.J Nurs (2000). Standards and Practice guidelines as the foundation for clinical practice.
167.NCLEX (1996). Final Report of the Logical Job Analysis Study of Entry-Point-Level Nurse Practitioner Practice and Related Test Plan Development.
17.1998 Role Delineation Study : types of Nursing Activities ,1999,NCLEX
18.Certification Specialty,2000,CNN(11개 분야)
19.문희자 (1987). 간호표준, 대한간호협회, 25(3), 27-29.
20.박정호, 송미숙, 성영희, 조정숙, 심원희 (1997). 상대가치를 이용한 간호행위별 간호원 가 산정. 대한간호협회.
21.성영희 (2000). 간호서비스 향상을 위한 간호수가 관리. 삼성서울병원.
  • 가격1,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5.11.23
  • 저작시기201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81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