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특징
(2) POPs 물질의 물리화학적 성질 및 독성
1) 알드린(aldrin)
2) 클로르단(chlordane)
3) 디엘드린(dieldrin)
4) 디디티(DDT)
5) 엔드린(endrin)
6) 헥사클로로벤젠(hexachlorobenzene)
7) 헵타클로르(heptachlor)
8) 미렉스
9) 톡사펜
10)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PCBs)
11) 다이옥신 및 퓨란
Ⅲ. 결론
Ⅱ. 본론
(1) 특징
(2) POPs 물질의 물리화학적 성질 및 독성
1) 알드린(aldrin)
2) 클로르단(chlordane)
3) 디엘드린(dieldrin)
4) 디디티(DDT)
5) 엔드린(endrin)
6) 헥사클로로벤젠(hexachlorobenzene)
7) 헵타클로르(heptachlor)
8) 미렉스
9) 톡사펜
10)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PCBs)
11) 다이옥신 및 퓨란
Ⅲ. 결론
본문내용
동과정이다. 특정물질에 흡착되어 공기중에서 원거리(1200km)이동한다. 주로 음식물이나 작업환경에 의해 노출된다.
물리화학적성질
물리적형태
외관 및 냄새
끓는점
녹는점
비중
용해도
log Kow
log Koc
증기압(25℃)
Henry 상수
노란색의 밀랍같은 액체
쾌적한 소나무 향
> 120℃
60-90℃
1.65 (25℃)
3mg/ℓ - H2O (25℃)
알코올, 아세톤, 헥산에 용해
2.92-3.3
3.18 (calculated)
2.6×10-3 ~ 1.3×10-7 kPa
6.3×10-2 ~ 4.98×10-3 atmm3/mol
독 성
ADI(SRC)
AIR: (assume 0.02-3.3ng/㎥) 0.0004-0.0033㎍
Food: 0.2㎍
10)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PCBs)
환경중에 방출된 PCBs의 주된 오염원은 이전에 환경중에 방출된 PCBs가 토양이나 수표면에서 대기중으로 휘발되고 다시 침강에 의해 대기중에서 제거되는 순환과정에 의해서이다. 최근 PCBs가 PCBs 폐기물질과 생산물을 함유한 매립지나 도시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소각, 폐쇄계의 변압기유 같은 PCBs물질의 부적당한 처리에 의해 환경중에 방출되고 있다. PCBs는 여러 가지 이성체의 혼합물로 염소화정도에 따라 환경중에서의 거동 메카니즘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염소수가 증가할수록 잔류성은 증가한다. Mono-, di-, trichlorinated biphenyl은 비교적 빠르게 생물분해되고, tetrachlorinated biphenyls은 서서히 생물분해되며, 더 많이 염소치환된 화합물은 생물분해되기 어렵다. 생물분해는 토양과 수중에서의 궁극적인 분해과정이다. 음식물, 특히 어류에 의해 노출된다.
< PCBs의 특성 >
물리화학적성질
물리적형태
냄새
녹는점
비중
용해도(H2O)
Aroclor 1221, 1232, 1016, 1242, 1248 : 무색오일
Aroclor 1254 : 점성액체
Aroclor 1260, 1262 : 단단한 수지
Aroclor 1268, 1270 : 흰색파우더
약한 방향성
340~375℃
1.44 (30℃)
물에 거의 용해되지 않음
오일이나 유기용매에 용해
독 성
발암성분류(IARC)
Group 2A
11) 다이옥신 및 퓨란
다이옥신이란 폴리클로리네이티드다이벤조-파라-다이옥신(polychlorinated dibenzo- p-dioxin)을 말하며, 염소의 치환수와 치환 위치에 따라서 75개의 동족체(homologue)가 존재하며, 이들 동족체를 총칭하여 PCDDs로 표시한다. 2,3,7,8 위치에 염소원자가 치환된 2,3,7,8-TCDD (2,3,7,8-tetrachloro-dibenzodioxin)가 가장 독성이 크다. 다이옥신과 유사한 성질을 가진 것으로 폴리클로리네이티드 다이벤조퓨란(polychlorinated dibenzofuran)이 있는데, 총칭하여 PCDFs로 표시하며 다이옥신과 같이 염소의 치환수와 치환 위치에 따라서 퓨란에는 135개의 동족체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다이옥신과 퓨란을 합하여 다이옥신류라 하며, 다이옥신류에는 이론적으로 210개의 이성체(isomer)가 존재한다.
① 물리화학적 성질
다이옥신은 물에 대한 용해도 및 증기압은 아주 낮으며, 유기용매에는 용해하지만 용해성은 그다지 크지 않다. 열화학적으로도 안정하며, 미생물에 의한 분해도 거의 받지 않는다. 그러나, 310nm 부근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광화학분해를 일으켜, 태양의 자외선이 미치는 위치에서는 다이옥신의 동족체인 2,3,7,8-TCDD가 급속하게 분해된다
② 독성
다이옥신은 청산가리(KCN)에 비해 10,000배나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인간이 만들어 낸 물질중에서 가장 독성이 강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표 1.7.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르모트와 마우스에 대한 경구독성은 이성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다이옥신류의 동족체중에서도 독성이 강한 것은 17종이며, 이 화합물들은 2,3,7,8의 위치에 염소가 치환된 것으로 2,3,7,8-치환이성체 (2,3,7,8- substituted isomers)라고 불리워진다. 이들중 가장 독성이 강한 것이 2,3,7,8-TCDD이다.
동족체의 혼합물에 대해 하나의 농도로 표시하기 위하여 독성등가환산농도를 사용한다. 각 동족체의 농도에 환산계수를 곱하여 2,3,7,8-TCDD의 농도로 환산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환산계수를 TCDD 독성등가환산계수(TCDD toxic equivalant factor, TEF)라 한다. 이 계수들은 독성평가 연구결과에 따라 계속 개정되고 있으며, 각 나라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은 나토(NATO)국가들의 공동연구에 의한 International-TEF(I-TEQ)이다. 이와같이 환산한 농도를 TCDD독성등가환산농도(TCDD equivalant, TEQ)라 한다.
TEQ = Σ ( TEF x 2,3,7,8-치환이성체의 농도 )
한편, 1일허용섭취량(Acceptable Daily Intake, ADI)에 대해서는 각 나라에 따라 또는 지역 및 기관에 따라 의견이 분분한데 최근 WHO가 10pg/kg체중으로 발표한 바 있다. 인체에 대한 급만성독성으로는 간독성, 피부독성, 태아독성 및 최기형성(崔奇形性), 발암성 등을 나타낸다.
Ⅲ. 결론
세계는 6-70년대 이래 산업, 농약용으로 사용된 이러한 화학물질이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에 주목하고 있었는데, 그 폐해가 과학적으로 증명되기에 이르렀다.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이하 POPs) 규제협약은 이러한 배경 속에서 UNEP이 중심이 되어 화학물질 안전관리 방안을 논의해 왔으며, 2001년 5월 12개 POPs를 규제하기 위한 POPs 규제협약(스톡홀름 협약)이 채택되었다.
이러한 POPs 규제협약안 마련은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의 심각한 위해성에 대한 전세계적인 공감대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협약안의 채택으로 앞으로 국제 사회에서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안전관리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우리 나라도 새로운 국제협약에 따른 적절한 대비책 마련이 요청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물리화학적성질
물리적형태
외관 및 냄새
끓는점
녹는점
비중
용해도
log Kow
log Koc
증기압(25℃)
Henry 상수
노란색의 밀랍같은 액체
쾌적한 소나무 향
> 120℃
60-90℃
1.65 (25℃)
3mg/ℓ - H2O (25℃)
알코올, 아세톤, 헥산에 용해
2.92-3.3
3.18 (calculated)
2.6×10-3 ~ 1.3×10-7 kPa
6.3×10-2 ~ 4.98×10-3 atmm3/mol
독 성
ADI(SRC)
AIR: (assume 0.02-3.3ng/㎥) 0.0004-0.0033㎍
Food: 0.2㎍
10)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PCBs)
환경중에 방출된 PCBs의 주된 오염원은 이전에 환경중에 방출된 PCBs가 토양이나 수표면에서 대기중으로 휘발되고 다시 침강에 의해 대기중에서 제거되는 순환과정에 의해서이다. 최근 PCBs가 PCBs 폐기물질과 생산물을 함유한 매립지나 도시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소각, 폐쇄계의 변압기유 같은 PCBs물질의 부적당한 처리에 의해 환경중에 방출되고 있다. PCBs는 여러 가지 이성체의 혼합물로 염소화정도에 따라 환경중에서의 거동 메카니즘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염소수가 증가할수록 잔류성은 증가한다. Mono-, di-, trichlorinated biphenyl은 비교적 빠르게 생물분해되고, tetrachlorinated biphenyls은 서서히 생물분해되며, 더 많이 염소치환된 화합물은 생물분해되기 어렵다. 생물분해는 토양과 수중에서의 궁극적인 분해과정이다. 음식물, 특히 어류에 의해 노출된다.
< PCBs의 특성 >
물리화학적성질
물리적형태
냄새
녹는점
비중
용해도(H2O)
Aroclor 1221, 1232, 1016, 1242, 1248 : 무색오일
Aroclor 1254 : 점성액체
Aroclor 1260, 1262 : 단단한 수지
Aroclor 1268, 1270 : 흰색파우더
약한 방향성
340~375℃
1.44 (30℃)
물에 거의 용해되지 않음
오일이나 유기용매에 용해
독 성
발암성분류(IARC)
Group 2A
11) 다이옥신 및 퓨란
다이옥신이란 폴리클로리네이티드다이벤조-파라-다이옥신(polychlorinated dibenzo- p-dioxin)을 말하며, 염소의 치환수와 치환 위치에 따라서 75개의 동족체(homologue)가 존재하며, 이들 동족체를 총칭하여 PCDDs로 표시한다. 2,3,7,8 위치에 염소원자가 치환된 2,3,7,8-TCDD (2,3,7,8-tetrachloro-dibenzodioxin)가 가장 독성이 크다. 다이옥신과 유사한 성질을 가진 것으로 폴리클로리네이티드 다이벤조퓨란(polychlorinated dibenzofuran)이 있는데, 총칭하여 PCDFs로 표시하며 다이옥신과 같이 염소의 치환수와 치환 위치에 따라서 퓨란에는 135개의 동족체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다이옥신과 퓨란을 합하여 다이옥신류라 하며, 다이옥신류에는 이론적으로 210개의 이성체(isomer)가 존재한다.
① 물리화학적 성질
다이옥신은 물에 대한 용해도 및 증기압은 아주 낮으며, 유기용매에는 용해하지만 용해성은 그다지 크지 않다. 열화학적으로도 안정하며, 미생물에 의한 분해도 거의 받지 않는다. 그러나, 310nm 부근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광화학분해를 일으켜, 태양의 자외선이 미치는 위치에서는 다이옥신의 동족체인 2,3,7,8-TCDD가 급속하게 분해된다
② 독성
다이옥신은 청산가리(KCN)에 비해 10,000배나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인간이 만들어 낸 물질중에서 가장 독성이 강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표 1.7.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르모트와 마우스에 대한 경구독성은 이성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다이옥신류의 동족체중에서도 독성이 강한 것은 17종이며, 이 화합물들은 2,3,7,8의 위치에 염소가 치환된 것으로 2,3,7,8-치환이성체 (2,3,7,8- substituted isomers)라고 불리워진다. 이들중 가장 독성이 강한 것이 2,3,7,8-TCDD이다.
동족체의 혼합물에 대해 하나의 농도로 표시하기 위하여 독성등가환산농도를 사용한다. 각 동족체의 농도에 환산계수를 곱하여 2,3,7,8-TCDD의 농도로 환산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환산계수를 TCDD 독성등가환산계수(TCDD toxic equivalant factor, TEF)라 한다. 이 계수들은 독성평가 연구결과에 따라 계속 개정되고 있으며, 각 나라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은 나토(NATO)국가들의 공동연구에 의한 International-TEF(I-TEQ)이다. 이와같이 환산한 농도를 TCDD독성등가환산농도(TCDD equivalant, TEQ)라 한다.
TEQ = Σ ( TEF x 2,3,7,8-치환이성체의 농도 )
한편, 1일허용섭취량(Acceptable Daily Intake, ADI)에 대해서는 각 나라에 따라 또는 지역 및 기관에 따라 의견이 분분한데 최근 WHO가 10pg/kg체중으로 발표한 바 있다. 인체에 대한 급만성독성으로는 간독성, 피부독성, 태아독성 및 최기형성(崔奇形性), 발암성 등을 나타낸다.
Ⅲ. 결론
세계는 6-70년대 이래 산업, 농약용으로 사용된 이러한 화학물질이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에 주목하고 있었는데, 그 폐해가 과학적으로 증명되기에 이르렀다.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이하 POPs) 규제협약은 이러한 배경 속에서 UNEP이 중심이 되어 화학물질 안전관리 방안을 논의해 왔으며, 2001년 5월 12개 POPs를 규제하기 위한 POPs 규제협약(스톡홀름 협약)이 채택되었다.
이러한 POPs 규제협약안 마련은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의 심각한 위해성에 대한 전세계적인 공감대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협약안의 채택으로 앞으로 국제 사회에서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안전관리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우리 나라도 새로운 국제협약에 따른 적절한 대비책 마련이 요청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