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전통주란 무엇일까요?
- 전통주의 종류
- 전통주 시장의 현황
- 우리나라 전통주의 종류는?
- 외국의 전통주 축제
- 우리나라의 전통주 축제
- 우리나라 ‘전통주‘의 SWOT 분석’
마케팅 전략
- 전통주의 종류
- 전통주 시장의 현황
- 우리나라 전통주의 종류는?
- 외국의 전통주 축제
- 우리나라의 전통주 축제
- 우리나라 ‘전통주‘의 SWOT 분석’
마케팅 전략
본문내용
려말기 몽골로부터 도입되었지요.
특히 조선시대에는 유교문화의 영향으로 제사와 세시풍속이 중요시되면서
각 가정마다의 방법으로 술을 빚는 \'가양주문화(家釀酒文化)\'의 전성시대였습니다.
이러한 가양주는 술에 꽃 등의 향기식물을 넣어 만든 가향주나 인삼 등의 약용식물을 넣어 만든 약용약주를 일컫습니다.
탁주
탁주는 말그대로 빛깔이 짙고 탁하다고 하여 탁주, 탁배기 또는 막 거른 술이라 해서 막걸리 등으로 불립니다.
쌀을 원료로 하여 밀가루, 옥수수, 보리 등을 섞어 빚기도 하며, 쉽게 빚을 수 있어 특히 농가에서 즐겨 마셨습니다.
탁주는 다른 술에 비해 알콜 성분이 적으나 발효가 왕성한 성숙한 술밑의 알콜은 15~21%이른다고 합니다.
요즘 막걸리는 \'코리아 와인\'이라고 하여 인기가 좋은데요, 열량이 낮고 단백질이 풍부해 남녀 모두에게 좋은 전통주입니다.
청주
청주는 탁주보다 맑은 술로, 청주는 밑술에 다시 술을 해 덧술을 만들어 약 한 달동안 발효시키는 장기발효주입니다.
청주는 다른 말로 약주라고도 불리는데요,
이것은 조선시대 학자 서유거의 어머니가 청주를 잘 빚었는데 서유거의 혹 \'약봉\'이기도 하고
그가 살던 것이 \'약현\'이어서 약현에 사는 약봉의 어머니가 빚은 술이라고 하여 \'약주\'라고 불린다는 유래가 있습니다.
소주
소주는 알콜 도수가 낮는 술을 증류하여 알콜 도수 20%이상으로 높인 술을 말합니다.
또 이슬처럼 받아 내리는 술이라 하여 ‘노주(露酒)’라고도 합니다.
소주는 발효주는 시루 등을 이용해 증류한 \'증류식 소주\'와
배양효모를 이용해 발효시킨 양조주를 증류기로 증류한 뒤, 여기에 물을 타서 희석한 \'희석식 소주\'가 있습니다.
요즘 우리가 마시는 소주는 대개 희석식 소주고, 물만 타면 쓴 맛이 강하기 때문에 단맛을 내는 올리고탕이나 아스파탐 등을 첨가하게 됩니다.
- 전통주 시장의 현황
전통주 업체 6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자료에 의하면 전통주 업체의 평균 가동일은 168일, 직원은 3.8명, 평균 자본금은 6046만원, 연평균 매출은 7억 8000만원이고 매출 10억 원 이상인 곳이 21%였으나 1억 원 미만인 곳은 이보다 더 많은 38% 였다고 합니다.
- 우리나라 전통주의 종류는?
첫 번째로 전남 무형문화재 제 26호 홍주는 붉은빛을 내기 위하여 지초를 사용하는데 지초는 독을 풀어 염증을 없애고 새살을 돋게하는 효능이 있어 음용뿐 아니라 치료의 목적으로도 썼다고 합니다. 술의 색깔이 붉어 홍주라고 불립니다.
두 번째로 중요 무형문화재 제 86-2호 면천 두견주는 진달래꽃을 의미하는데, 면천 지역에서 활짝 핀 진달래꽃으로 빚는 술이 바로 면천 두견주입니다. 꽃을 이용해 꽃이 가지고 있는 향기로움을 불어넣는 제조법은 세계 어느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고 합니다.
다음으로 제주 무형문화재 제 3호의 오메기술은 좁쌀을 가루내어 익반죽하고 도너츠처럼 가운데에 구멍을 내어 떡을 만드는데 이를 오메기떡이라 하며 이 떡을 이용해 술을 빚습니다. 제주도에는 토양이 척박하여 쌀농사가 어렵기
특히 조선시대에는 유교문화의 영향으로 제사와 세시풍속이 중요시되면서
각 가정마다의 방법으로 술을 빚는 \'가양주문화(家釀酒文化)\'의 전성시대였습니다.
이러한 가양주는 술에 꽃 등의 향기식물을 넣어 만든 가향주나 인삼 등의 약용식물을 넣어 만든 약용약주를 일컫습니다.
탁주
탁주는 말그대로 빛깔이 짙고 탁하다고 하여 탁주, 탁배기 또는 막 거른 술이라 해서 막걸리 등으로 불립니다.
쌀을 원료로 하여 밀가루, 옥수수, 보리 등을 섞어 빚기도 하며, 쉽게 빚을 수 있어 특히 농가에서 즐겨 마셨습니다.
탁주는 다른 술에 비해 알콜 성분이 적으나 발효가 왕성한 성숙한 술밑의 알콜은 15~21%이른다고 합니다.
요즘 막걸리는 \'코리아 와인\'이라고 하여 인기가 좋은데요, 열량이 낮고 단백질이 풍부해 남녀 모두에게 좋은 전통주입니다.
청주
청주는 탁주보다 맑은 술로, 청주는 밑술에 다시 술을 해 덧술을 만들어 약 한 달동안 발효시키는 장기발효주입니다.
청주는 다른 말로 약주라고도 불리는데요,
이것은 조선시대 학자 서유거의 어머니가 청주를 잘 빚었는데 서유거의 혹 \'약봉\'이기도 하고
그가 살던 것이 \'약현\'이어서 약현에 사는 약봉의 어머니가 빚은 술이라고 하여 \'약주\'라고 불린다는 유래가 있습니다.
소주
소주는 알콜 도수가 낮는 술을 증류하여 알콜 도수 20%이상으로 높인 술을 말합니다.
또 이슬처럼 받아 내리는 술이라 하여 ‘노주(露酒)’라고도 합니다.
소주는 발효주는 시루 등을 이용해 증류한 \'증류식 소주\'와
배양효모를 이용해 발효시킨 양조주를 증류기로 증류한 뒤, 여기에 물을 타서 희석한 \'희석식 소주\'가 있습니다.
요즘 우리가 마시는 소주는 대개 희석식 소주고, 물만 타면 쓴 맛이 강하기 때문에 단맛을 내는 올리고탕이나 아스파탐 등을 첨가하게 됩니다.
- 전통주 시장의 현황
전통주 업체 6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자료에 의하면 전통주 업체의 평균 가동일은 168일, 직원은 3.8명, 평균 자본금은 6046만원, 연평균 매출은 7억 8000만원이고 매출 10억 원 이상인 곳이 21%였으나 1억 원 미만인 곳은 이보다 더 많은 38% 였다고 합니다.
- 우리나라 전통주의 종류는?
첫 번째로 전남 무형문화재 제 26호 홍주는 붉은빛을 내기 위하여 지초를 사용하는데 지초는 독을 풀어 염증을 없애고 새살을 돋게하는 효능이 있어 음용뿐 아니라 치료의 목적으로도 썼다고 합니다. 술의 색깔이 붉어 홍주라고 불립니다.
두 번째로 중요 무형문화재 제 86-2호 면천 두견주는 진달래꽃을 의미하는데, 면천 지역에서 활짝 핀 진달래꽃으로 빚는 술이 바로 면천 두견주입니다. 꽃을 이용해 꽃이 가지고 있는 향기로움을 불어넣는 제조법은 세계 어느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고 합니다.
다음으로 제주 무형문화재 제 3호의 오메기술은 좁쌀을 가루내어 익반죽하고 도너츠처럼 가운데에 구멍을 내어 떡을 만드는데 이를 오메기떡이라 하며 이 떡을 이용해 술을 빚습니다. 제주도에는 토양이 척박하여 쌀농사가 어렵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