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미국진출배경
2. 한국 패션 산업의 수출 및 미국 진출 현황
2.1 한국 패션 산업의 수출 현황
2.2 한국 패션 산업의 미국 진출 현황
3. 미국의 패션시장 현황
3.1 미국 의류 시장 규모와 수입시장 현황
3.2 미국 패션 시장의 최근 현황
4. 글로벌 마케팅 전략
4.1 상품전략
4.2 가격전략
4.3 유통전략
4.4 촉진전략
5. 한국 패션 산업의 글로벌 진술시 강점 및 단점
6. 결론 및 향후 글로벌 마케팅 전략
2. 한국 패션 산업의 수출 및 미국 진출 현황
2.1 한국 패션 산업의 수출 현황
2.2 한국 패션 산업의 미국 진출 현황
3. 미국의 패션시장 현황
3.1 미국 의류 시장 규모와 수입시장 현황
3.2 미국 패션 시장의 최근 현황
4. 글로벌 마케팅 전략
4.1 상품전략
4.2 가격전략
4.3 유통전략
4.4 촉진전략
5. 한국 패션 산업의 글로벌 진술시 강점 및 단점
6. 결론 및 향후 글로벌 마케팅 전략
본문내용
한국 패션브랜드의 글로벌 마케팅 전략
1
미국 진출 배경
현재의 국내 패션시장은 이미 성숙기에 접어든 상태이다. 그리고 낮은 경제 성장률로 저성장을 지속하고 있고 유니클로 ZARA 포에버21 등과 같은 가격대비 품질이 좋은 글로벌 브랜드의 수입확대로 인해 경쟁 상황도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패션 시장의 위기를 돌파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패션브랜드의 해외 진출이 대두 되면서 글로벌 마케팅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국내 패션브랜드들은 연간 600억달러의 의류 제품을 수입하는 최대 의류 소비시장인 미국으로 눈을 돌리게 되었다.
미국 시장은 패션 트렌드의 발신지이며 세계 최대 시장이라는 점에서 글로벌 비지니스의 시작은 동시에 최종목적지이다. 또한 미국은 전 세계 브랜드가 집결하여 경쟁하는 최고의 시장이므로 세계화를 위한 관문이라 할 수있다. 2007년 한.미자유무역협정이 체결되어 의류, 섬유 부분의 수출 기회가 넓어졌기에 국내패션사업의 미국진출은 활발해졌다.
2
한국 패션 산업의 수출 및 미국 진출 현황
2.1 한국 패션 산업의 수출 현황
한국의 패션 의류 수출은 2006년 14.4% 2007년 14.1% 2008년11.5%로 하락하는 추세이다. 특히 패션 제품의 수출은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며 의류 제품의 수출을 2006년 섬유 쿼터폐지를 기점으로 수출은 급격히 하락하고 수입은 증가하면서 수입액이 수출액을 초과하는 기이한 현상이 발생하였고 그 격차 폭은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런 이유는 인건비 상승에 따른 경쟁력 하락과 섬유교역자유화에 기인한 것이다. (한국섬유산업의 시간당 노동비는 타 아시아 국가에 비해 약 10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남)
<신제품의 수출입 현황> <단위 : US$ 백만>
연 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패션제품
수 출
18,783
16,081
15,253
15,192
13,946
13,232
13,446
수 입
4,788
4,860
5,897
6,360
6,765
8,0487
8,909
의류제품
수 출
4,652
3,924
3,350
3,085
2,314
103656
1,705
수 입
1,241
1,562
3,458
2,652
2,812
36,11
4,181
국가별 수출 비중의 변화 - 1990초기 미국 일본에 집중 점차 여러 나라로 분산되었고 2005년 이후 중국이 한국의 패션 제품 수출 11위국으로 변화 하지만 여전히 미국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2002년에 53.3%으로 최고 절정이었지만 2005년 이후 점차 하락하여 2007년 31.7%를 차지 하고 있다.<표2>
표2. <의류제품의 수출비중> <단위 : %>
순위
1990
1995
2000
2002
2005
2007
국가
점유율
국자
점유율
국가
점유율
국가
점유율
국가
점유율
국가
점유율
1
미국
41.4
일본
37.7
미국
54.4
미국
53.5
미국
45.2
미국
31.7
2
일본
30.9
미국
37
일본
21.9
일본
15.3
일본
18
중국
21
3
독일
4.9
독일
4.9
캐나다
3.9
중국
6.3
중국
14.1
입본
17.4
2.2 한국 패션 산업의 미국 진출 현황
2007년 5월 해외 진출브랜드는 약 180여개로 추정되며 이중 약 80%는 중국으로 진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 진출한 브랜드는 21개 이고 활발하게 경영활동을 진행하고 있는 브랜드는 9개로 조사되었다. <표3>
표3. <국내 패션브랜드의 미국 진출 현황>
복종
업체명
브
1
미국 진출 배경
현재의 국내 패션시장은 이미 성숙기에 접어든 상태이다. 그리고 낮은 경제 성장률로 저성장을 지속하고 있고 유니클로 ZARA 포에버21 등과 같은 가격대비 품질이 좋은 글로벌 브랜드의 수입확대로 인해 경쟁 상황도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패션 시장의 위기를 돌파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패션브랜드의 해외 진출이 대두 되면서 글로벌 마케팅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국내 패션브랜드들은 연간 600억달러의 의류 제품을 수입하는 최대 의류 소비시장인 미국으로 눈을 돌리게 되었다.
미국 시장은 패션 트렌드의 발신지이며 세계 최대 시장이라는 점에서 글로벌 비지니스의 시작은 동시에 최종목적지이다. 또한 미국은 전 세계 브랜드가 집결하여 경쟁하는 최고의 시장이므로 세계화를 위한 관문이라 할 수있다. 2007년 한.미자유무역협정이 체결되어 의류, 섬유 부분의 수출 기회가 넓어졌기에 국내패션사업의 미국진출은 활발해졌다.
2
한국 패션 산업의 수출 및 미국 진출 현황
2.1 한국 패션 산업의 수출 현황
한국의 패션 의류 수출은 2006년 14.4% 2007년 14.1% 2008년11.5%로 하락하는 추세이다. 특히 패션 제품의 수출은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며 의류 제품의 수출을 2006년 섬유 쿼터폐지를 기점으로 수출은 급격히 하락하고 수입은 증가하면서 수입액이 수출액을 초과하는 기이한 현상이 발생하였고 그 격차 폭은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런 이유는 인건비 상승에 따른 경쟁력 하락과 섬유교역자유화에 기인한 것이다. (한국섬유산업의 시간당 노동비는 타 아시아 국가에 비해 약 10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남)
<신제품의 수출입 현황> <단위 : US$ 백만>
연 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패션제품
수 출
18,783
16,081
15,253
15,192
13,946
13,232
13,446
수 입
4,788
4,860
5,897
6,360
6,765
8,0487
8,909
의류제품
수 출
4,652
3,924
3,350
3,085
2,314
103656
1,705
수 입
1,241
1,562
3,458
2,652
2,812
36,11
4,181
국가별 수출 비중의 변화 - 1990초기 미국 일본에 집중 점차 여러 나라로 분산되었고 2005년 이후 중국이 한국의 패션 제품 수출 11위국으로 변화 하지만 여전히 미국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2002년에 53.3%으로 최고 절정이었지만 2005년 이후 점차 하락하여 2007년 31.7%를 차지 하고 있다.<표2>
표2. <의류제품의 수출비중> <단위 : %>
순위
1990
1995
2000
2002
2005
2007
국가
점유율
국자
점유율
국가
점유율
국가
점유율
국가
점유율
국가
점유율
1
미국
41.4
일본
37.7
미국
54.4
미국
53.5
미국
45.2
미국
31.7
2
일본
30.9
미국
37
일본
21.9
일본
15.3
일본
18
중국
21
3
독일
4.9
독일
4.9
캐나다
3.9
중국
6.3
중국
14.1
입본
17.4
2.2 한국 패션 산업의 미국 진출 현황
2007년 5월 해외 진출브랜드는 약 180여개로 추정되며 이중 약 80%는 중국으로 진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 진출한 브랜드는 21개 이고 활발하게 경영활동을 진행하고 있는 브랜드는 9개로 조사되었다. <표3>
표3. <국내 패션브랜드의 미국 진출 현황>
복종
업체명
브
키워드
추천자료
[브랜드] 한국 고유브랜드의 성공 사례 및 전략 모음집 (빈폴, 소나타, 쌈지, 애니콜, 진로, ...
패션잡지,광고전략,광고마케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
[글로벌마케팅]성공적 중국시장진출을 위한 국내기업의 차별화전략 사례
그로벌마케팅,패션마케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
SK telecom [ SKT의 해외진출 실패 ] - skt해외진출실패사례,SKT의 중국과 미국 실패,이동통...
아디다스 마케팅전략, 서론, 스포츠 시장환경분석, 자사분석, 아디다스 한국시장진출, 아디다...
유니클로마케팅전략, 유니클로경영전략, 유니클로분석, UNIQLO마케팅전략, UNIQLO분석, 패스...
한미FTA- 성공전략,한미FTA 전략,한미FTA 이후,한국과 미국의 관계,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
패션유통-인터넷마케팅,마케팅전략사례,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
Levi's Jean의 마케팅 실패와 해외진출 성공사례 [리바이스 소개]
[동서 문화의 이해] 전쟁이 패션에 미치는 영향 (제1·2차 세계대전, 미국과 베트남의 월남전,...
중국내수시장 진출 전략.pptx
경동나비엔의 해외 진출 전략,(러시아, 미국, 중국),경동나비엔,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
아프리카 시장,우리나라와 SADC의 교역현황,남부아프리카 진출확대,아프리카시장 접근방향,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