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계요소조사 및 분석
2).아이디어 소개
3).아이디어 설계(cad 도면(삼각법))
4) 3D 랜더링
5) 기대효과
2).아이디어 소개
3).아이디어 설계(cad 도면(삼각법))
4) 3D 랜더링
5) 기대효과
본문내용
1) 기계요소조사 및 분석
1. 요트란 ? - 상업, 군사, 과학, 교육 목적으로 사용치 않는 범선이나 동력선을 말한다. 보통의 경우 노를 젓거나 불갈퀴로 추진되는배, 모터가 선체 밖에 설치된 선외 발동기선 가은 것은 요트라 부르지 않는다. 요트는 갑판이 없는 작은 무갑판주정부터 호화스러운 대형 범선, 길이 60여 m의 디젤기관선에 이르는 다양한 크기의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향해, 경주, 대양횡당경기, 유람, 그리고 호화로운 시설을 갖추고 배안에서 즐기는 등 많은 놀이에 이용된다.
2. 요트의 어원 - 요트라는 말은 옜날 독일어 Jacht(Jachtschiff의 준말)에서 유래되었으며, 현재는 네덜란드어의 Yaght가 영어로 관용어가되어 yacht가 되었다고 한다. Yaght는 huntiong ship(추적선)이란 뜻의 작고 가벼운 슬루프 식 쾌속범선으로 14세기경 해적들에 의해 해적선으로 사용되었고, 네덜란드에서는 출몰하는 해적선을 나포하기 위해 이용되었다. 후에 이 쾌속선은 암스테르담 선주들이 동인도 무역선의 통선으로, 또는 유람선으로 사용하여, 16~17세기에는 운하, 호수, 포구 그리고 강 하구 등에서 많이 발달하였다. 영국에서는 요트라는 말이 사용된 것은 1660년 네덜란드에 망명하고 있던 영국왕자 찰스가 왕정이 복고되자 귀국하여 찰스 2세가 되어 즉위했을 때 네덜란드인이 선물한 100t급 야하트 메리호가 들어와 영어로 요트(yacht)로 불리게 되면서 부터이다.
3. 요트의 종류
(1) 요트형식에 따른 분류
세일요트와 모터요트로 구분되는데 동력선의 경우는 선체가 크고 실내가 호화로운 개인용 배만 요트(모터 요트)로 불린다. 배의길이는 9m~30m가 일반적이다. 길이 9m이하의 소형 동력선은 ‘모터보트’ 또는 ‘파워보트’라고 불린다. 세일요트는 크기와 상관없이 요트로 불리며 19세기 증기선이 출현한 이후 돛 배는 여객. 화물선 등 업무용 배로 더 이상 쓰이지 않게 됐다. 돛 배는 순수 레져 스포츠 용으로만 제작됐기 때문에 고급스런 이미지가 생겨났다. 세일 요트는 주로 경주를 하거나 세계 일주를 하는 등 스포츠 성격이 강하다.
(수영장까지 있는 메가 요트)
(2) 세일요트 선체에 따른 분류
세일요트는 선체 모양에 따라 모노헐(Monohull) 과 멀티헐(Multi-Hull)로 구분된다. 모노헐은 선체 아래에 ‘길’이라는 중심추가 달려있으며, 이로인해 바람을 맞을때 밀리거나 전복되지 않도록 막아준다. 작은 요트로 세계 일주를 할수있는것도 이 때문이다. 멀티헐 요트는 2개이상 헐을 연결해 넓적하게 만들었다. 여러 개의 헐이 배의 균형을 잡아줘 배가 전복되는 것을 마가준다. 요즘은 기술이 발달로 비교적 물의 저항을 덜 받는 멀티형 경기정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3) 요트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
요트사용목적에 따라 요트는 크게 3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크루져(cruiser)로 여객운송을 위한 목적의 요트이며 장거리 항해동안 불편이 없도록 넓은 캐빈과 다양한 옵션을 갖췄다. 두 번째는 레이서(racer)로 레이싱을 하기 위해 만든 요트이다. 따라서 속도를 내기 위해 선체가 낮고 마스트가 높고 각종 리깅이 많다. 세 번째는 딩기(dinghy)로 선실이 없고 주로 소형인 상륙용으로도 혹은 경주용으로 사용된다.
(4) 마스트와 세일에 의한 분류
1) 캣(cat) - 한 장의 세일로 되어 있어 초보자에게 가장 빠르게 세일링의 원리를 배우게 해주는 요트로 주로 딩기 클래스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2) 슬루프(Sloop) -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써 mast 하나에 main-sail 하나, jib-sail 하나를 갖춘 요트로 속도가 빠르고 선회성이 좋으며 가장 좋은 레이스 클래스라고 할수 있다.
3) 커터(Cutter) - Mast가 하나로 sloop와 비슷하나 jub-sail이 두장이다.
4) 욜(Yawl) - Ketch 와 같으며 뒷 mast가 rudder post 보다 뒤에 있다.
5) 캐치 (ketch) - mast가 두 개로 뒷 mast가 작고 rudder post 보다 앞에 있다.
6) 스쿠너(Schooner) - 두 개이상의 mast를 가지고 있으며 mast 크기와 위치에 구분없이 형태에 따라 나누어 진다.
(5) 선저구조에 의한 분류
1) 리보드(Leeboard) - 초기의 요트로써 요트가 조류나 바람에 횡쪽으로 밀리는 것을 막는 것으로 저항판인 리보드를 양현에 설치하여 바람이 불어가는쪽 (leeward)의 리보드를 물속에 내린다.
2) 센터보드(Centerboard) - 센터보드는 용골(Kell)이 횡방향으로의 저항을 받지 않는 형의 배에 선체 중앙의 수면 아래쪽으로 내려져 있어 횡방향으로 저항을 생기게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널빤지 모양이며, 딩기정에서 가장 많이 볼수있으며 물속으로 올렸다, 내렸다 할수 있따. 즉 리보드를 선체 중앙에 옮겨 놓은것이다.
3) 헤비킬 (heavy Keel) - 무게중심을 낮추고 복원력을 갖게 하기 위해서 선체의 길 자체가 깊고 긴 저항체를 하고 있는 형태로 그 하부에 하나의 밸러스트(ballast)역할을 하고 있는데, 이를
1. 요트란 ? - 상업, 군사, 과학, 교육 목적으로 사용치 않는 범선이나 동력선을 말한다. 보통의 경우 노를 젓거나 불갈퀴로 추진되는배, 모터가 선체 밖에 설치된 선외 발동기선 가은 것은 요트라 부르지 않는다. 요트는 갑판이 없는 작은 무갑판주정부터 호화스러운 대형 범선, 길이 60여 m의 디젤기관선에 이르는 다양한 크기의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향해, 경주, 대양횡당경기, 유람, 그리고 호화로운 시설을 갖추고 배안에서 즐기는 등 많은 놀이에 이용된다.
2. 요트의 어원 - 요트라는 말은 옜날 독일어 Jacht(Jachtschiff의 준말)에서 유래되었으며, 현재는 네덜란드어의 Yaght가 영어로 관용어가되어 yacht가 되었다고 한다. Yaght는 huntiong ship(추적선)이란 뜻의 작고 가벼운 슬루프 식 쾌속범선으로 14세기경 해적들에 의해 해적선으로 사용되었고, 네덜란드에서는 출몰하는 해적선을 나포하기 위해 이용되었다. 후에 이 쾌속선은 암스테르담 선주들이 동인도 무역선의 통선으로, 또는 유람선으로 사용하여, 16~17세기에는 운하, 호수, 포구 그리고 강 하구 등에서 많이 발달하였다. 영국에서는 요트라는 말이 사용된 것은 1660년 네덜란드에 망명하고 있던 영국왕자 찰스가 왕정이 복고되자 귀국하여 찰스 2세가 되어 즉위했을 때 네덜란드인이 선물한 100t급 야하트 메리호가 들어와 영어로 요트(yacht)로 불리게 되면서 부터이다.
3. 요트의 종류
(1) 요트형식에 따른 분류
세일요트와 모터요트로 구분되는데 동력선의 경우는 선체가 크고 실내가 호화로운 개인용 배만 요트(모터 요트)로 불린다. 배의길이는 9m~30m가 일반적이다. 길이 9m이하의 소형 동력선은 ‘모터보트’ 또는 ‘파워보트’라고 불린다. 세일요트는 크기와 상관없이 요트로 불리며 19세기 증기선이 출현한 이후 돛 배는 여객. 화물선 등 업무용 배로 더 이상 쓰이지 않게 됐다. 돛 배는 순수 레져 스포츠 용으로만 제작됐기 때문에 고급스런 이미지가 생겨났다. 세일 요트는 주로 경주를 하거나 세계 일주를 하는 등 스포츠 성격이 강하다.
(수영장까지 있는 메가 요트)
(2) 세일요트 선체에 따른 분류
세일요트는 선체 모양에 따라 모노헐(Monohull) 과 멀티헐(Multi-Hull)로 구분된다. 모노헐은 선체 아래에 ‘길’이라는 중심추가 달려있으며, 이로인해 바람을 맞을때 밀리거나 전복되지 않도록 막아준다. 작은 요트로 세계 일주를 할수있는것도 이 때문이다. 멀티헐 요트는 2개이상 헐을 연결해 넓적하게 만들었다. 여러 개의 헐이 배의 균형을 잡아줘 배가 전복되는 것을 마가준다. 요즘은 기술이 발달로 비교적 물의 저항을 덜 받는 멀티형 경기정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3) 요트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
요트사용목적에 따라 요트는 크게 3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크루져(cruiser)로 여객운송을 위한 목적의 요트이며 장거리 항해동안 불편이 없도록 넓은 캐빈과 다양한 옵션을 갖췄다. 두 번째는 레이서(racer)로 레이싱을 하기 위해 만든 요트이다. 따라서 속도를 내기 위해 선체가 낮고 마스트가 높고 각종 리깅이 많다. 세 번째는 딩기(dinghy)로 선실이 없고 주로 소형인 상륙용으로도 혹은 경주용으로 사용된다.
(4) 마스트와 세일에 의한 분류
1) 캣(cat) - 한 장의 세일로 되어 있어 초보자에게 가장 빠르게 세일링의 원리를 배우게 해주는 요트로 주로 딩기 클래스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2) 슬루프(Sloop) -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써 mast 하나에 main-sail 하나, jib-sail 하나를 갖춘 요트로 속도가 빠르고 선회성이 좋으며 가장 좋은 레이스 클래스라고 할수 있다.
3) 커터(Cutter) - Mast가 하나로 sloop와 비슷하나 jub-sail이 두장이다.
4) 욜(Yawl) - Ketch 와 같으며 뒷 mast가 rudder post 보다 뒤에 있다.
5) 캐치 (ketch) - mast가 두 개로 뒷 mast가 작고 rudder post 보다 앞에 있다.
6) 스쿠너(Schooner) - 두 개이상의 mast를 가지고 있으며 mast 크기와 위치에 구분없이 형태에 따라 나누어 진다.
(5) 선저구조에 의한 분류
1) 리보드(Leeboard) - 초기의 요트로써 요트가 조류나 바람에 횡쪽으로 밀리는 것을 막는 것으로 저항판인 리보드를 양현에 설치하여 바람이 불어가는쪽 (leeward)의 리보드를 물속에 내린다.
2) 센터보드(Centerboard) - 센터보드는 용골(Kell)이 횡방향으로의 저항을 받지 않는 형의 배에 선체 중앙의 수면 아래쪽으로 내려져 있어 횡방향으로 저항을 생기게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널빤지 모양이며, 딩기정에서 가장 많이 볼수있으며 물속으로 올렸다, 내렸다 할수 있따. 즉 리보드를 선체 중앙에 옮겨 놓은것이다.
3) 헤비킬 (heavy Keel) - 무게중심을 낮추고 복원력을 갖게 하기 위해서 선체의 길 자체가 깊고 긴 저항체를 하고 있는 형태로 그 하부에 하나의 밸러스트(ballast)역할을 하고 있는데, 이를
추천자료
openGL의 이해
멀티미디어의 미래
컴퓨터 그래픽스의 역사 및 활용분야
렌더링 알고리즘의 요약정리
사이버 심리학 (서울산업대학교 심리학)
한국에서의 외국인노동자 인권 및 지원단체에 관한 조사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발전과 문제점 해결방안
[직업][직업조사][직종][유망직업][유망직종][인기직종][직업적 자질]컴퓨터프로그래머, 디지...
실내디자인,시각디자인,산업디자인 등 디자인에 대한 연구
컴퓨터게임학습(교육, 수업)프로그램, 생활언어학습(교육, 수업)프로그램, 마당놀이학습(교육...
Carsim_제네시스
[주택건설 동향][주택건설 관련법 현황][주택건설 기준][주택건설 구상과 도면][주택건설 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