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서론
Ⅱ. 한국의 전통 사상에 따른 아동관 및 아동 교육
1. 신화와 아동교육
2. 무속과 아동교육
3. 불교와 아동교육
4. 도교와 아동교육
5. 유교와 아동교육
6. 동학과 아동교육
Ⅲ. 우리나라 전통 보육
1. 동몽의 시기
2. 동몽교육의 원리
1) 모방의 원리
2) 조기교육의 원리
3) 지행일치의 원리
4) 생활 교육의 원리
5) 남녀유별의 원리
6) 발달 특성의 원리
Ⅳ.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Ⅱ. 한국의 전통 사상에 따른 아동관 및 아동 교육
1. 신화와 아동교육
2. 무속과 아동교육
3. 불교와 아동교육
4. 도교와 아동교육
5. 유교와 아동교육
6. 동학과 아동교육
Ⅲ. 우리나라 전통 보육
1. 동몽의 시기
2. 동몽교육의 원리
1) 모방의 원리
2) 조기교육의 원리
3) 지행일치의 원리
4) 생활 교육의 원리
5) 남녀유별의 원리
6) 발달 특성의 원리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능성을 계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논어>에서 언급하고 있는 “ 성상근 습상원(性相近習相遠)”이라는 구절에서 엿볼 수 있다. 즉 인간의 품성은 태어날 때는 서로 비슷하지만, 학습과 교육을 통해서 서로 멀어진다고 하여 인간을 형성되어가는 존재로 이해하였다. 특히 조선시대의 유학이념이 전통사회의 지배이념으로 정착된 이후에는 동몽교육이 지배층의 문화와 질서를 습득하는 과정으로 변화하였다. 그래서 유학의 교육이념이었던 수기치인(修己治人)의 인간을 육성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동몽교육이 존재 했다.
1. 동몽의 시기
전통사회에서 사용하는 동몽이라는 용어는 현대의 유아 혹은 아동이라는 개념과는 상이한 점이 있다. 그래서 이 두 용어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없다. 예컨대 현대사회에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유아 혹은 아동이라는 용어는 개념과 시기가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다. 그러나 전통사회에서의 동몽은 개념뿐만 아니라 시기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없다. 이는 전통사회의 동몽교육 내지 유아교육이 가지는 비형식성과 신체발달의 특성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예컨대 현대의 제도적 교육은 형식적 교육기관을 통하여 교육내용을 전달하거나 학습시킬 수 있지만 전통사회의 비형식적 교육은 임신 후 태교에서 시작하여 동몽이 될 때까지 비형식적으로 또한 비구조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몽의 시기를 분명하게 구분하기 힘들다.
다만 전통사회에서 동몽의 시기는 8세에 입학하고 15세에 지우학(至于學)하는 기간이라는 점과 15세경에 관례(冠禮)를 치루었던 점을 들어 8세 부터15세까지로 규정하였다.(정순목, 1983) 그래서 전통사회에서 동몽의 시기를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7.8세부터 시작하여 중학교 졸업시기인 15세까지로 보아도 별 무리가 없을 것이다.
2. 동몽교육의 원리
동몽교육의 내용들을 실제로 교육할 때 어떠한 방법적 원리에 입각하여 적용하였는가를 밝혀 보고자 한다. 모든 교육적 이상은 방법의 원리에 의하여 그 성과가 결정된다. 특히 유학교육은 지식학의 종합체계이므로 그 방법의 원리는 둘이면서 하나이다. 왜냐하면 그 교육원리가 교육방법과 합치될 때 지행일치(知行一致)의 올바른 교육이 이루어진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유점숙(1994)은 전통사회의 아동교육의 원리를 6가지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들은 오늘날 서양의 실험적 학문에서도 그 효과가 증명되고 있어서 동양적 사고의 우수성을 증명해 주고 있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모방의 원리
아동은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고정되지 않고 형성단계에 있는 존재로서 가소성이 풍부하다. 뿐만 아니라 아동은 또한 모방성도 강하기 때문에 주위환경이 좋고 나쁨이 그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하겠다. 이러한 관점에서 조선시대의 동몽교육에서는 부모의 모범적인 언행, 스승의 선택과 벗의 사귐, 그리고 교육적인 환경 조성 등을 매우 중시하였다. 그 결과 아동에게 여러 면으로 선한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사회가 원하는 바람직한 인간상에 도달하도록 하였다.
2) 조기교육의 원리
<논어>에 따르면 “인간의 기질은 본래는 거의 차이가 없으나 습관에 의해 크게 달라진다”라 하여 조기교육의 근거로 후천적인 경험 즉, 습관을 강조하고, 또 “모든 사람은 교육시킬 수 있으나 구별이 있을 수 없다”고 하여 교육의 가능성도 제시하였다.<논어>에서는 조기교육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자식이 밥을 먹을 수 있게 되거는 가르치되 오른손으로써 하게하며, 말을 할 수 있게 되거든 사내 아이는 빨리 대답하고 계집아이는 느즉히 대답하게 하며 사내아이의 띠는 가죽띠로 하고 계집 아이의 띠는 실로 할 것이다. 여섯 살이 되거든 하나.둘.셋 등의 셈하는 것과 동.서.남.북등의 방위의 이름을 가르칠 것이다. 일곱 살이 되면 남녀가 자리를 같이하여 앉지 않으며 음식을 함께 먹지 않는다--- 나쁜 습관이 형성되기 이전에 바람직한 방향으로 학습을 실시할 것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또 6세와 7세의 아동들에게 대한 조기교육 내용도 밝히고 있다.
조선시대의 동몽교육은 유소시(流蘇時)의 가역성과 전리성(專利性,정신이 잡념 없고 예리함) 그리고 성장후의 산일성(散逸性, 사고가 산만하고 안일함)을 인정하여 조기교육을 강조하였다. 동몽교재에 나타난 조기교육의 내용도 대부분 나쁜 습관이 형성되어 굳어지기 이전에 유가적 예절을 습득시킴으로써 자라서도 좋은 습관을 유지토록 하여 하나의 안전한 인격체가 이루어지도록 노력한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전통사회의 조기교육에서는 도덕적인 조기교육을 우선적으로 내세우면서도 외형적인 행동거지나 행동에 대해서도 조기교육의 필요성을 간과하지 않고 있다. 즉, 생활습관 면에서 조기교육을 강조하면서 도덕적인 인격체의 형성에 대한 교육과 병행해 나갔는데, 이것은 현대의 조기교육이 지식교육이나 기능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는 사실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 점에서 많은 시사점을 던져 주고 있다.
3) 지행일치의 원리
지행일치(知行一致)의 원리는 곧 지식과 실천의 결합원리라고도 할 수 있는 바, 지식으로써 실천을 이끌어 나가고 실천으로써 지식을 시험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러한 원리에 대해서는 주자(朱子)가 일찍이 <속근사록 (續近思錄)> 제 2권에서 상세하게 밝힌바 있다. 그의 말에 의하면, “헛되이 밝아 행(行)하지 않으면 그 밝음이 사용되는 바가 없어 캄캄하게 어두운 행일뿐이다”라고 했다. 여기서 말한 ‘밝음’이란 지식에서 얻은 밝음을 나타내고 있는데, 그의 말을 바꾸어서 새겨보면, 알고 있으나 행하지 않으면 그 지식은 공허한 것이 되고, 행하나 지식이 없으면 그 행함은 캄캄하게 어두운 것이 된다는 뜻이다. 그래서 지와 행은 마땅히 병진(竝進)해야하며 어느 한 쪽에 치중해서도 안되며 또 어느 한 쪽을 무시해서도 안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중용>의 제12장에서 학문하는 태도나 방법으로 제시한 박학(博學). 심문(審問).신사(愼思).명변(明辯).독행(篤行)도 분석하여 보면 박학에서 명변까지는 지에 해당하므로 지에도 힘써야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이것은 행의 달성을 위한, 즉 독행에 대한 준비과정이므로 독행이 없으면 공허함에 빠지게 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지행일치의 교육원리는 덕행을 강
1. 동몽의 시기
전통사회에서 사용하는 동몽이라는 용어는 현대의 유아 혹은 아동이라는 개념과는 상이한 점이 있다. 그래서 이 두 용어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없다. 예컨대 현대사회에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유아 혹은 아동이라는 용어는 개념과 시기가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다. 그러나 전통사회에서의 동몽은 개념뿐만 아니라 시기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없다. 이는 전통사회의 동몽교육 내지 유아교육이 가지는 비형식성과 신체발달의 특성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예컨대 현대의 제도적 교육은 형식적 교육기관을 통하여 교육내용을 전달하거나 학습시킬 수 있지만 전통사회의 비형식적 교육은 임신 후 태교에서 시작하여 동몽이 될 때까지 비형식적으로 또한 비구조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몽의 시기를 분명하게 구분하기 힘들다.
다만 전통사회에서 동몽의 시기는 8세에 입학하고 15세에 지우학(至于學)하는 기간이라는 점과 15세경에 관례(冠禮)를 치루었던 점을 들어 8세 부터15세까지로 규정하였다.(정순목, 1983) 그래서 전통사회에서 동몽의 시기를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7.8세부터 시작하여 중학교 졸업시기인 15세까지로 보아도 별 무리가 없을 것이다.
2. 동몽교육의 원리
동몽교육의 내용들을 실제로 교육할 때 어떠한 방법적 원리에 입각하여 적용하였는가를 밝혀 보고자 한다. 모든 교육적 이상은 방법의 원리에 의하여 그 성과가 결정된다. 특히 유학교육은 지식학의 종합체계이므로 그 방법의 원리는 둘이면서 하나이다. 왜냐하면 그 교육원리가 교육방법과 합치될 때 지행일치(知行一致)의 올바른 교육이 이루어진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유점숙(1994)은 전통사회의 아동교육의 원리를 6가지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들은 오늘날 서양의 실험적 학문에서도 그 효과가 증명되고 있어서 동양적 사고의 우수성을 증명해 주고 있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모방의 원리
아동은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고정되지 않고 형성단계에 있는 존재로서 가소성이 풍부하다. 뿐만 아니라 아동은 또한 모방성도 강하기 때문에 주위환경이 좋고 나쁨이 그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하겠다. 이러한 관점에서 조선시대의 동몽교육에서는 부모의 모범적인 언행, 스승의 선택과 벗의 사귐, 그리고 교육적인 환경 조성 등을 매우 중시하였다. 그 결과 아동에게 여러 면으로 선한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사회가 원하는 바람직한 인간상에 도달하도록 하였다.
2) 조기교육의 원리
<논어>에 따르면 “인간의 기질은 본래는 거의 차이가 없으나 습관에 의해 크게 달라진다”라 하여 조기교육의 근거로 후천적인 경험 즉, 습관을 강조하고, 또 “모든 사람은 교육시킬 수 있으나 구별이 있을 수 없다”고 하여 교육의 가능성도 제시하였다.<논어>에서는 조기교육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자식이 밥을 먹을 수 있게 되거는 가르치되 오른손으로써 하게하며, 말을 할 수 있게 되거든 사내 아이는 빨리 대답하고 계집아이는 느즉히 대답하게 하며 사내아이의 띠는 가죽띠로 하고 계집 아이의 띠는 실로 할 것이다. 여섯 살이 되거든 하나.둘.셋 등의 셈하는 것과 동.서.남.북등의 방위의 이름을 가르칠 것이다. 일곱 살이 되면 남녀가 자리를 같이하여 앉지 않으며 음식을 함께 먹지 않는다--- 나쁜 습관이 형성되기 이전에 바람직한 방향으로 학습을 실시할 것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또 6세와 7세의 아동들에게 대한 조기교육 내용도 밝히고 있다.
조선시대의 동몽교육은 유소시(流蘇時)의 가역성과 전리성(專利性,정신이 잡념 없고 예리함) 그리고 성장후의 산일성(散逸性, 사고가 산만하고 안일함)을 인정하여 조기교육을 강조하였다. 동몽교재에 나타난 조기교육의 내용도 대부분 나쁜 습관이 형성되어 굳어지기 이전에 유가적 예절을 습득시킴으로써 자라서도 좋은 습관을 유지토록 하여 하나의 안전한 인격체가 이루어지도록 노력한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전통사회의 조기교육에서는 도덕적인 조기교육을 우선적으로 내세우면서도 외형적인 행동거지나 행동에 대해서도 조기교육의 필요성을 간과하지 않고 있다. 즉, 생활습관 면에서 조기교육을 강조하면서 도덕적인 인격체의 형성에 대한 교육과 병행해 나갔는데, 이것은 현대의 조기교육이 지식교육이나 기능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는 사실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 점에서 많은 시사점을 던져 주고 있다.
3) 지행일치의 원리
지행일치(知行一致)의 원리는 곧 지식과 실천의 결합원리라고도 할 수 있는 바, 지식으로써 실천을 이끌어 나가고 실천으로써 지식을 시험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러한 원리에 대해서는 주자(朱子)가 일찍이 <속근사록 (續近思錄)> 제 2권에서 상세하게 밝힌바 있다. 그의 말에 의하면, “헛되이 밝아 행(行)하지 않으면 그 밝음이 사용되는 바가 없어 캄캄하게 어두운 행일뿐이다”라고 했다. 여기서 말한 ‘밝음’이란 지식에서 얻은 밝음을 나타내고 있는데, 그의 말을 바꾸어서 새겨보면, 알고 있으나 행하지 않으면 그 지식은 공허한 것이 되고, 행하나 지식이 없으면 그 행함은 캄캄하게 어두운 것이 된다는 뜻이다. 그래서 지와 행은 마땅히 병진(竝進)해야하며 어느 한 쪽에 치중해서도 안되며 또 어느 한 쪽을 무시해서도 안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중용>의 제12장에서 학문하는 태도나 방법으로 제시한 박학(博學). 심문(審問).신사(愼思).명변(明辯).독행(篤行)도 분석하여 보면 박학에서 명변까지는 지에 해당하므로 지에도 힘써야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이것은 행의 달성을 위한, 즉 독행에 대한 준비과정이므로 독행이 없으면 공허함에 빠지게 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지행일치의 교육원리는 덕행을 강
추천자료
루소의 유아교육 사상과 21세기의 유아교육(에밀) 아동교육
[중국][중국 전통사상][중국 역사][중국 산업][중국인][중국 농업][중국 경제][중국과 한국 ...
예수그리스도(그리스도, 예수) 역사와 인격, 예수그리스도(그리스도, 예수) 윤리적 특징과 사...
보육학개론-영유아기의 발달에 적합하고 전인적 성장을 고려한 교육에 대해 본인의 관점을 논...
고구려대학 보육학개론, 아동미술에 대한 기말고사 예상문제 및 답안
[보육학개론] 영양개념 형성을 위한 영양 교육 프로그램[주간계획안, 활동계획안포함]
[보육학개론] 장애아 보육 확충방안 - 통합교육을 중점으로
[보육학개론]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3가지 제시 및 각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미 및 본인의 견해
[보육학개론] 영유아 발달과 교육 - 발달이론이 보육에 주는 시사점 (성숙이론, 정신분석이론...
[보육학개론] 유아기 언어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논하시오.
[보육학개론]보육의 과제와 전망 및 보육형태에 따른 과제와 전망
[보육학개론]부모와 지역사회연계 - 부모교육과 부모상담 및 부모참여, 보육시설과 지역사회 ...
[보육학개론] 보육시간에 따른 보육의 유형(7가지)과 보육목적에 따른 유형(5가지) : 보육 유형
[보육학개론] 프뢰벨의 교육원리와 은물(1-10)의 내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시오 (은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