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목차
Ⅰ. 망상장애의 정의 및 진단적 특징
1. 진단적 특징
2. 역사적 고찰
3. DSM-IV의 진단기준
4. ICD-10의 진단분류와 지침
5. 감별진단
Ⅱ. 역학
1. 특정 문화 및 성별 특징
2. 유병률
3. 경과 및 예후
4. 가계 양상
Ⅲ. 유형에 따른 임상양상
1. 색정형
2. 과대형
3. 질투형
4. 피해형
5. 신체형
6. 혼재형
7. 불특정형
※ 부수적 특징 및 장애
Ⅳ. 원인
1. 생물학적 요인
2. 정신역동적 요인
3. 기타 사회문화적 요인
Ⅴ. 사례 분석
Ⅵ. 치료
1. 입원치료
2. 정신치료
3. 약물치료
4. 가족치료
5. 환자 돌보기
1. 진단적 특징
2. 역사적 고찰
3. DSM-IV의 진단기준
4. ICD-10의 진단분류와 지침
5. 감별진단
Ⅱ. 역학
1. 특정 문화 및 성별 특징
2. 유병률
3. 경과 및 예후
4. 가계 양상
Ⅲ. 유형에 따른 임상양상
1. 색정형
2. 과대형
3. 질투형
4. 피해형
5. 신체형
6. 혼재형
7. 불특정형
※ 부수적 특징 및 장애
Ⅳ. 원인
1. 생물학적 요인
2. 정신역동적 요인
3. 기타 사회문화적 요인
Ⅴ. 사례 분석
Ⅵ. 치료
1. 입원치료
2. 정신치료
3. 약물치료
4. 가족치료
5. 환자 돌보기
본문내용
perated because he thought that the hair loss had begun with some \"pills\" he had been prescribed several years previously for anxiety and insomnia and that a psychiatrist might help him to understand his case and prescribe an antidote that might relieve hair loss. Treatment with an antidepressant agent proved unsatisfactory, and the patient was given an atypical antipsychotic drug with modest success. He complained less frequently about hair loss and eventually began to express concern about his loneliness and his fear of being a burden to his aging parents, whom he lived with for financial reasons. His insight, however, remained limited, and he intermittently voiced his concerns about his appearance and hair loss to his psychiatrist.
한 40대의 무직 독신 남자가 그의 개인 의사에게 탈모증으로 인한 불만을 계속해서 털어놓았다. 한 피부과 의사는 그의 환자를 진찰했는데, 아무런 문제점도 찾지 못했고, 그런 최소한의 탈모는 정상적이라는 결과를 주었다. 그러나 그 환자는 이 진단을 거부했고, 더 진찰받기를 원했다. 하지만 그런 환자 관리의 제한 때문에 환자는 자신의 자금으로 두명의 전문가를 더 만났고, 같은 결과를 얻었다. 그는 탈모로 인한 부끄러움 때문에 직업도 그만두었고, 경제적으로 큰 적자가 났다. 그의 정신과 진단은 그를 화나게 했지만, 그는 그의 탈모가 몇 년 전 불면증과 불안으로 처방받은 약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정신과 의사라면 자신의 상황을 이해하고 탈모를 줄일 수 있는 약을 처방해 줄 것이라고 믿어서 협조하였다. 항우울제를 이용한 처방은 부족한 것이었다는 것을 증명하였고, 환자는 일반적인 항정신병약을 처방받고서 최소한의 효과를 보았다. 그는 그의 탈모에 대해서 덜 불평하게 되었고, 그의 외로움과 자신의 재정적 문제로 인해 얹혀사는 부모님에 대해 자신이 짐이 될까봐 두려워하는 것에 대해서 말하기 시작했다. 그는 가끔가다가 제한적으로, 그의 외모와 탈모에 대한 속마음을 정신과 의사에게 말하였다.
6. 혼재형
어느 한 가지의 망상적 주제가 두드러지지 않는 경우이다.
7. 불특정형
주된 망상적 믿음이 위에 기술된 어떤 유형에도 정확히 부합되지 않는 경우이다(예 : 뚜렷한 피해망상이나 과대망상 요소가 없는 관계망상).
※ 부수적 특징 및 장애
망상적인 믿음의 결과로 사회 생활이나 결혼 생활 또는 직업 생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장애가 있는 개인들에게 관계망상(예: 우연한 일이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는 생각)이 흔한다. 이러한 사건들에 대한 해석은 보통 망상적 믿음의 내용과 일치된다. 망상장애가 있는 개인들은 대부분 짜증이나 불쾌감을 잘 느끼는데, 이는 자신의 망상적 믿음에 대한 반응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피해형이나 질투형의 경우는 격심한 분노나 난폭한 행동을 보일 수 있다. 소송하기를 좋아해서 정부나 재판부에 수백 통의 항의 편지를 보내기도 하고 법정에 자주 나타난다. 질투형이나 색정형의 경우에도 법적인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신체형의 경우에는 불필요한 의학적 검사나 처치를 받기 쉽다. 청각장애, 심각한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예: 이민), 낮츤 사회 경제 수준이 망상장애를 일으키는 소인이 될 수 있다. 일반 인구보다 망상장애가 있는 개인들에게서 주요 우울증 삽화가 더 자주 일어난다. 우울증은 현저한 망상적 믿음이 생긴 이후에 나타나며, 비교적 가벼운 정도가 전형적이다. 망상장애는 강박장애, 신체변형장애, 편집성, 분열성, 또는 회피성 인격장애와 동반될 수 있다.
IV. 원 인
망상장애의 병인에 대하여서는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 최근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망상장애는 정신분열병과는 다른 이질적인 정신병적 상태를 말한다. 역학조사에 의하면 망상장애는 정신분열병보다 훨씬 드물고 발병연령도 늦으며, 기분장애에 비해 발생 빈도가 낮고 남녀의 비가 다르다. 또한 망상장애 환자의 친척에서 의심, 질투 또는 비밀을 좋아하는 망상장애와 관계된 인격경향이 강하지만 정신분열병이나 기분장애의 발생빈도가 높지 않고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에서 망상장애의 발생빈도가 증가되어 있지 않다.
Kendler 등(1981)은 정신분열병 입양아의 생물학적 친척 중에서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의 빈도가 높지만 망상장애에서의 입양아에서는 그렇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망상장애 환자에 대한 장기간의 추적조사에서 망상장애의 진단은 비교적 안정되어 있어 환자의 1/4 이하만이 정신분열병으로 재분류되고 10% 이하의 환자가 기분장애로 재분류된다. 이러한 연구자료를 종합할 때 망상장애는 정신분열병이나 기분장애와는 다른 독립적인 별개의 질환임을 알 수 있다.
1. 생물학적 요인
현재로서는 유전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한다고 볼 수는 없다. 그러나 광범위한 내과적인 질환이나 여러 물질들이 망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과 가족력이 많이 발견되는 등 유전적 소인이 있는 듯하다. 그러나 이는 정신분열병이나 기분장애의 가족력과는 관련이 없는 것 같다.
신경학적 장애가 있을 때 많은 망상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생물학적 원인이 추측되고 있다. 이때 대뇌피질은 정상적이므로 대뇌피질은 일단 형성된 망상을 지능화 하는데 기여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변연계와 기저신경핵을 침범하는 신경과적 질환도 망상을 동반할 수가 있다. 망상상태는 특정 환경에서의 감각 착오로 정상적 반응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자국 소리
한 40대의 무직 독신 남자가 그의 개인 의사에게 탈모증으로 인한 불만을 계속해서 털어놓았다. 한 피부과 의사는 그의 환자를 진찰했는데, 아무런 문제점도 찾지 못했고, 그런 최소한의 탈모는 정상적이라는 결과를 주었다. 그러나 그 환자는 이 진단을 거부했고, 더 진찰받기를 원했다. 하지만 그런 환자 관리의 제한 때문에 환자는 자신의 자금으로 두명의 전문가를 더 만났고, 같은 결과를 얻었다. 그는 탈모로 인한 부끄러움 때문에 직업도 그만두었고, 경제적으로 큰 적자가 났다. 그의 정신과 진단은 그를 화나게 했지만, 그는 그의 탈모가 몇 년 전 불면증과 불안으로 처방받은 약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정신과 의사라면 자신의 상황을 이해하고 탈모를 줄일 수 있는 약을 처방해 줄 것이라고 믿어서 협조하였다. 항우울제를 이용한 처방은 부족한 것이었다는 것을 증명하였고, 환자는 일반적인 항정신병약을 처방받고서 최소한의 효과를 보았다. 그는 그의 탈모에 대해서 덜 불평하게 되었고, 그의 외로움과 자신의 재정적 문제로 인해 얹혀사는 부모님에 대해 자신이 짐이 될까봐 두려워하는 것에 대해서 말하기 시작했다. 그는 가끔가다가 제한적으로, 그의 외모와 탈모에 대한 속마음을 정신과 의사에게 말하였다.
6. 혼재형
어느 한 가지의 망상적 주제가 두드러지지 않는 경우이다.
7. 불특정형
주된 망상적 믿음이 위에 기술된 어떤 유형에도 정확히 부합되지 않는 경우이다(예 : 뚜렷한 피해망상이나 과대망상 요소가 없는 관계망상).
※ 부수적 특징 및 장애
망상적인 믿음의 결과로 사회 생활이나 결혼 생활 또는 직업 생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장애가 있는 개인들에게 관계망상(예: 우연한 일이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는 생각)이 흔한다. 이러한 사건들에 대한 해석은 보통 망상적 믿음의 내용과 일치된다. 망상장애가 있는 개인들은 대부분 짜증이나 불쾌감을 잘 느끼는데, 이는 자신의 망상적 믿음에 대한 반응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피해형이나 질투형의 경우는 격심한 분노나 난폭한 행동을 보일 수 있다. 소송하기를 좋아해서 정부나 재판부에 수백 통의 항의 편지를 보내기도 하고 법정에 자주 나타난다. 질투형이나 색정형의 경우에도 법적인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신체형의 경우에는 불필요한 의학적 검사나 처치를 받기 쉽다. 청각장애, 심각한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예: 이민), 낮츤 사회 경제 수준이 망상장애를 일으키는 소인이 될 수 있다. 일반 인구보다 망상장애가 있는 개인들에게서 주요 우울증 삽화가 더 자주 일어난다. 우울증은 현저한 망상적 믿음이 생긴 이후에 나타나며, 비교적 가벼운 정도가 전형적이다. 망상장애는 강박장애, 신체변형장애, 편집성, 분열성, 또는 회피성 인격장애와 동반될 수 있다.
IV. 원 인
망상장애의 병인에 대하여서는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 최근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망상장애는 정신분열병과는 다른 이질적인 정신병적 상태를 말한다. 역학조사에 의하면 망상장애는 정신분열병보다 훨씬 드물고 발병연령도 늦으며, 기분장애에 비해 발생 빈도가 낮고 남녀의 비가 다르다. 또한 망상장애 환자의 친척에서 의심, 질투 또는 비밀을 좋아하는 망상장애와 관계된 인격경향이 강하지만 정신분열병이나 기분장애의 발생빈도가 높지 않고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에서 망상장애의 발생빈도가 증가되어 있지 않다.
Kendler 등(1981)은 정신분열병 입양아의 생물학적 친척 중에서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의 빈도가 높지만 망상장애에서의 입양아에서는 그렇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망상장애 환자에 대한 장기간의 추적조사에서 망상장애의 진단은 비교적 안정되어 있어 환자의 1/4 이하만이 정신분열병으로 재분류되고 10% 이하의 환자가 기분장애로 재분류된다. 이러한 연구자료를 종합할 때 망상장애는 정신분열병이나 기분장애와는 다른 독립적인 별개의 질환임을 알 수 있다.
1. 생물학적 요인
현재로서는 유전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한다고 볼 수는 없다. 그러나 광범위한 내과적인 질환이나 여러 물질들이 망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과 가족력이 많이 발견되는 등 유전적 소인이 있는 듯하다. 그러나 이는 정신분열병이나 기분장애의 가족력과는 관련이 없는 것 같다.
신경학적 장애가 있을 때 많은 망상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생물학적 원인이 추측되고 있다. 이때 대뇌피질은 정상적이므로 대뇌피질은 일단 형성된 망상을 지능화 하는데 기여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변연계와 기저신경핵을 침범하는 신경과적 질환도 망상을 동반할 수가 있다. 망상상태는 특정 환경에서의 감각 착오로 정상적 반응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자국 소리
추천자료
[내부장애][신장장애][심장장애][내부장애인][신장장애인][심장장애인]내부장애(신장장애, 심...
[시각장애][시각장애아][시각장애아동][시각장애인][시각장애학생][시각장애아교육]시각장애...
[청각장애][청력손실][청각장애인][청각장애아][청각장애아동][청각장애인 직업재활][직업재...
시각장애아동의 정의, 시각장애의 원인, 시각장애아동의 특성과 시각장애아교육의 배경, 시각...
[장애인사회통합][사회통합]장애인사회통합의 정의, 장애인사회통합의 목적, 장애인사회통합...
사이코 패스[반사회적 성격장애]의 개념 및 정의[사이코 패스의 원인 및 진단법][사이코 패스...
[특수체육지도방법] 지체장애의 정의와 분류, 특성, 지도방법 및 스포츠영역
장애인의 고용실태관련 법안의 문제점과 비판 및 대안(장애의 개념, 장애의 정의, 장애인 고...
정신건강간호학 간호과정 {망상 사고과정장애, 주의력 결핍 의사소통 장애, 현실감 결여와 자...
[의사소통장애] 의사소통장애의 개념정의(말장애, 언어장애), 의사소통장애의 원인(언어장애 ...
[이상심리학] 아동기 · 청소년기 장애의 임상적 특징과 하위유형별 이해 - 학습장애, 자폐성...
공황장애 정의와 역사및 공황장애 원인,증상,사례분석 공황장애 치료법분석
[장애유형별 정의 및 특성] 신체적 장애(지체장애,뇌병변장애,시각장애,청각장애,언어장애,안...
[정신적 장애] 지적장애 정신장애 자폐성 장애 - 개념과 원인 및 특성(특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