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산지소(地産地消)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산지소(地産地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지산지소란?
Ⅱ.사회적 표출현황
Ⅲ. 구체적 사례

본문내용

. 구체적 사례
1.농산물 직매장 ‘부도우바타’
후쿠오카시 남구에 있는 농산물직매 인 ‘부도우바타’는 일반 지사지소 운동의 모범적인 사설로 고이즈미 전 수상에게 표창장까지 받았다. 농민이 아침에 직접 수확 운송해 오는 시간을 고려해 늦게 문을열며, 이곳의 농산물은 95% 이상 후쿠오카시, 후쿠오카현, 크게는 큐슈지역에 생산되는 것들이다. 하지만, 완전히 지역 배타적인 적은 아니다. 훗카이도의 콩 나가노의 사과등도 연계로 팔고 있다. 이 직매장의 농산물을 가지고 오는 농민은 계절별로 70여명수준 연 300명의 농민들이 직거래 관계를 맺고 있다.
2.지산지소 식당 ‘라우라우’
후쿠오카시 중앙구의 신당인 ‘라우라우’는 지역 농산물 사용 식당으로 가장 오래된 식당이다. 무농약 음식물과 제철 야채들로 매일 식단이 바꾼다.
야채, 현미 등은 가까운 후쿠오카 현에서 가져오고 있으며 모든 양념을 직접 만들어 쓰고 있다. 식당이름 라우라우는 사모아 말로 ‘너와 나, 나와 너’라는 말이다.
4. 지산지소의 장점과 문제점
장점
①산지 직판장에서의 농축산물 판매로 생산자에게는 소농의 판로 확보와 유통비용 절감, 소비자에게는 안전한 농축산물 공급한다.
②학교급식을 통해 국산 농축산물 소비 확대, 어린이들에게 올바른 식교육이 가능하다.
③그린 투어리즘, 지역 소재 사원식당에서의 지역 농산물 이용 확대 등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문제점
①지산지소 운동이 그 지역의 생산품만 소비해야 된다는 오해를 가질 수 있다.
②지역 생산자가 그 지역의 상권을 독점할 우려가 있다.
③구매자의 좋은 인식이 없으면 지산지소 운동을 실행할 수 없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5.12.19
  • 저작시기201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05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