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2002 인력양성 체계도
결론
본론
2002 인력양성 체계도
결론
본문내용
함으로써 자기 주도형 학습을 통해서 스스로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도록 더 많은 기회를 열어두고 있다.
그럼 이러한 삼성의 경력관리제도는 과연 삼성의 조직성과에 어떠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가. 삼성은 국내에서 가장 인재를 중요시하는 기업으로 손꼽히고 있다. 삼성의 인력개발 연구소에는 삼성그룹내의 기업뿐 아니라 다른 기업도 도움을 받고 있고, 삼성의 인력 pool은 가히 국내 최고라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삼성의 이미지는 "일을 많이 시키기는 하지만 그만큼 대가를 주는 기업" 또는 "우수한 인재만 갈 수 있는 기업"이다. 또한 실제로도 삼성은 국내에서 가장 많은 박사급 인력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다. (44개 연구소에 740명가량을 보유하고 있다.) 즉 삼성의 치밀한 경력관리제도를 통해서 다수의 우수한 인재를 확보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서 2002년 기준으로 세계 6위의 특허 수를 획득(약 3000여건) 하였으며, DRAM, SRAM, Color Monitor,TFT-LCD, CPT & CDT, Deflection Yoke, Fly Back Transformer, Ratio Frequency Unit, LCD용 ITO유리, Rotary Transfomer, 석유시추선(DrillShip), 디메틸포름아마이드, CDMA Handset ,전자렌지, 진공형광 디스플레이, HGB 및 유도체등이 각 시장 세계 점유율 1위를 차지한 월드 베스트 상품을 만들 수 있었고, 이러한 바탕 속에서 2002년 137조원 매출, 15조원 세전 이익을 거두는 등 사상 최대 경영실적을 달성하였다.
결론
위에서 우리는 경력관리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았고, 삼성의 경력관리 체계와 그를 통해서 얻은 실제의 조직성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것으로 잘 만들어진 경력관리시스템을 활용하여 우수한 인재를 확보할 수 있고 이 우수한 인재의 지식으로 조직의 긍정적 성과를 이루어 낼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삼성의 이건희 회장이 "21세기는 탁월한 한 명의 천재가 천명, 만 명을 먹여 살리는 인재 경쟁의 시대" 라고 말한 적이 있다. 앞으로의 시장은 유형의 물건보다 무형의 지식이 보다 더 가치있게 거래 되는 시장으로 변할 것이고, 시장에서 그만큼 우수한 지식을 갖춘 우수한 인재의 필요성이 절실해질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속에서 성공하는 기업으로서 남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경력관리로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여 조직의 긍정적 성과를 이루어 내는것이 중요하다.
그럼 이러한 삼성의 경력관리제도는 과연 삼성의 조직성과에 어떠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가. 삼성은 국내에서 가장 인재를 중요시하는 기업으로 손꼽히고 있다. 삼성의 인력개발 연구소에는 삼성그룹내의 기업뿐 아니라 다른 기업도 도움을 받고 있고, 삼성의 인력 pool은 가히 국내 최고라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삼성의 이미지는 "일을 많이 시키기는 하지만 그만큼 대가를 주는 기업" 또는 "우수한 인재만 갈 수 있는 기업"이다. 또한 실제로도 삼성은 국내에서 가장 많은 박사급 인력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다. (44개 연구소에 740명가량을 보유하고 있다.) 즉 삼성의 치밀한 경력관리제도를 통해서 다수의 우수한 인재를 확보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서 2002년 기준으로 세계 6위의 특허 수를 획득(약 3000여건) 하였으며, DRAM, SRAM, Color Monitor,TFT-LCD, CPT & CDT, Deflection Yoke, Fly Back Transformer, Ratio Frequency Unit, LCD용 ITO유리, Rotary Transfomer, 석유시추선(DrillShip), 디메틸포름아마이드, CDMA Handset ,전자렌지, 진공형광 디스플레이, HGB 및 유도체등이 각 시장 세계 점유율 1위를 차지한 월드 베스트 상품을 만들 수 있었고, 이러한 바탕 속에서 2002년 137조원 매출, 15조원 세전 이익을 거두는 등 사상 최대 경영실적을 달성하였다.
결론
위에서 우리는 경력관리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았고, 삼성의 경력관리 체계와 그를 통해서 얻은 실제의 조직성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것으로 잘 만들어진 경력관리시스템을 활용하여 우수한 인재를 확보할 수 있고 이 우수한 인재의 지식으로 조직의 긍정적 성과를 이루어 낼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삼성의 이건희 회장이 "21세기는 탁월한 한 명의 천재가 천명, 만 명을 먹여 살리는 인재 경쟁의 시대" 라고 말한 적이 있다. 앞으로의 시장은 유형의 물건보다 무형의 지식이 보다 더 가치있게 거래 되는 시장으로 변할 것이고, 시장에서 그만큼 우수한 지식을 갖춘 우수한 인재의 필요성이 절실해질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속에서 성공하는 기업으로서 남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경력관리로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여 조직의 긍정적 성과를 이루어 내는것이 중요하다.
키워드
추천자료
[경영이론][조직이론][경영원론][조직관리][조직목표]경영이론, 조직이론, 경영원론, 조직관...
전략적간호관리4A) 건강관리조직(예: 병원)이 갖는 특성들을 설명, 간호사들이 조직에 만족하...
[기업 전략][기업][기업 고객관계관리전략][기업 부동산관리전략][노무관리]기업의 고객관계...
[사회복지]사회복지조직관리의 필요성, 사회복지조직관리의 중간관리자, 사회복지조직관리의 ...
[조직관리전략][조직관리][조직][총체적 품질경영기법]조직관리의 TQM(총체적 품질경영기법) ...
[조직관리][조직][인사관리][인사][갈등][위험][인간관계]조직의 인사관리, 조직의 변화관리,...
[기업관리][기업위기관리][기업보상관리][기업경영관리][기업조직관리][기업인적자원관리][인...
[조직관리][맥그리거이론][조직관리 임금 분석]조직관리의 개념, 조직관리의 지침, 조직관리...
[조직관리][조직학습이론][직무스트레스][조직관리 기법]조직관리의 특징, 조직관리의 내용, ...
[전략적간호관리4공통] ①건강관리조직(예: 병원) 특징, ②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 논하고,...
[전략적 간호관리 공통] ①건강관리조직(예: 병원) 특성, ②과학적 관리론과 인간 관계론 비교,...
(1) 건강관리조직(예: 병원)이 갖는 특성들을 설명하고, (2)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 관계론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