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백화점 패션 유통 전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롯데백화점 패션 유통 전략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롯데백화점 회사현황
① 회사 연혁
② 경영이념과 경영방침
③ 롯데백화점 상품군별 매출
④ 롯데백화점의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시스템

2. 롯데백화점 본점의 개요

3. 주변 입지조건

4. 롯데 백화점 본점 패션유통전략에 관한 인터뷰
① 상품구색
② 매장전략
③ 촉진전략

5. 인터뷰의 결론과 롯데백화점 유통의 한계

본문내용

점 창원점 오픈
2002년 5월 10일 - 롯데백화점 안양점 오픈
2002년 8월 23일 - 롯데백화점 인천점 오픈
2003년 2월 27일 - 롯데백화점 대구점 오픈
② 경영이념과 경영방침
롯데 백화점의 경영이념은 고객가치를 중시하고 항상 고객의 입장에서 고객의 만족과 신뢰를 얻는 고객 중심의 핵심 경영전략이다.
롯데백화점은 단순한 유통기업에 안주하지 않고 수익중심의 질적경영, 지식정보 서비스를 중시하는 경영패러다임으로 철저한 고객중심 경영과 통합물류, 유통정보시스템, 유통 인프라 구 축에 심혈을 기울여 나갈 것을 경영 방침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를 위해 백화점, 할인점, 롯데마트, 인터넷 사업 등 각 부문별 독립운영체로 선진유통기업의 기틀을 마련했으며 더불어 조직구성원의 가치와 역량을 중시하는 인간중심 경영을 하고 있다.
③ 롯데백화점 상품군별 매출
④ 롯데백화점의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시스템
롯데백화점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시스템은 롯데백화점과 전국에 산재해 있는 협력 업체가 인터넷상에서 발주 및 각종 부가정보(납품 정보, 판매정보, 대금정보, 세금정보 등)를 공유하므로써, 사무시간 단축 및 비용 절감 등 업무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유통 정보화 시스템이다.
2. 롯데백화점 본점의 개요
개점일 : 1979년 12월 17일
위치 : 중구 소공동
대표전화 : 02- 771- 2500
주차대수 : 1800여대
규모 : ① 매장면적 : 13,465평 / ② 지하 3층 ~ 지상 12층
1979년 개점한 롯데백화점 본점은 세계 명품에서부터 생활용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상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세점, 식당가 등 차별화된 문화생활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편리한 교통과 입지조건으로 국내고객은 물론 외국인 고객들까지도 유치하고 있다. 1979년 당시, 롯데백화점 명동점은 기존 백화점 면적의 2배가 넘는 규모로 지어져 백화점의 대형화와 다점포화의 계기가 되었다.
현재 롯데백화점 본점의 직원 수는 5340명, 1일 입점 고객수는 76000명, 매장 면적은 13288㎡이다. (2003년 2월 기준)
3. 주변 입지조건
롯데 백화점은 지하철 2호선 을지로 입구 역에서 곧바로 지하 1층 매장으로 연결되고, 4호선 명동 역에서 도보로 10~15분 거리, 1호선 시청 역에서 도보로 5분 거리, 1호선 종로1가역에서 도보로 10분 거리이다. 또한 백화점 주변에 3개의 버스정류장이 지나쳐 42개의 시내 버스 노선과 3개의 시외버스 노선이 지나치는 최적의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다.
4. 롯데 백화점 본점 패션유통전략에 관한 인터뷰
① 상품구색
▶보유 브랜드
대중적 이미지가 강한 롯데 백화점은 중가의 상품군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으며 연령에 제한을 두지 않는 포괄적인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거의 모든 업체와 거래 중이며 많은 브랜드들이 입점하길 원하지만 고객의 선호도,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 가운데 대중화 될 수 있고 꾸준하게 매출에 연결 될 수 있는 브랜드를 선정해서 입점시킨다.
그러나 간혹 인지도와 고객의 선호도가 높지만 입점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입점하지 못하는 이유는 고가의 브랜드, 저가의 브랜드가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롯데의 컨셉은 중가의 모든 고객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인데 반해 「앙드레 김」과 같은 브랜드는 소비자의 인지도는 높지만 선호도가 낮아 적절하지 않다. 또한 이랜드의「베이직 하우스」와 같은 브랜드는 저가(매출액이 낮고)이고 매장은 넓어 공간 할당에 있어 효율적이지 못하다.
▶브랜드 그룹핑
브랜드 그룹핑은 보통 연령별, 성별로 하는데, 연령대는 크게 제한을 두지 않는다.
멀티
  • 가격1,4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6.01.07
  • 저작시기201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15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