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열병 (Schizophrenia) case study A++ 정신간호학 실습 정신병동 컨퍼런스 만점자료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분열병 (Schizophrenia) case study A++ 정신간호학 실습 정신병동 컨퍼런스 만점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6) 경과 및 예후
7) 간호

Ⅲ. case study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Ⅳ. 결론
소감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이 약에 의해 발작이 야기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므로 간질, 경련의 소인(예 : 알코올금단 증상, 뇌손상 등)이 있는 환자의 경우 주의한다.
3) 티록신에 의해 이 약의 독성이 증강될 수 있으므로 갑상선기능 항진증 환자의 경우 신중히 투여한다.
4) 모든 항정신병약과 같이 우울증이 주증상인 경우에는 이 약을 단독으로 투여하지 않는다. 우울증과 정신병이 동반된 경우에는 항우울약을 병용투여할 수 있다.
5) 장기 연용시 환자를 주의하여 관찰하고 간?신기능, 혈액검사 등을 실시한다.
6) 졸음, 주의력·집중력·반사운동능력 등의 저하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 약을 투여 중인 환자는 자동차운전 등 위험을 수반하는 기계조작을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7) 이 약을 갑자기 투여중지하면 구역, 구토, 불면 등의 급성 금단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점차적으로 감량한다.
8) 이 약은 진토작용이 있어 다른 약물에 기인한 중독, 장폐색, 뇌종양 등에 의한 구토증상을 은폐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9) 치료초기에서 기립성 저혈압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감량하는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10) 백혈구감소증, 호중구감소증 및 무과립구증 : 임상시험 및/또는 시판 후 경험에 의하면 항정신병약물과 관련하여 일시적으로 백혈구감소증/호중구감소증 및 무과립구증의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백혈구감소증/호중구감소증의 위험인자로 임상적으로 유의한 기존의 백혈구수 감소 및 약물에 의한 백혈구감소증/호중구감소증 병력이 포함된다. 임상적으로 유의한 백혈구수 감소 또는 약물에 의한 백혈구감소증/호중구감소증 병력이 있는 환자의 경우 치료 초기 몇달간 총혈구수를 모니터링하고 다른 의심되는 요인 없이 백혈구수가 임상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는 징후가 처음 관찰되면 이 약의 투여 중지를 고려해야 한다. 임상적으로 유의한 호중구감소증 환자의 경우 열이나 감염 증상 또는 징후가 나타나는 지를 주의 깊게 모니터링 하고 해당 증상 또는 징후가 나타나면 즉시 치료한다. 중증의 호중구감소증 환자(절대호중구수<1000/㎣)의 경우 이 약을 중지해야 하고 회복될 때까지 백혈구수를 모니터링한다.
부작용
운동마비, 중증의 근육 강직, 연하곤란, 빈맥, 혈압변화, 탈한 등이 나타나
이러한 증상과 함께 발열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체냉각과 수분보급 등의 전신적 치료와 함께 적절한 처치를 한다. 이 증상의 발현시에는 백혈구 증가, 혈청 CPK의 상승이 자주 나타나고 미오글로빈뇨증을 수반한 신기능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고열이 지속되고 의식장애, 호흡곤란, 순환허탈과 탈수증상, 급성 신부전으로 발전해서 사망 했다는 보고가 있다.
15) 활동치료
-음악감상 : 참여도가 낮고 무표정한 얼굴로 감상한다
-영화감상 : 영화보면서 질문을 많이 하고 프로그램에 집중하지 못하고 비협조적이다.
-레크레이션 : 표정 밝으면이 있지만 흥미를 보이진 않는다.
2. 진단검사
1) 전혈구 검사(CBC)
검사일: 2012.9. 27
Patient Limits 1
WBC
6.2
4.5
10.5
LY
37.4×%
20.5
51.1
MO
6.4×%
1.7
9.3
GR
56.2×%
42.2
75.2
RBC
4.58
4.00
6.00
Hgb
13.6g/dl
11.0
18.0
Hct
41.3%
35.0
60.0
MCV
90.2
80.0
99.9
MCH
29.7pg
27.0
31.0
MCHC
32.9L g/dl
33.0
37.0
RDW
12.0%
11.6
13.7
Plt
216.
150
450
MPV
8.1fl
7.8
11.0
Pct
.175%
0.190
0.360
PDW
15.8
15.5
17.1
2) Biochemistry 생화학 검사(LFT)
검사일: 2011. 3. 21
정상수치
환자수치
glucose
70-100mg/dl
78mg/dl
AST(GOT)
8-40V/L
25
ALT(GPT)
5-35V/L
29
T-Bili
0.1-1.2mg/dl
0.8mg/dl
protein
6.0-8.0mg/dl
7.4mg/dl
Albumin
3.3-5.2mg/dl
4.2mg/dl
Cholesterol
M 150-250mg/dl
265mg/dl
F 150-250mg/dl
Bun
8-23mg/dl
22mg/dl
Creatinine
0.7-1.1mg/dl
0.5mg/dl
Sodium
135-145mEq/L
143mEq/L
protassium
3.5-5.5mEq/L
4.4mEq/L
3. 간호진단
#1. 자신의 무가치 및 무능력과 관련된 자아개념 장애
#2. 대인관계 기술 부족과 관련된 사회적고립
S
“학교도 중학교 중퇴해서 그래요”
“결혼 하고싶죠 하고싶은데 이런상태에서 누가 저랑 결혼할까요”
“결혼 안했어요 제가 어떻게 장가가겠어요, 이런데 능력도 없고”
O
자신에 대한 얘기를 하게 되면 조금은 움츠러 든다
때때로 한숨 짓고 한탄한다
학생간호사에 남자친구 있냐면서 자주 연애사에 대해 궁금해 하신다
A
자신의 무가치 및 무능력과 관련된 자아개념 장애
P/I
goal) 자존감을 증진시키고, 자신을 표현함으로써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갖도록 한다.
자신을 부정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현재 환자의 자존감의 수준을 사정한다.
대상자가 자신에 대해 부정적 지각을 재검토하고, 긍정적부분을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경청한다.
비판적 태도를 삼가고 협조적이면서 성실하게 대한다.
대상자가 성취할 수 있는 활동의 참여를 격려하여 성공적 경험의 기회를 제공한다.
수용적인 태도와 존경심을 보인다.
E
대상자가 쉽게 성취할 수 있는 활동을 수행하고 난 후, 즉시 칭찬을 해 주었더니 매우 뿌듯해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자신도 무언가를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많이 든다고 말씀하셨으며, 하고 싶은 것, 배우고 싶은 것이 많아졌다는 말씀도 덧붙이셨다.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표현이 많이 감소하셨고, 표정도 많이 밝아지셨다. 대상자가 자신이 무가치하고 무능력하지 않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돕고,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지각을 계속적으로 표현 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어야 할 것이다.
#3. 망상과 관련된 폭력잠재성
<종합평가>
김OO님과 친해진지 1주일 채 안
  • 가격1,3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6.01.27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33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