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식생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 식생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개요◈

■ 서론
소개글

■ 본론

1. 음식문화의 형성과 특징
(1) 음식문화의 형성배경
(2) 음식의 특징

2. 시대별 음식문화의 특징

3. 일본의 음식
(1) 주요 음식
(2) 지역별 음식
(3) 명절 음식

4. 일본의 식사예절과 상차림
(1) 식사예절
(2) 상차림

5. 한국의 음식과의 차이점

6. 기타정보
(1) 미신과 관련된 음식문화
(2) 일본음식에 많이 쓰이는 조미료

■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시오야키(燒き : 소금구이)등이 있다.
3) 니모노(煮物)
니모노는 조림 요리로서, 양념하여 간을 맞춘 다시국물에 고기, 생선, 야채 등을 넣고 조려서 연하게 익히는 요리법이다. 재료를 바로 조린 것보다는 대개 먼저 삶거나 찌거나 튀긴 후에 조린 것이 많다. 관동지방에서는 국물이 적고 단맛을 낸 조림을 만드는 반면, 관서 지방에서는 국물이 많고 담백한 맛을 낸 조림을 만든다.
① 후쿠메니(含煮) : 후쿠메니는 넉넉한 양의 조림 국물에 재료를 넣고 수 시간 담가 두었 다가 푹 조려서 간이 배도록 하는 담금 조리법.
② 니쓰케(煮付) : 주로 야채나 생선을 이용한다. 간장과 다시 국물을 넣어 연한 갈색이 돌 도록 조리하는 간장 조림이다.
③ 미소니(味煮) : 간장대신 미소를 사용하는 것으로 정강이, 고등어, 정어리 등의 비린 내를 없애고 거듭 된장의 풍미를 맛보는 끓임 조리법이다.
④ 기타 : 그 밖에 튀겨서 조리하는 아게니(揚げ煮), 무즙을 이용하여 졸이는 오로시니 (おろし煮), 문어를 중조나 사이다 등을 넣어 조리는 야와라카니(やわらか煮) 등이 있다.
4) 무시모노(蒸物)
무시모는 찜 요리로서 찜통의 증기열을 이용하여 익히는 조리법이다.
① 사카무시(酒蒸,술찜) : 재료에 다량의 술을 첨가해 찌는 풍미가 있는 요리이다. 어패류, 닭, 고기, 두부 등이 이용된다.
② 오키나무시(おきな蒸し, 오키나찜) : 곰부와 가늘게 채 썬 무 등을 백발머리처럼 보이 게하여 재료에 얹어 찜한 요리이다.
③ 신슈무시(신주찜) : 소바 종류를 준비해 찐 요리를 일컫는다.
5) 아케모노(揚げ物)
튀김 요리로서 어패류나 채소에 튀김옷을 살짝 입혀서 바삭바삭하게 튀기는 덴뿌라가 대표적인 튀김음식이다. 17세기 포르투갈 사람들이 이 조리법을 전했다고 한다.
① 가라아게(空揚げ, 막튀김) : 재료에 간을 배게 한 다음 표면에 밀가루, 갈분, 전분 등을 입혀서 튀기는 튀김이다.
② 고로모아게(덴뿌라) : 밀가루를 주로 해서 튀김옷을 입혀 생선이나 야채에 묻혀 튀기는 조리법으로 재료 고유의 맛과 향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6) 나베모노(鍋物)
나베모노는 냄비요리로서 겨울철의 주요 요리이다. 이 요리는 냄비의 선택이 중요한대 스키야키 같은 쇠고기 냄비요리에는 두꺼운 철 냄비, 살짝 끓여 먹는 요리에는 보통냄비, 오래도록 끓이는 오뎅에는 도자기로 만든 냄비가 적합하다.
① 샤부샤부(しゃぶしゃぶ) : 쇠고기를 곤부 맛국물로 살짝 씻듯이 하여 가볍게 익혀 곁들 여먹는 소스와 함께 먹는다. 소스는 참깨 소스가 주로 쓰이며, 야채는 배추, 당근, 쑥갓, 표고버섯, 팽이버섯, 두부, 당면, 실파 등이 쓰인다.
②우동나베(うどん鍋, 냄비우동) : 계절의 야채, 닭고기, 어패류를 우동과 함께 끓인 것으 로 우동은 끈기가 강하고 굵은 것을 사용한다.
7) 스노모노(酢の物, 초무침)
재료에 설탕, 식초, 소금을 넣어 새콤하게 무쳐 내는 조리법이다. 고등어, 전갱이, 전어 등의 생선류와 조개류, 야채류 등으로 만든다.
8) 아에모노(和え物, 무침)
조개류, 야채류, 미역류 등으로 만들 수 있다.
9) 히타시모노(浸し物, 나물)
엽채류를 끓는 물에 데쳐서 물기를 짠 다음 갖은 양념으로 무친 조리방법이다.
10) 쯔께모노(漬け物, 절임류) : 다꾸앙, 우메보시, 락교등이 있다.
(2) 지역별 음식
지금은 교통수단의 발달과 요리적인 기술의 교류로 그 지역적인 특성이 옅어지고 있지만 일본음식은 그 지리적인 특징에 따라 크게 나누어 관동지방 음식과 관서지방 음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관동지방의 음식은 에도(지금의 도쿄)요리로 불린다. 설탕과 진한 간장을 써서 음식의 맛을 진하게 낸다. 따라서 관동지방의 음식은 짭짤하고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국물이 거의 없다. 도쿄만과 스미다강에서 잡은 생선초밥, 덴뿌라, 민물장어, 메밀국수가 대표적 음식이다.
관서지방의 음식은 가미가다(上方 ; がみがた)요리라고도 하며, 전통적인 일본요리가 발달한 곳으로 교토의 담백한 채소와 건어물 요리로 오사카의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생선요리가 주종을 이룬다. 주로 교도(京都), 오사까(大板)의 요리를 가리키나 교토요리와 오사까요리와는 조금 다른 점이 있다. 교토는 바다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나 물이 좋은 관계로 야채와 건어물을 사용한 요리가 발달했다. 바다가 가깝고 어패류를 많이 접할 수 있는 오사까에서는 생선요리가 발달했으나 간은 그리 강하지 않다. 맛깔 나는 음식으로 우리나라의 전라도 음식을 꼽듯이 일본에서는 관서지방의 음식이 유명하다. 음식의 맛은 연하면서 국물이 많고, 재료의 색과 형태를 최대로 살리는 특징이 있다.
1) 중국지방 히로시마, 오까야마, 시마네, 야마구찌
① 오꼬노미야끼(お好み燒き)
중국의 전병이 일본의 견당사에 의해 들어와서 후노야끼-몬지야끼-둥둥구이(돈돈야끼)로 변하면서 전국으로 퍼졌고, 조금 고급화된 양식으로 바뀌어 현재의 오꼬노미야끼가 된 것이다. 한국의 지짐이와 같은 것으로 물에 갠 밀가루에 계란, 고기, 새우, 오징어, 애채 등 좋아하는 재료를 더하고 철판에서 구우면서 만들 수 있어서(お好み : 좋아하는 것만, 燒: 구웠다) 이런 이름이 붙었다. 에도말기 물에 갠 밀가루에 번철에 얇게 흘려서 굽고, 된장을 바르고 말았던 것이 오코노미야끼의 시초이다.
② 마쯔바가니(松葉ガニ)
바다참게의 수컷으로 삶거나 구워서 먹거나 냄비요리로도 그 맛이 일품이다.
③ 이와가끼(岩ガキ)
크고 진한맛의 일본에서 잡히는 굴로 레몬즙을 뿌려 날것으로 먹는 것이 제일 맛있다.
④ 오까야마바라즈시[岡山ばらずし)
신선한 세토내해의 산해진미와 온갖 풍부한 계절채소를 듬뿍 사용하여 눈으로도 화사하게 즐길 수 있도록 담아주는 오까야먀의 대표적인 향토요리이다.
⑤ 이즈모소바(出雲そば)
시마네현 이즈모지방의 특산물로서 일반적으로 소바를 와리고라는 둥근그릇에 담아 먹는다. 국수에 김이나 가쓰오부시등의 양념을 얹어서 국물을 부어먹는다. 빛깔이 진하고 좋은 향기가 나는데, 한가닥 한가닥이 빛이 나고 탄력이 있어 예로부터 소박한 맛을 즐길 수 있다.
2) 긴끼지방 나라, 오사카, 쿄토, 고베, 히메지
① 가이세끼요리(會席料理)
② 오사까스시(大阪壽司)
  • 가격2,2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6.03.12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65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