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Ⅰ. 들어가며
1. 연구목적
2. 이론적 배경과 연구방법
Ⅱ. 북한 문헌에 나타난 도서관의 의미
1. 『김일성저작집』에 나타난 도서관
2. 『조선중앙년감』에 나타난 도서관
Ⅲ. 북한에서 도서관이 갖는 사회적 함의
Ⅳ. 나가며
-참고문헌
Ⅰ. 들어가며
1. 연구목적
2. 이론적 배경과 연구방법
Ⅱ. 북한 문헌에 나타난 도서관의 의미
1. 『김일성저작집』에 나타난 도서관
2. 『조선중앙년감』에 나타난 도서관
Ⅲ. 북한에서 도서관이 갖는 사회적 함의
Ⅳ. 나가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기 문화선전기관들의 복구건설방향을 제시한 것 가운데에는 도서관사업이 국가경제계획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있는 점이 특이했으며 그 외에 박물관 사업 부문도 들어 있었다. 그 내용의 일부를 보면 다음과 같다.
도서관사업을 강화하기 위하여 중앙에 국립도서관을 복구확장할것이며 도소재지, 주요도시들에 도서관을 설치할것을 인민경제계획에 포함시켜야 할것입니다. 우리 나라의 력사적유물과 전쟁시기와 평화적건설시기의 조선인민의 영웅적투쟁업적들을 널리 소개하기 위하여 혁명박물관과 력사박물관들을 건설할것이며 력사적유물들을 보존하며 전쟁에 의하여 파괴된 유적들을 복구정비하는 사업을 강화하여야 하겠습니다.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8』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0), 38~39쪽.
여기에 나타난 국립중앙도서관은 1982년 인민대학습당이 건설될 때까지 북한의 국가도서관으로 기능한 것으로 보이며, 도서관 사업 강화를 박물관사업 강화와 함께 추진한 것은 전쟁시기의 투쟁업적 홍보를 위한 것으로 짐작된다. 1954년 역시 전후 복구사업이 진행 중인 시기인데 이 시기에 김일성은 김일성종합대학 교직원, 학생들과 교육교양사업과 과학연구사업을 강화하기 위한 담화에서 다음과 같이 대학도서관의 이용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
대학도서관을 잘 꾸리고 널리 리용하도록 하여야 하겠습니다.
대학도서관에는 전쟁시기에 소개하였던 책들을 빨리 정리하여 비치하며 적들의 폭격에 의하여 못쓰게 된 책들도 잘 손질하여 비치하여야 합니다. 대학도서관에는 당문헌을 비롯하여 사회과학서적들과 자연과학서적들이 다 있어야 하며 해방후 우리 나라에서 출판된 책들은 더 말할것도 없고 해방전에 출판된 책들과 다른 나라의 과학기술서적들도 있어야 합니다. 대학도서관에서는 될수록 책을 많이 수집하여 비치함으로써 교원들과 학생들이 참고서적이 부족하여 교수사업과 학과학습에서 불편을 느끼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하겠습니다.
열람실도 잘 꾸려야 합니다. 열람대에 탁상등을 놓아주며 바닥에는 주단을 깔아야 합니다. 그리하여 교원들과 학생들이 도서관에 와서 공부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하여야 하겠습니다. 앞으로 종합대학에 현대적인 과학도서관을 하나 지어야 하겠습니다.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9』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0), 369쪽.
이상에서는 대학도서관에 장서구성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 제시와 열람실 바닥에 주단을 깔 것을 지시하는 등 대단히 세부적인 사항에까지 지침을 주고 있는 데서 유일사상을 기치로 사상적 통제를 실시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김일성의 지시가 곧바로 실행으로 이어지지는 않았음을 다음의 글에서 알 수 있는데, 이것이 문제로 제기되고 있었다.
우리가 벌써 정전직후에 평양에 과학도서관을 지을것을 결정하고 몇만권의 책을 사올 교섭까지 다 해놓았습니다. 우리가 받기로 한 책의 대부분은 벌써 오래전에 들어왔습니다. 그런데 도서관은 지금까지도 짓지 못한채로 있습니다. 해마다 독촉을 하지만 이핑게저핑게하면서 도서관건설을 질질 끌어오고있습니다. 이것은 국가계획위원회의 책임은 아닙니다. 국가계획위원회에서는 해마다 계획에 넣고있으나 평양시에서 건설이 바쁘다는 구실로 도서관만은 매번 빼놓았습니다. 이 한가지 사실만 보더라도 경제일군들이 과학연구사업에 대하여 관심을 매우 적게 돌리고있다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재정기관들에서는 또한 과학일군들에게 다른 나라 책들을 사다주는 일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있습니다. 기술서적에는 자본주의가 묻어들어오는것도 아니고 수정주의가 묻어들어오는것도 아닙니다. 다른 나라의 기술도서를 꺼려할 근거가 없습니다. 우리는 세계의 모든 나라들로부터 필요한 지식을 널리 받아들여야 합니다. 우리가 과학연구사업을 위하여 필요한 물질적조건들을 보장해주지 못하기때문에 과학일군들은 연구사업에 정력을 넣지 못하고 쓸데없는 일에 시간을 랑비하게 됩니다. 이것은 우리가 반드시 고쳐야 할 문제입니다.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17』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2), 185~186쪽.
김일성은 도서관의 위치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이 대중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시의 중앙에 있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전후에 평양시 건설을 계획할 때에도 일부 사람들이 중앙기관과 시급기관은 도시의 중심에 자리를 잡아야 한다고 주장하는것을 그릇된 생각이라고 비판해주었습니다. 도시복판에는 로동궁전이라든지, 인민회관이라든지, 도서관과 같은 대중문화시설들을 지어야 합니다.
이후 1973년 2월 28일에는 청소년들을 지덕체를 갖춘 사회주의, 공산주의 건설자로 키우자라는 담화에서 학교들과 공장 기업소들에 도서관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지침을 내리고 있다.
청소년들이 책을 많이 읽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학교들과 공장, 기업소들에 도서관을 꾸리고 그것을 잘 운영하여야 합니다.
지금 우리 나라에 청소년들이 몇백만명이나 있는데 그들에게 매 종류의 책을 한부씩 다 줄수는 없습니다. 그러므로 각급 학교들과 공장, 기업소들에 도서관을 꾸리고 청소년들이 책을 빌려보도록 하여야 합니다. 당중앙위원회 과학교육부에서는 학교도서관들에 어떤 책들을 비치해야 하겠는가 하는것을 연구해보고 각급 학교도서관들에 비치할 도서목록을 만들어내려보내는것이 좋겠습니다. 고동중학교도서실에는 대학교재를 몇부씩 비치하는것도 나쁘지 않을것입니다. 고등중학교 학생들이 3학년때쯤부터는 대학에서 무엇을 배우는가 하고 호기심을 가지게 되는것만큼 학교도서실에 대학교재를 비치하면 그것을 볼것입니다.
청소년들이 풍부한 지식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과학토론회를 널리 조직하여야 합니다. 사로청조직들은 청소년들속에서 우리 당 정책의 정당성을 론증하는 과학토론회를 널리조직할뿐아니라 과외시간을 리용하여 과학기술적문제들에 대한 토론회도 자주 조직하여야 하겠습니다.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28』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4), 213~214쪽.
이 글에서는 당중앙위원회 과학교육부가 학생들이 읽어야 할 권장도서목록을 만드는 등 학교도서관을 감독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청소년들의 독서를 장려하기 위하여 도서관을 많이 만들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또 청소년 교육의 주요 수단으로 학교도서관 뿐 아니라 공장 기업
도서관사업을 강화하기 위하여 중앙에 국립도서관을 복구확장할것이며 도소재지, 주요도시들에 도서관을 설치할것을 인민경제계획에 포함시켜야 할것입니다. 우리 나라의 력사적유물과 전쟁시기와 평화적건설시기의 조선인민의 영웅적투쟁업적들을 널리 소개하기 위하여 혁명박물관과 력사박물관들을 건설할것이며 력사적유물들을 보존하며 전쟁에 의하여 파괴된 유적들을 복구정비하는 사업을 강화하여야 하겠습니다.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8』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0), 38~39쪽.
여기에 나타난 국립중앙도서관은 1982년 인민대학습당이 건설될 때까지 북한의 국가도서관으로 기능한 것으로 보이며, 도서관 사업 강화를 박물관사업 강화와 함께 추진한 것은 전쟁시기의 투쟁업적 홍보를 위한 것으로 짐작된다. 1954년 역시 전후 복구사업이 진행 중인 시기인데 이 시기에 김일성은 김일성종합대학 교직원, 학생들과 교육교양사업과 과학연구사업을 강화하기 위한 담화에서 다음과 같이 대학도서관의 이용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
대학도서관을 잘 꾸리고 널리 리용하도록 하여야 하겠습니다.
대학도서관에는 전쟁시기에 소개하였던 책들을 빨리 정리하여 비치하며 적들의 폭격에 의하여 못쓰게 된 책들도 잘 손질하여 비치하여야 합니다. 대학도서관에는 당문헌을 비롯하여 사회과학서적들과 자연과학서적들이 다 있어야 하며 해방후 우리 나라에서 출판된 책들은 더 말할것도 없고 해방전에 출판된 책들과 다른 나라의 과학기술서적들도 있어야 합니다. 대학도서관에서는 될수록 책을 많이 수집하여 비치함으로써 교원들과 학생들이 참고서적이 부족하여 교수사업과 학과학습에서 불편을 느끼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하겠습니다.
열람실도 잘 꾸려야 합니다. 열람대에 탁상등을 놓아주며 바닥에는 주단을 깔아야 합니다. 그리하여 교원들과 학생들이 도서관에 와서 공부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하여야 하겠습니다. 앞으로 종합대학에 현대적인 과학도서관을 하나 지어야 하겠습니다.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9』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0), 369쪽.
이상에서는 대학도서관에 장서구성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 제시와 열람실 바닥에 주단을 깔 것을 지시하는 등 대단히 세부적인 사항에까지 지침을 주고 있는 데서 유일사상을 기치로 사상적 통제를 실시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김일성의 지시가 곧바로 실행으로 이어지지는 않았음을 다음의 글에서 알 수 있는데, 이것이 문제로 제기되고 있었다.
우리가 벌써 정전직후에 평양에 과학도서관을 지을것을 결정하고 몇만권의 책을 사올 교섭까지 다 해놓았습니다. 우리가 받기로 한 책의 대부분은 벌써 오래전에 들어왔습니다. 그런데 도서관은 지금까지도 짓지 못한채로 있습니다. 해마다 독촉을 하지만 이핑게저핑게하면서 도서관건설을 질질 끌어오고있습니다. 이것은 국가계획위원회의 책임은 아닙니다. 국가계획위원회에서는 해마다 계획에 넣고있으나 평양시에서 건설이 바쁘다는 구실로 도서관만은 매번 빼놓았습니다. 이 한가지 사실만 보더라도 경제일군들이 과학연구사업에 대하여 관심을 매우 적게 돌리고있다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재정기관들에서는 또한 과학일군들에게 다른 나라 책들을 사다주는 일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있습니다. 기술서적에는 자본주의가 묻어들어오는것도 아니고 수정주의가 묻어들어오는것도 아닙니다. 다른 나라의 기술도서를 꺼려할 근거가 없습니다. 우리는 세계의 모든 나라들로부터 필요한 지식을 널리 받아들여야 합니다. 우리가 과학연구사업을 위하여 필요한 물질적조건들을 보장해주지 못하기때문에 과학일군들은 연구사업에 정력을 넣지 못하고 쓸데없는 일에 시간을 랑비하게 됩니다. 이것은 우리가 반드시 고쳐야 할 문제입니다.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17』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2), 185~186쪽.
김일성은 도서관의 위치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이 대중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시의 중앙에 있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전후에 평양시 건설을 계획할 때에도 일부 사람들이 중앙기관과 시급기관은 도시의 중심에 자리를 잡아야 한다고 주장하는것을 그릇된 생각이라고 비판해주었습니다. 도시복판에는 로동궁전이라든지, 인민회관이라든지, 도서관과 같은 대중문화시설들을 지어야 합니다.
이후 1973년 2월 28일에는 청소년들을 지덕체를 갖춘 사회주의, 공산주의 건설자로 키우자라는 담화에서 학교들과 공장 기업소들에 도서관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지침을 내리고 있다.
청소년들이 책을 많이 읽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학교들과 공장, 기업소들에 도서관을 꾸리고 그것을 잘 운영하여야 합니다.
지금 우리 나라에 청소년들이 몇백만명이나 있는데 그들에게 매 종류의 책을 한부씩 다 줄수는 없습니다. 그러므로 각급 학교들과 공장, 기업소들에 도서관을 꾸리고 청소년들이 책을 빌려보도록 하여야 합니다. 당중앙위원회 과학교육부에서는 학교도서관들에 어떤 책들을 비치해야 하겠는가 하는것을 연구해보고 각급 학교도서관들에 비치할 도서목록을 만들어내려보내는것이 좋겠습니다. 고동중학교도서실에는 대학교재를 몇부씩 비치하는것도 나쁘지 않을것입니다. 고등중학교 학생들이 3학년때쯤부터는 대학에서 무엇을 배우는가 하고 호기심을 가지게 되는것만큼 학교도서실에 대학교재를 비치하면 그것을 볼것입니다.
청소년들이 풍부한 지식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과학토론회를 널리 조직하여야 합니다. 사로청조직들은 청소년들속에서 우리 당 정책의 정당성을 론증하는 과학토론회를 널리조직할뿐아니라 과외시간을 리용하여 과학기술적문제들에 대한 토론회도 자주 조직하여야 하겠습니다.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28』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4), 213~214쪽.
이 글에서는 당중앙위원회 과학교육부가 학생들이 읽어야 할 권장도서목록을 만드는 등 학교도서관을 감독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청소년들의 독서를 장려하기 위하여 도서관을 많이 만들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또 청소년 교육의 주요 수단으로 학교도서관 뿐 아니라 공장 기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