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이론
3. 실험기구 및 시약
4. 실험방법
5. 참고사항
6. 참고문헌
2. 실험이론
3. 실험기구 및 시약
4. 실험방법
5. 참고사항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측정
- 시료가 액체이어야 함
- 신뢰도 높이기 위해 균체가 적어도 107/ml 이상이 되야 함
- 시료수가 많을 때 조작이 지루한 단점
- 조작이 쉽고 결과를 단시간에 얻을 수 있는 장점
- Coulter counter : 입자 계수기, 현미경 대신 전기 이용 → 세포현탁액이 미세유리관 통과할 때 관 사이 흐르는 전류량 감소 측정을 기록(생균, 사균 모두 집계)
hematometer법을 이용한 총 균수 계측법
혈구계(Hemocytometer 또는 Haemocytometer)는 원래 혈구세포를 세기 위해 고안되었지만 현재 현미경상으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입자들을 세는데 사용되고 있다.
Hemocytometer는 Louis-Charles Malassez가 고안한 것으로 챔버를 가진 사각형의 두꺼운 유리 슬라이드 글라스로 만들어 져있다. 이 챔버에는 현미경으로 관찰 할 수 있는 미세한 격자가 레이저로 조각되어 있다. 혈구계는 이 챔버의 두께와 격자의 면적을 이용하여 일정 용량내의 세포 또는 입자를 계수한 후 희석배율 등을 고려하여 전체 용액내의 세포, 입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잘 섞여진 샘플용액에서 마이크로 피펫을 이용하여 적당량(약 50ul)을 혈구계의 주입구로 주입한다. 혈구계의 슬라이드글라스와 커버글라스 내에는 일정량의 용량만 수용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으므로 조금 로딩하여 기다리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빨려 들어간 후 전체적으로 잘 펴지게 된다.
[혈구계(Hemocytometer) 단면도]
Hematometer는 일종의 두꺼운 슬라이드 글라스로 0.05㎜ 간격으로 가로 및 세로로 선이 그어져 있다. 높이, 즉 슬라이드 글라스와 커버 글라스 사이의 간격은 0.1㎜이다. 따라서 한칸의 부피는 0.05×0.05×0.1이다. 이를 로 계산하면 한칸의 부피는 0.00025 = 0.25×이다.
실험 방법
1) 시료액(Saccharomyces cerevisiae)을 살균수로써 일정 농도로 희석
2) 혈구계산반(haematometer)에 커버글라스를 놓는다.
3) 커버글라스와 눈금판과의 틈에 피펫의 끝이 닿으면 균액은
모세관 현상으로 틈 전면에 퍼지게 된다.
4) 제물대에 놓고 1~3분 후 균체를 슬라이드 위에 침하시켜
검경(저배율)한다.
5) 한 구획에 5~15개 정도로 들어가게 희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300~400배로 검경하고 4구획 중의 균수를 10회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한다.
(희석할 경우에는 여기에 희석 배수를 곱한다.)
이 때 미생물의 크기가 클 경우 아래 사진에서 빨간색으로 표시가 된 부분을 구획으로 보고 측정한다.
-큰 구획으로 셌을 때
ml당 총 균수[마리/ml] = (한 구획 당 평균 미생물 수) × 10000 × (희석률)
-작은 구획으로 셌을 때
ml당 총 균수[마리/ml] = (한 구획 당 평균 미생물 수) × 250000 × (희석률)
생균수 측정법(viable count)
① 최확수(most probable number) 측정
- 시료를 충분히 희석 → 희석액 1 ml에 한 개의 세포가 들어가도록 → 일정량의 액체배지에 접종 → 배양 → 성장의 유무 기록 → 최확수 통계표에 의해 생균수 추정
- 수질 검사나 음료의 미생물 검사에 주로 이용
② 표면도말법(Spread plate method)
- 적절히 희석된 시료의 일정량을 고체배지 표면에 균일하게 접종
③ 주입평판법(Pour plate method)
- 적절히 희석된 시료의 일정량을 액상의 고체영양배지에 섞어 그 혼합물을 멸균된 평판접시에 붓는법
- 일정한 배양기간 후 →배지상의 집락(colony)수 계수 → 시료속의 균수 계산
균수 계산 : 균수/㎖ = n×d
(n : petri dish 중의 코로니 수, d : 희석 배수)
- 배지상의 집락: 30~300 개 되도록 시료 희석
- 수일의 시간이 걸리는 단점
4)미생물의 크기측정
측미계란 현미경 아래에서 육안으로 판별할 수 없을 정도의 물체의 크기를 재는데 쓰이는 척도를 새긴 유리판이다. 측미계는 접안 측미계(ocular micrometer)와 대물 측미계(objective micrometer)가 있다. 접안 측미계(ocular micrometer)는 대물렌즈에 의해서 십자선 위에 생긴 상을 확대하여 보기 위한 장치로서 직경 약 2㎝되는 원형초자판이며, 그 표면에는 한 눈금이 0.01㎜ 간격으로 새겨져 있다. 대물 측미계(objective micrometer)는 물체의 상을 맺기 위해 사용되는 렌즈로서, 재물대 위에 놓고 관찰한다. 슬라이드글라스 중앙의 원형 안에 눈금이 있고, 눈금의 간격은 1mm를 100등분한 10um이다. 현미경 사용 시 접안마이크로미터(ocular)를 접안렌즈 안쪽에 넣고, 눈금을 이용하여 물체의 길이를 측정한다. 하지만 접안마이크로미터(ocular) 한 눈금의 거리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사용하는 대물렌즈의 배율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대물렌즈의 배율에 따른 접안마이크로미터(ocular) 한 눈금의 길이를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 대물마이크로미터(objective)이다. 이때 정확히 겹치는 두 눈금을 찾고, 그 사이에 들어가는 눈금 수를 세서 계산한다.
6. 참고문헌
1.미생물학 실험서/한국미생물학회/을유문화사/1998년/11~14
2.식품미생물학 실험서/안병용/석학당/2004년/55~63
3.http://blog.omax.co.kr/150150293312
4.http://newspeppermint.com/2013/04/24/sem/
5.http://www.cyworld.com/dreamlover25/276421
6.http://kcms.daegu.ac.kr/user/sgpark/microbiology/%EC%83%9D%EC%9E%A5%EC%A6%9D%EC%8B%9D.htm
그림출처
1.http://cafe.naver.com/jinjunghagza/46
2.http://blog.naver.com/tmfq17/70188112418
3.브리태니커 비주얼사전 -과학, 2012, 브리태니커 비주얼사전
4.http://blog.naver.com/sec2157341/90174061678
- 시료가 액체이어야 함
- 신뢰도 높이기 위해 균체가 적어도 107/ml 이상이 되야 함
- 시료수가 많을 때 조작이 지루한 단점
- 조작이 쉽고 결과를 단시간에 얻을 수 있는 장점
- Coulter counter : 입자 계수기, 현미경 대신 전기 이용 → 세포현탁액이 미세유리관 통과할 때 관 사이 흐르는 전류량 감소 측정을 기록(생균, 사균 모두 집계)
hematometer법을 이용한 총 균수 계측법
혈구계(Hemocytometer 또는 Haemocytometer)는 원래 혈구세포를 세기 위해 고안되었지만 현재 현미경상으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입자들을 세는데 사용되고 있다.
Hemocytometer는 Louis-Charles Malassez가 고안한 것으로 챔버를 가진 사각형의 두꺼운 유리 슬라이드 글라스로 만들어 져있다. 이 챔버에는 현미경으로 관찰 할 수 있는 미세한 격자가 레이저로 조각되어 있다. 혈구계는 이 챔버의 두께와 격자의 면적을 이용하여 일정 용량내의 세포 또는 입자를 계수한 후 희석배율 등을 고려하여 전체 용액내의 세포, 입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잘 섞여진 샘플용액에서 마이크로 피펫을 이용하여 적당량(약 50ul)을 혈구계의 주입구로 주입한다. 혈구계의 슬라이드글라스와 커버글라스 내에는 일정량의 용량만 수용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으므로 조금 로딩하여 기다리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빨려 들어간 후 전체적으로 잘 펴지게 된다.
[혈구계(Hemocytometer) 단면도]
Hematometer는 일종의 두꺼운 슬라이드 글라스로 0.05㎜ 간격으로 가로 및 세로로 선이 그어져 있다. 높이, 즉 슬라이드 글라스와 커버 글라스 사이의 간격은 0.1㎜이다. 따라서 한칸의 부피는 0.05×0.05×0.1이다. 이를 로 계산하면 한칸의 부피는 0.00025 = 0.25×이다.
실험 방법
1) 시료액(Saccharomyces cerevisiae)을 살균수로써 일정 농도로 희석
2) 혈구계산반(haematometer)에 커버글라스를 놓는다.
3) 커버글라스와 눈금판과의 틈에 피펫의 끝이 닿으면 균액은
모세관 현상으로 틈 전면에 퍼지게 된다.
4) 제물대에 놓고 1~3분 후 균체를 슬라이드 위에 침하시켜
검경(저배율)한다.
5) 한 구획에 5~15개 정도로 들어가게 희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300~400배로 검경하고 4구획 중의 균수를 10회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한다.
(희석할 경우에는 여기에 희석 배수를 곱한다.)
이 때 미생물의 크기가 클 경우 아래 사진에서 빨간색으로 표시가 된 부분을 구획으로 보고 측정한다.
-큰 구획으로 셌을 때
ml당 총 균수[마리/ml] = (한 구획 당 평균 미생물 수) × 10000 × (희석률)
-작은 구획으로 셌을 때
ml당 총 균수[마리/ml] = (한 구획 당 평균 미생물 수) × 250000 × (희석률)
생균수 측정법(viable count)
① 최확수(most probable number) 측정
- 시료를 충분히 희석 → 희석액 1 ml에 한 개의 세포가 들어가도록 → 일정량의 액체배지에 접종 → 배양 → 성장의 유무 기록 → 최확수 통계표에 의해 생균수 추정
- 수질 검사나 음료의 미생물 검사에 주로 이용
② 표면도말법(Spread plate method)
- 적절히 희석된 시료의 일정량을 고체배지 표면에 균일하게 접종
③ 주입평판법(Pour plate method)
- 적절히 희석된 시료의 일정량을 액상의 고체영양배지에 섞어 그 혼합물을 멸균된 평판접시에 붓는법
- 일정한 배양기간 후 →배지상의 집락(colony)수 계수 → 시료속의 균수 계산
균수 계산 : 균수/㎖ = n×d
(n : petri dish 중의 코로니 수, d : 희석 배수)
- 배지상의 집락: 30~300 개 되도록 시료 희석
- 수일의 시간이 걸리는 단점
4)미생물의 크기측정
측미계란 현미경 아래에서 육안으로 판별할 수 없을 정도의 물체의 크기를 재는데 쓰이는 척도를 새긴 유리판이다. 측미계는 접안 측미계(ocular micrometer)와 대물 측미계(objective micrometer)가 있다. 접안 측미계(ocular micrometer)는 대물렌즈에 의해서 십자선 위에 생긴 상을 확대하여 보기 위한 장치로서 직경 약 2㎝되는 원형초자판이며, 그 표면에는 한 눈금이 0.01㎜ 간격으로 새겨져 있다. 대물 측미계(objective micrometer)는 물체의 상을 맺기 위해 사용되는 렌즈로서, 재물대 위에 놓고 관찰한다. 슬라이드글라스 중앙의 원형 안에 눈금이 있고, 눈금의 간격은 1mm를 100등분한 10um이다. 현미경 사용 시 접안마이크로미터(ocular)를 접안렌즈 안쪽에 넣고, 눈금을 이용하여 물체의 길이를 측정한다. 하지만 접안마이크로미터(ocular) 한 눈금의 거리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사용하는 대물렌즈의 배율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대물렌즈의 배율에 따른 접안마이크로미터(ocular) 한 눈금의 길이를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 대물마이크로미터(objective)이다. 이때 정확히 겹치는 두 눈금을 찾고, 그 사이에 들어가는 눈금 수를 세서 계산한다.
6. 참고문헌
1.미생물학 실험서/한국미생물학회/을유문화사/1998년/11~14
2.식품미생물학 실험서/안병용/석학당/2004년/55~63
3.http://blog.omax.co.kr/150150293312
4.http://newspeppermint.com/2013/04/24/sem/
5.http://www.cyworld.com/dreamlover25/276421
6.http://kcms.daegu.ac.kr/user/sgpark/microbiology/%EC%83%9D%EC%9E%A5%EC%A6%9D%EC%8B%9D.htm
그림출처
1.http://cafe.naver.com/jinjunghagza/46
2.http://blog.naver.com/tmfq17/70188112418
3.브리태니커 비주얼사전 -과학, 2012, 브리태니커 비주얼사전
4.http://blog.naver.com/sec2157341/9017406167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