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 사례선정의 의의, 대상자의 건강력, 입원동기, 문헌고찰
본론 - 간호과정(약물 및 임상검사 결과 포함), 간호사정/진단/수행/평가
결론 - 참고문헌, 환자상태 및 추후 계획, 느낀점
본론 - 간호과정(약물 및 임상검사 결과 포함), 간호사정/진단/수행/평가
결론 - 참고문헌, 환자상태 및 추후 계획, 느낀점
본문내용
가지 않도록 항상 관찰하고 정돈해준다.
2/28 - 3/6
Day 07:00-04:00
Evening 13:00-21:00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검사결과를 관찰한다.
천자부위를 관찰하여 염증 유무를 확인한다.
얼음주머니 등으로 냉요법과 같은 물리적인 요법을 시행한다.
2/28 - 3/6
Day 07:00-04:00
Evening 13:00-21:00
뇌손상과 관련된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한 번에 하나씩 단순한 지시 시행했다.
주변 환경을 늘 일정하게 유지했다.
환자가 반응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했다.
짧은 언어와 단순한 문장을 사용했다.
지남력 관찰했다, 의사소통 장애정도, 요인 등(낯을 가리는 성격, drowsy상태)을 사정했다.
간호 진행 기록
수술 전 처치확인표
병실출발시간 :
CAUTION 무( )
등록번호 :
성 명 : 조OO
주민번호 : 진료과 : NS
수술일자 :
확 인 내 용
간호단위
수술장
예
아니오
해당없음
예
아니오
해당없음
환자확인
수술동의서
통증조절동의서
수혈동의서
금식(시간: mn npo )
의치, 안경, 콘택트렌즈, 보청기 제거 및 의안 확인
장신구 제거(핀, 반지, 시계, 목걸이, 귀걸이)
화장제거(메니큐어, 페티큐어 포함)
환의착용(속옷, 양말 제거)
혈액준비(□예약 □ID밴드) O, RH+
수술전 검사 - 혈액학적 검사(CBC, BT, CT)
수술전 검사 - 소변검사
수술전 검사 - 간기능검사(AST, ALT)
수술전 검사 - 혈액형검사
수술전 검사 - EKG (○Y ●N)
수술전 검사 - Chest X-ray (○Y ●N)
항생제반응검사(-) Reposporen 1g/V
IV Route-(Needle gage:18 G)
수술부위 피부준비 qrlbitem19dtl
유치카테터삽입 / 자연배뇨확인
위관삽입
관장
수술부위표시확인( Right )
기타 ( 알러지 무 )
▶ 수술 전 투약 ◀
[PRE] Reposporen 1g/V 1 V IV12HR 2 회 [AST]2.000
▶ 수 액 제 ◀
NORMAL SALINE INJ. 1L(BAG) 1 BAG IV 1 회 80cc/hr1.000
혈압 10/ 65 mmHg, 맥박 1회/분, 호흡 37회/분, 체온 37.3 C BW 120Kg
준비물품 없음 □ 있음
◈결론
○ 참고문헌
현문사, 제3판 성인간호학下2 - 전시자, 김강미자 외 공저
수문사, 다섯째판 성인간호학Ⅲ - 서문자, 이향련 외 공저
형설출판사, 성인 내외과 간호학Ⅳ - 최정신 외 공저
퍼시픽북스 - Tank manual of adult health nursing
Naver 백과사전 (의학, 약학)
최혜숙 8장 뇌졸중 질환별 작업치료 한미의학 2004 153-154
김종만 12장 뇌졸중 치료사를 위한 임상신경학. 청담미디어 2003 214
○ 학습자와 사례자와의 종료 시점에서의 환자상태 및 추후 계획
학습자와 대상자의 간호과정 종료 시점에서 대상자는 GCS에서 많은 호전이 있었고, Pleural effusion도 회복하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발열 증상과 빈맥은 지속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CTD는 배액의 양이 줄고 있어, 빼낼 예정이며 대상자 스스로의 의사표현 양상을 보이고 있다. 발열이 항상 지속되는 것은 아니지만, 반복적으로 고열 증상과 빈맥 증상이 지속되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또한, GCS를 매일 사정하고, 감각이나 인지 기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비언어적/언어적 의사소통을 강화해야 한다.
○ 학습자 느낀점
SICU실습은 처음이라 굉장히 불안했다. 실습조도 바꿔서 친한 친구가 없어 더 불안했던 것도 있었다. SICU에 갔을 때의 첫 느낌은 생각보다 다리를 다쳐서 오거나, 팔을 다쳐서 오는 사람들이 별로 없었다. 80%는 뇌관련 환자분들이셨다. 그리고, 뇌를 다쳐서 오신 환자분들도 뇌 뿐만이 아니라 호흡기 질환의 합병증까지 가지고 계신 분들이 많았다. Ventilation을 달고 계신 환자분들, Nebulizer를 달고 계신 환자분들 등등 내과중환자실이라고 하면 믿을 정도 였던 것 같다. 가장 좋았던 것은 수 선생님과 간호사 선생님들께서 다 친절하시고, 귀찮게 많이 여쭤봐도 잘 알려주셨다. 병실 내에 있는 컴퓨터로 찾아보라고 하신 선생님도 계셨다. 간호학 공부를 3년간 했어도, 실생활에서 내가 써먹을 수 있는 지식은 바로 적용할 수 가 없었고, 모르는 것이 훨씬 더 많았다. 그런데 간호사 선생님께서는 모든지 여쭤 봐도 다 알고 계셔서 너무 멋있었다. 나도 저렇게 멋진 간호사가 되야지 하고 생각했다. 수 선생님께서는 오리엔테이션을 할 때 직접 많이 쓰이는 약물도 프린트로 주시고, 알려주시고 싶어하시는 열정이 넘치셨다. 특히 마음 속에 와 닿았던 것은 간호사를 해 나감에 있어서 무엇이 중요한지 였다. 수 선생님께서는 나부터 행복한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셨다. 내가 행복해야 다른 사람을 행복하게 할 수 있고, 그러기 위해선 등산을 하는 것처럼 고된 상황이 와도 이겨낼 수 있는 무언가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고 하셨다. 그 말씀이 정말 와 닿았다. 3학년 때는 병동을 돌면서 내가 직접 할 수 있는 것은 정말 없었는데, 중환자실에서는 bed care라든지, 얼음주머니를 만들어서 환자분 몸 속에 넣어 준다는지, suction, O2 공급, 위관영양 등 실습 지침서에 나와있는 것들을 하는 기회가 되어서 좋았다. 내가 먼저 배우려 하지 않아도, 선생님들께서 적극적으로 알려주셔서 가능했던 것 같다. 중환자실에서 환자 분께서 돌아가신 모습을 본 적은 없었는데, Coma상태인 분이 많이 계셔서 보호자 면회 시간마다 우시는 보호자 분이 많았다. 나도 소중한 사람을 세상 밖으로 떠나 보낸 경험이 있어서 감정이입이 되느라 보호자 면회시간이 힘들었다. 기도를 하시는 분들도 계셨고, 잘못을 뉘우치는 분들도 계셨다. 그 모습을 보면서 하루 하루 소중히 내가 누군가의 친구고, 가족인 것에 감사하며 살아야 겠다는 생각이 확고히 들었다. 그래서인지, 나도 모르게 중환자 실습을 할 때 환자분들 얼굴을 볼 때마다 손 한번 더 잡아드
2/28 - 3/6
Day 07:00-04:00
Evening 13:00-21:00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검사결과를 관찰한다.
천자부위를 관찰하여 염증 유무를 확인한다.
얼음주머니 등으로 냉요법과 같은 물리적인 요법을 시행한다.
2/28 - 3/6
Day 07:00-04:00
Evening 13:00-21:00
뇌손상과 관련된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한 번에 하나씩 단순한 지시 시행했다.
주변 환경을 늘 일정하게 유지했다.
환자가 반응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했다.
짧은 언어와 단순한 문장을 사용했다.
지남력 관찰했다, 의사소통 장애정도, 요인 등(낯을 가리는 성격, drowsy상태)을 사정했다.
간호 진행 기록
수술 전 처치확인표
병실출발시간 :
CAUTION 무( )
등록번호 :
성 명 : 조OO
주민번호 : 진료과 : NS
수술일자 :
확 인 내 용
간호단위
수술장
예
아니오
해당없음
예
아니오
해당없음
환자확인
수술동의서
통증조절동의서
수혈동의서
금식(시간: mn npo )
의치, 안경, 콘택트렌즈, 보청기 제거 및 의안 확인
장신구 제거(핀, 반지, 시계, 목걸이, 귀걸이)
화장제거(메니큐어, 페티큐어 포함)
환의착용(속옷, 양말 제거)
혈액준비(□예약 □ID밴드) O, RH+
수술전 검사 - 혈액학적 검사(CBC, BT, CT)
수술전 검사 - 소변검사
수술전 검사 - 간기능검사(AST, ALT)
수술전 검사 - 혈액형검사
수술전 검사 - EKG (○Y ●N)
수술전 검사 - Chest X-ray (○Y ●N)
항생제반응검사(-) Reposporen 1g/V
IV Route-(Needle gage:18 G)
수술부위 피부준비 qrlbitem19dtl
유치카테터삽입 / 자연배뇨확인
위관삽입
관장
수술부위표시확인( Right )
기타 ( 알러지 무 )
▶ 수술 전 투약 ◀
[PRE] Reposporen 1g/V 1 V IV12HR 2 회 [AST]2.000
▶ 수 액 제 ◀
NORMAL SALINE INJ. 1L(BAG) 1 BAG IV 1 회 80cc/hr1.000
혈압 10/ 65 mmHg, 맥박 1회/분, 호흡 37회/분, 체온 37.3 C BW 120Kg
준비물품 없음 □ 있음
◈결론
○ 참고문헌
현문사, 제3판 성인간호학下2 - 전시자, 김강미자 외 공저
수문사, 다섯째판 성인간호학Ⅲ - 서문자, 이향련 외 공저
형설출판사, 성인 내외과 간호학Ⅳ - 최정신 외 공저
퍼시픽북스 - Tank manual of adult health nursing
Naver 백과사전 (의학, 약학)
최혜숙 8장 뇌졸중 질환별 작업치료 한미의학 2004 153-154
김종만 12장 뇌졸중 치료사를 위한 임상신경학. 청담미디어 2003 214
○ 학습자와 사례자와의 종료 시점에서의 환자상태 및 추후 계획
학습자와 대상자의 간호과정 종료 시점에서 대상자는 GCS에서 많은 호전이 있었고, Pleural effusion도 회복하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발열 증상과 빈맥은 지속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CTD는 배액의 양이 줄고 있어, 빼낼 예정이며 대상자 스스로의 의사표현 양상을 보이고 있다. 발열이 항상 지속되는 것은 아니지만, 반복적으로 고열 증상과 빈맥 증상이 지속되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또한, GCS를 매일 사정하고, 감각이나 인지 기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비언어적/언어적 의사소통을 강화해야 한다.
○ 학습자 느낀점
SICU실습은 처음이라 굉장히 불안했다. 실습조도 바꿔서 친한 친구가 없어 더 불안했던 것도 있었다. SICU에 갔을 때의 첫 느낌은 생각보다 다리를 다쳐서 오거나, 팔을 다쳐서 오는 사람들이 별로 없었다. 80%는 뇌관련 환자분들이셨다. 그리고, 뇌를 다쳐서 오신 환자분들도 뇌 뿐만이 아니라 호흡기 질환의 합병증까지 가지고 계신 분들이 많았다. Ventilation을 달고 계신 환자분들, Nebulizer를 달고 계신 환자분들 등등 내과중환자실이라고 하면 믿을 정도 였던 것 같다. 가장 좋았던 것은 수 선생님과 간호사 선생님들께서 다 친절하시고, 귀찮게 많이 여쭤봐도 잘 알려주셨다. 병실 내에 있는 컴퓨터로 찾아보라고 하신 선생님도 계셨다. 간호학 공부를 3년간 했어도, 실생활에서 내가 써먹을 수 있는 지식은 바로 적용할 수 가 없었고, 모르는 것이 훨씬 더 많았다. 그런데 간호사 선생님께서는 모든지 여쭤 봐도 다 알고 계셔서 너무 멋있었다. 나도 저렇게 멋진 간호사가 되야지 하고 생각했다. 수 선생님께서는 오리엔테이션을 할 때 직접 많이 쓰이는 약물도 프린트로 주시고, 알려주시고 싶어하시는 열정이 넘치셨다. 특히 마음 속에 와 닿았던 것은 간호사를 해 나감에 있어서 무엇이 중요한지 였다. 수 선생님께서는 나부터 행복한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셨다. 내가 행복해야 다른 사람을 행복하게 할 수 있고, 그러기 위해선 등산을 하는 것처럼 고된 상황이 와도 이겨낼 수 있는 무언가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고 하셨다. 그 말씀이 정말 와 닿았다. 3학년 때는 병동을 돌면서 내가 직접 할 수 있는 것은 정말 없었는데, 중환자실에서는 bed care라든지, 얼음주머니를 만들어서 환자분 몸 속에 넣어 준다는지, suction, O2 공급, 위관영양 등 실습 지침서에 나와있는 것들을 하는 기회가 되어서 좋았다. 내가 먼저 배우려 하지 않아도, 선생님들께서 적극적으로 알려주셔서 가능했던 것 같다. 중환자실에서 환자 분께서 돌아가신 모습을 본 적은 없었는데, Coma상태인 분이 많이 계셔서 보호자 면회 시간마다 우시는 보호자 분이 많았다. 나도 소중한 사람을 세상 밖으로 떠나 보낸 경험이 있어서 감정이입이 되느라 보호자 면회시간이 힘들었다. 기도를 하시는 분들도 계셨고, 잘못을 뉘우치는 분들도 계셨다. 그 모습을 보면서 하루 하루 소중히 내가 누군가의 친구고, 가족인 것에 감사하며 살아야 겠다는 생각이 확고히 들었다. 그래서인지, 나도 모르게 중환자 실습을 할 때 환자분들 얼굴을 볼 때마다 손 한번 더 잡아드
추천자료
뇌졸중 뇌혈관장애(Cerebral vascular accident) 간호진단
뇌혈관사고, 뇌졸중
[뇌졸중][뇌졸중환자][뇌졸중치료][뇌졸중예방][뇌]뇌졸중의 정의, 뇌졸중의 원인, 뇌졸중의 ...
뇌졸중 중대뇌동맥 MCA 성인가호학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뇌혈관질환(뇌졸중) (Cerebrovascular disease).ppt
[물리치료] 뇌졸중과 뇌 외상에 대한 운동치료
[뇌척수손상환자가족]뇌척수손상환자가족, 뇌졸중환자가족의 부양부담, 노인만성질환자가족의...
[신체이동동작, 신체이동동작과 신경구조, 신체이동동작과 뇌손상, 신체이동동작과 뇌졸중, ...
[위험요인(위험요소), 뇌혈관질환, 고혈압]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위험요소), 고혈압의 위험...
뇌졸중 중 뇌출혈 A+ 받은 케이스입니다.
생활과건강-뇌졸중은 흔히 중풍이라고 불리는 뇌혈관 질환이다, 뇌졸중 예방 환자 교육내용 &...
[생활과 건간 공통] 뇌졸중은 뇌 일부가 손상- 신경학적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질환. 뇌졸중 ...
[생활과 건간 공통] 뇌졸중은 중풍이라고 불리는 뇌혈관 질환, 뇌 혈액 공급 혈관이 터지거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뇌졸중은 흔히 중풍이라고 불리는 뇌혈관 질환으로 뇌에 혈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