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성인간호학 : 결장암으로 외과적수술과함께 장루형성술 받은 환자 수술직후 간호 회복기간호중재, 장루형성술 환자 가족 교육내용, 장루형성술 교육방법 교육매체 도구 선택, 교육 효과 평가 방법, 장루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16 성인간호학 : 결장암으로 외과적수술과함께 장루형성술 받은 환자 수술직후 간호 회복기간호중재, 장루형성술 환자 가족 교육내용, 장루형성술 교육방법 교육매체 도구 선택, 교육 효과 평가 방법, 장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결장암으로 외과적 수술과 함께 장루형성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 직후의 간호와 회복기 간호중재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1) 장루란?
2) 장루의 종류
3) 장루형성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 직후의 간호
4) 장루형성술을 받은 환자의 회복기 간호중재
① 장세척
② 피부간호
③ 식이조절

2. 장루형성술 환자는 심리적인 충격이 큰 경우가 많다. 장루형성술을 받은 환자와 가족에게 실시해야 할 교육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1) 긍정적인 신체상 교육
2) 피부관리 교육
3) 체액과 영양관리 교육
4) 배변관리 교육
5) 성기능 장애 관련 교육

3. 본인이 위의 교육을 제공한다면 어떤 교육방법과 교육매체 ․ 도구 등을 선택하여 수행할 것인지와 교육의 효과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교육 효과 평가 방법)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 알아봄으로써 간호중재에 응용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해보자.
Ⅱ. 본론
우리나라는 지속적으로 대장암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장루 보유자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장루 환자의 간호와 관련하여 문항별로 답안을 작성하기 바랍니다.
1. 결장암으로 외과적 수술과 함께 장루형성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 직후의 간호와 회복기 간호중재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1) 장루란?
장루(인공항문)는 소장 및 대장 내의 질병으로 인하여 소장 또는 대장의 일부를 복벽을 통해 꺼내서 장에 구멍을 내어 복부에 고정한 것이다. 항문을 대신하여 변을 배출하며 장루 이하 부위의 항문쪽 하부장관으로 장 내용물이 지나가는 것을 방지하거나, 하부장관이 막혀서 장이 늘어난 경우에 장 팽창을 감압하기 위하여 만들어 준다.
장루 자체가 장의 일부분이므로 장 점액이 분비되어 촉촉하고, 또한 신경분포가 없으므로 통증을 유발하지 않으며 혈관 분포가 많아 가벼운 자극으로 피가 날 수 있으며 피가 나더라도 곧 지혈된다. 출처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ealth.mw.go.kr
수술 후 초기의 장루는 부어있고 암적색이다가 6~8주 정도 지나면서 부종은 서서히 줄어들고 선홍색을 띄게 되며 또한 장루는 배변조절 능력 및 변의를 느끼는 감각이 없고, 피부에 만들기 때문에 환자에게 개인적, 사회적인 생활에 변화를 가져오고 되고, 삶의 질을 어느 정도 저하시키므로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 국한해서 만드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장루의 종류http://health.mw.go.kr/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4050&subIdx=2&searchCate=&searchType=&searchKey=&pageNo=&category=&category_code=&dept=&sortType=date&page=1&searchField=&searchWord=
① 위치에 따른 분류: 하행/에스결장루, 횡행 결장루, 회장루
② 형태에 따른 분류: 말단 장루, 환상 장루
③ 회장루: 말단 회장루, 환상 회장루
④ 결장루:
a. 전환 결장루: 맹장루, 환상형 횡행결장루
b. 말단 에스결장루
3) 장루형성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 직후의 간호
- 수술 직후, 장루의 색, 배액물의 양과 색을 매 순번 시 관찰, 기록하고, 이상소견 시 보고한다.
- 장루 부위로 배액물이 새거나 장루 주위 피부손상을 막기 위해 주기적으로 pouching system을 교환한다. 이때를 교육의 기회로 삼는다.
- pouching system 교환시마다 장루 주변 피부상태를 사정, 기록하고 이상소견(누출로 인한 피부손상, 알러지, 감염 등)이 있으면 그에 대한 처치를 한다.
- 정기적으로 pouch를 비우고 장루와 피부를 세척하고, pouching system을 비우는 것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때까지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 가스와 냄새의 조절 등에 대한 생활에 가족이 적응하도록 인도한다.
⇒ 장루 물품의 보급, 목욕, 옷 입기, 여행 등의 정보
- 환자가 장루와 신체상의 변화, 성적 문제에 대한 감정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 장루협회나 장루 전문 간호사 등의 사회적 자원에 대한 정부를 제공한다.
- 장루 보유자 간호의 표준 지침에 대해서 설명과 시범을 보인다.
4) 장루형성술을 받은 환자의 회복기 간호중재
① 장세척
- 폐색을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세척한다(매일 또는 이틀에 한번)
- 좋은시간: 수술전 배변시간
- 방법: 스스로 관장
- 세척시 한번에 1000ml이상 주입안됨
- 세척관 삽입길이:5~10cm
- 세척하지 않는 대상자는 장갑을 끼고 손가락에 윤활제를 묻힌 다음
- 좁아진 장루의 개구부를 확장시키라고 교육시킨다.
※ 장세척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및 해결방법
① 세척액 주입이 어려움
삽입관의 위치가 잘못 되었거나 딱딱한 대변에 의해 삽입관 입구가 막혀 있는 것은 연동운동 때문인 경우가 많다. 이때는 삽입관을 조정하여 장벽에 닿지 않았는지 확인하여 자세나 삽입관의 각도를 약간 바꿔보고 세척통의 높이가 적절한지, 연결관이 꼬이지 않았는지 점검하면서 몸을 편안히 이완시키고 심호흡을 한다. 장루 입구의 대변이 딱딱하면 물의 흐름을 막을 수 있으므로 소량의 물을 주입하여 변을 부드럽게 해주고 그래도 주입이 안 되면 조절기를 잠그고 삽입관을 뺀 후 매복변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② 세척액이 다시 나오지 않음
수분 섭취가 불충분하여 주입된 세척액를 대장이 흡수해 버린 경우이다. 간혹 수술 후 장 마비에 의해 세척액이 나오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이런 문제가 있을 때는 장세척을 하지 말아야하고 탈수증에 의해 세척액이 나오지 않을 경우에는 다음 세척 시까지 주머니를 착용하고 경구 수분섭취를 증가시켜야 한다.
③ 복통
세척액이 너무 빨리 주입되었거나 세척액의 온도가 너무 차가울 경우 발생할 수 있다. 미온수를 이용하고 세척액이 5~10분에 걸쳐 서서히 주입되도록 해야 하고 만약 복통이 발생하면 일단 조절기를 잠그고 복통이 사라질 때까지 기다린다. 보통 미약한 복부 불편감은 정상적으로 일어날 수 있으므로 주입을 잠깐 멈추고 심호흡을 하면서 배를 마사지하면 곧 가라앉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심한 복통이 계속되는 경우 대장벽의 손상이나 봉합부위의 천공이 우려되므로 장세척을 중단하고 곧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② 피부간호
- 장루주변 피부는 순한 비누와 물로 깨끗이 씻은 후 새주머니가 부착되기 전 철저히 말린다.
- 피부찰과상: 장루 주변의 피부에 물기가 있으므로 발생
karaya 나 그 밖의 파우더를 뿌려 예방
- 누공의 색 자주 관찰: 창백하거나, 거므스름, 청색을 띄는 것
③ 식이조절
ⓐ 저잔여식이를 섭취하여야 한다. -가스생성음식, 냄새를 많이 나게 하는 음식은 제한ex)양파, 양배추, 계란, 생선류, 채소류, 견과류, 옥수수, 콩...
-너무 빨리 먹어서 공기를 삼키거나, 껌을 씹거나, 탄산 음료수를 마시는 것도 장에 가스를 생기게 한다.
ⓑ 수분섭취는 1일 1200~1500cc(왜냐하면 대장이 없어 탈수 되기 쉬움)
ⓒ 음식을 잘 씹어먹도록 교육(왜냐하면 음식이 장을 통과하는 속도가
  • 가격4,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6.03.21
  • 저작시기201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77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