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각각의
특징
재배지
직조과정
이용사례
차이점
순으로 정리되었습니다.
특징
재배지
직조과정
이용사례
차이점
순으로 정리되었습니다.
본문내용
히 말려 도투마리에 감아 모시 짜기에 알맞게 완성하는 과정이다.
7.꾸리감기
⇒모시 삼기 : 짼 모시올을 물에 적셔 짜서 전지에 걸쳐놓고 갈라진 모시 꼬리에 모시 머리쪽을 넣어 손바닥에 침을 발라 허벅다리에 대고 비벼 두 모시올을 연결시켜 소쿠리에 담는다.
모시를 나는작업과 매는작업은 모시 직조 과정에서 날줄을 매는 작업이지만 꾸리는 모시굿을 씨줄로 사용하는데 알맞게 모양을 만드는 작업이며 모시굿 10개가 한필의 원사량이 된다.
모시를 나는 작업과 매는 작업은 모시 직조 과정에서 날줄을 매는 작업이지만 꾸리는 모시굿을 씨줄로 사용하는데 알맞게 모양을 만드는 작업이며 모시굿 10개가 한필의 원사량이 된다.
8.모시짜기
모시는 베틀이라고 일컫는 방직기로 짠다. 날실이 감긴 도투마리를 베틀의 누운 다리위에 올리고 바디에 끼운 날실을 빼어 2개의 잉아에 번갈아 끼우고 다시 바디에 끼워 \"매듭대\"에 매고 말코에 감아 날실을 긴장시켜 놓고 베틀의 쇠꼬리채를 발로 잡아 당겨서 날실을 벌려 손으로 준비된 씨실꾸리가 담긴 북을 좌우로 엮어 짜는 과정이다.모시는 베틀이라고 일컫는 방직기로 짠다. 날실이 감긴 도투마리를 베틀의 누운 다리위에 올리고 바디에 끼운 날실을 빼어 2개의 잉아에 번갈아 끼우고 다시 바디에 끼워 \"매듭대\"에 매고 말코에 감아 날실을 긴장시켜 놓고 베틀의 쇠꼬리채를 발로 잡아 당겨서 날실을 벌려 손으로 준비된 씨실꾸리가 담긴 북을 좌우로 엮어 짜는 과정이다.
⇒모시날기.매기.짜기 : 모시 날기와 모시 매기 및 모시 짜기는 면직물이나 마직물의 직조 과정과 같다. 단 모시 매기를 할 때 생콩을 갈아 풀을 만들어 사용하며, 모시를 짤 때 건조하면 올이 끊어지므로 짜는 도중에 마른 날실을 물줄개로 적셔 주며, 습기가 있어야 하므로 움집에서 짠다.
삼베와 모시의 이용사례
삼베의 이용사례
여름철의 대표적인 옷감으로 적삼, 조끼, 요, 홑이불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직물용 이외에 로프, 그물 또는 하절기의 모기장용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삼베가 우리나라에서는 고조선시대부터 일반적인 마포로 도입되기 시작하여 통일신라시대부터는 저마포(모시)와 대마포(삼베)로 분리 직조되어 저마포(모시포)는 왕족이나 귀족의 직물용으로 대마포는 서민의 직물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오늘날까지 우리에게 삼베직물이 수의용 직물로 사용되게 된 것은 935년 신라의 마지막왕인 경순왕의 아들 마의태자가 나라를 빼앗긴 설움에 당시 서민들이 즐겨 입던 누런 삼베의 누더기 옷을 입은 채 개골산 (皆骨山 - 지금의 금강산) 으로 들어가 나오지 않자 이에 우리의 조상들은 상(喪)을 당했을 때 삼베옷을 입고 망자(亡者)에 대한 애도의 뜻을 표하는 상복(喪服)의 풍습으로 전해 내려오고 있는 것이라고 한다.
그러면 우리의 조상들은 장례때 왜 이 누런 삼베만을 수의용으로 고집하셨을까 ? 아마도 우리조상들은 우리가 미쳐 모르고 있었던 삼베고유의 향균기능을 오래 전부터 알고 계셨던 것이다. 즉, 삼베를 수의용으로 사용한 시신은 삼베의 이런 특성 때문에 시신의 뼈가 땅속에서도 썩지 않고 건조되어 누런 황골(黃骨)로 발견된다고 하며 이는 서양에서 발견되어지는 미이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우리 조상님들의 놀라운 지혜는 우리의 생활 속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예컨데 부엌에서 아직도 삼베행주를 사용하시는 모습에서, 생선을 건조할 때 삼베포로 덮어 놓으시던 모습에서 된장이나 고추장 항아리 안에 삼베포로 덮어두시던 모습 등이 바로 그것이다.
모시의 이용사례
모시는 깔깔하고 흡습성이 좋아서 옷을 입지 않은 것 보다 더 시원하다고 할 정도로 여름철의 귀한 옷감이다. 뿐만 아니라, 모시풀은 산화의 변질의 원인이 되는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천연 방부제 성분이 들어있어 식품에 첨가하며 제조할 경우 신선함을 유지 하는데 도움이 되고 당뇨병 환자의 경우 혈당 강화 효과가 있고칼슘과 칼륨의 함유량이 높아 꾸준히 섭취할 경우 어린이나 성인의 뼈를 튼튼히하여 골다공증에도 효과가 좋다.
그리고 천연 섬유를 뽑아내는 풀 답게 식이 섬유가 맣이 함뮤되어 다이어트에도 효과가 좋다고 한다. 잎 뿐만아니라 줄기와 뿌리에는 항산화 활성 물질이 혈액을 맑게 하여 고혈압 고지혈에 효과가 탁월하다. 식이 섬유소가 들어가 있어 뿌리부터 잎까지 버릴것이 없는 천연 기능성 식물이다.
삼베와 모시의 차이점
삼베와 모시는 모두 식물의 줄기에서 원료를 얻어 베틀로 짠 옷감이며 옷감에 촘촘한 구멍이 있고 옷감이 살갗에 달라붙지 않을 뿐만아니라 바람이 잘
7.꾸리감기
⇒모시 삼기 : 짼 모시올을 물에 적셔 짜서 전지에 걸쳐놓고 갈라진 모시 꼬리에 모시 머리쪽을 넣어 손바닥에 침을 발라 허벅다리에 대고 비벼 두 모시올을 연결시켜 소쿠리에 담는다.
모시를 나는작업과 매는작업은 모시 직조 과정에서 날줄을 매는 작업이지만 꾸리는 모시굿을 씨줄로 사용하는데 알맞게 모양을 만드는 작업이며 모시굿 10개가 한필의 원사량이 된다.
모시를 나는 작업과 매는 작업은 모시 직조 과정에서 날줄을 매는 작업이지만 꾸리는 모시굿을 씨줄로 사용하는데 알맞게 모양을 만드는 작업이며 모시굿 10개가 한필의 원사량이 된다.
8.모시짜기
모시는 베틀이라고 일컫는 방직기로 짠다. 날실이 감긴 도투마리를 베틀의 누운 다리위에 올리고 바디에 끼운 날실을 빼어 2개의 잉아에 번갈아 끼우고 다시 바디에 끼워 \"매듭대\"에 매고 말코에 감아 날실을 긴장시켜 놓고 베틀의 쇠꼬리채를 발로 잡아 당겨서 날실을 벌려 손으로 준비된 씨실꾸리가 담긴 북을 좌우로 엮어 짜는 과정이다.모시는 베틀이라고 일컫는 방직기로 짠다. 날실이 감긴 도투마리를 베틀의 누운 다리위에 올리고 바디에 끼운 날실을 빼어 2개의 잉아에 번갈아 끼우고 다시 바디에 끼워 \"매듭대\"에 매고 말코에 감아 날실을 긴장시켜 놓고 베틀의 쇠꼬리채를 발로 잡아 당겨서 날실을 벌려 손으로 준비된 씨실꾸리가 담긴 북을 좌우로 엮어 짜는 과정이다.
⇒모시날기.매기.짜기 : 모시 날기와 모시 매기 및 모시 짜기는 면직물이나 마직물의 직조 과정과 같다. 단 모시 매기를 할 때 생콩을 갈아 풀을 만들어 사용하며, 모시를 짤 때 건조하면 올이 끊어지므로 짜는 도중에 마른 날실을 물줄개로 적셔 주며, 습기가 있어야 하므로 움집에서 짠다.
삼베와 모시의 이용사례
삼베의 이용사례
여름철의 대표적인 옷감으로 적삼, 조끼, 요, 홑이불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직물용 이외에 로프, 그물 또는 하절기의 모기장용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삼베가 우리나라에서는 고조선시대부터 일반적인 마포로 도입되기 시작하여 통일신라시대부터는 저마포(모시)와 대마포(삼베)로 분리 직조되어 저마포(모시포)는 왕족이나 귀족의 직물용으로 대마포는 서민의 직물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오늘날까지 우리에게 삼베직물이 수의용 직물로 사용되게 된 것은 935년 신라의 마지막왕인 경순왕의 아들 마의태자가 나라를 빼앗긴 설움에 당시 서민들이 즐겨 입던 누런 삼베의 누더기 옷을 입은 채 개골산 (皆骨山 - 지금의 금강산) 으로 들어가 나오지 않자 이에 우리의 조상들은 상(喪)을 당했을 때 삼베옷을 입고 망자(亡者)에 대한 애도의 뜻을 표하는 상복(喪服)의 풍습으로 전해 내려오고 있는 것이라고 한다.
그러면 우리의 조상들은 장례때 왜 이 누런 삼베만을 수의용으로 고집하셨을까 ? 아마도 우리조상들은 우리가 미쳐 모르고 있었던 삼베고유의 향균기능을 오래 전부터 알고 계셨던 것이다. 즉, 삼베를 수의용으로 사용한 시신은 삼베의 이런 특성 때문에 시신의 뼈가 땅속에서도 썩지 않고 건조되어 누런 황골(黃骨)로 발견된다고 하며 이는 서양에서 발견되어지는 미이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우리 조상님들의 놀라운 지혜는 우리의 생활 속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예컨데 부엌에서 아직도 삼베행주를 사용하시는 모습에서, 생선을 건조할 때 삼베포로 덮어 놓으시던 모습에서 된장이나 고추장 항아리 안에 삼베포로 덮어두시던 모습 등이 바로 그것이다.
모시의 이용사례
모시는 깔깔하고 흡습성이 좋아서 옷을 입지 않은 것 보다 더 시원하다고 할 정도로 여름철의 귀한 옷감이다. 뿐만 아니라, 모시풀은 산화의 변질의 원인이 되는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천연 방부제 성분이 들어있어 식품에 첨가하며 제조할 경우 신선함을 유지 하는데 도움이 되고 당뇨병 환자의 경우 혈당 강화 효과가 있고칼슘과 칼륨의 함유량이 높아 꾸준히 섭취할 경우 어린이나 성인의 뼈를 튼튼히하여 골다공증에도 효과가 좋다.
그리고 천연 섬유를 뽑아내는 풀 답게 식이 섬유가 맣이 함뮤되어 다이어트에도 효과가 좋다고 한다. 잎 뿐만아니라 줄기와 뿌리에는 항산화 활성 물질이 혈액을 맑게 하여 고혈압 고지혈에 효과가 탁월하다. 식이 섬유소가 들어가 있어 뿌리부터 잎까지 버릴것이 없는 천연 기능성 식물이다.
삼베와 모시의 차이점
삼베와 모시는 모두 식물의 줄기에서 원료를 얻어 베틀로 짠 옷감이며 옷감에 촘촘한 구멍이 있고 옷감이 살갗에 달라붙지 않을 뿐만아니라 바람이 잘
추천자료
유전자 복제
나노 화장품에 대한 연구
[유망직종][유망업종][유망직업][직종][업종][직업][입사전략][취업][입사][자격증]경제환경...
[철근콘크리트]콘크리트의 정의와 분류, 콘크리트의 역사, 콘크리트의 품질과 등급, 철근콘크...
수산 해운계(수해양계) 고등학교의 교과성격과 교과목표, 수산 해운계(수해양계) 고등학교의 ...
[미생물][미생물활용]미생물의 종류, 미생물의 대사, 미생물의 독소와 중독증, 미생물과 오염...
나노 기술 (nano-technology)
석면(Asbestos).ppt
[광양자설, 광자설, 광검출기, 광리소그래피, 광디스크, 광채널, 광자결정, 광전효과]광양자...
[중소벤처기업]중소벤처기업의 기능, 중소벤처기업의 범위, 중소벤처기업의 정책변천과정, 중...
생물미래학 - 알츠하이머에 관해서
[경영정보기술][경영][정보기술][정보]경영정보기술의 의의, 경영정보기술의 의사결정, 경영...
[기술경영 글로벌 기업] ‘작지만 강한 R&D혁신기업’ - 터치스톤연구소에 대한 기술경영학...
정유산업의 이해 & 석유생산 및 제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