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번역] 18장. 히스테리성, 자기애성, 의존성 성격 장애 [Widiger and Bornstein]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원서번역] 18장. 히스테리성, 자기애성, 의존성 성격 장애 [Widiger and Bornstein]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뤄지는 것은 아닐 것이다. 더 타당한 진단은 아마도 “진단에서 여성의 경우 오류 긍정 (false positive errors) 가능성을 줄이고 행동 특성들을 늘려서 모호하거나 잘못 해석되거나 잘못 적용되는 것을” 개정함으로써 가능해질 것이다.
★ 다른 인구학적 변인도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히스테리성 성격장애는 어떤 문화 집단에서 더 많이 진단된다. 이 장애는 공공연한 성적 유혹이 덜 빈번한 아시아 문화권에서는 덜 나타나고 공공연하고 억압되지 않은 성이 명백한 중남미계나 라틴계 문화권에서 더 많다. 그러나 때로 진단 기준이 이들 서로 다른 문화적 맥락에 따라 조정되어야 하는 가는 불분명하다. DSM-Ⅳ의 준거가 다른 사회에서는 공유되지 않는 유혹성과 관련된 가정이나 편향을 반영하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 자기애성 성격장애와 진단 준거의 타당도는 생애 주기에 따라 변화한다. DSM-Ⅳ 에 기술되어 있듯이 젊은 성인에게 가장 적당하다. 성적 유혹성은 사람이 나이들어가면 덜 명백해지거나 최소한 다른 사람들의 주의를 끌거나 남을 조종하는 데 덜 효과적인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반면 히스테리성 정신병리는 나이가 들어가면 더 분명해지는데 히스테리성인 사람은 점점 더 비효과적인 수단으로 주의를 끌려고 하기 때문이다. 나이와 진단의 관계를 평가한 유일한 연구에서 Nestact et al., (1990) 은 젊은 성인들에게서는 성별 유병율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했다. 45세 이전에는 성별 유병율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많은 행동들이 더 젊은 여성들에게서 더 규범적인 것으로 여겨질 가능성이 있고 이 시기에 장애에 대해 과소 진단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병인론과 병리 (病狀 pathology)
★ 히스테리성 성격 장애의 유전성에 대해서는 가계 연구나 쌍생아, 입양 연구는 아직 없지만 제한적 지지들이 약간 있다. 상당한 자료들을 통해 제안되는 바, 이 장애는 신경증과 외향성의 넓은 영역 안에 존재하는 공통적인 성격 특질의 부적응적 변형태들의 군집이다. 예를 들어 외향성은 사교적이고 말이 많고 애정어린(affectionate); 쾌활하고, 친구가 많고 사회적 교제를 추구하고; 원기왕성하고, 재빠르고, 활기있고; 격렬하고 (flash), 자극을 추구하고 모험을 하고; 원기 충천한 성향 (proposition) 을 포함한다. Costa 와 McCrae (1992) 는 이런 외향성 특질들을 따뜻한 면, 사교성, 활동성, 흥분 추구성, 긍정적 정서성 으로 나누었다. 외향성 특질들은 대부분 바람직하고 적응적이다. 그러나 이런 특질들의 극단적 변형태를 지닌 사람들은 부적응적 결과를 경험하기 쉽고 히스테리성으로 특징 지워질 수 있다. “히스테리성 개인들은 부적절하고도 과정되게 정서를 표현하고 (과도하게 긍정적인 정서) 흥분과 충동을 빚어내며 ( 높은 흥분 추구) 보통은 피상적인 많은 관계들을 빨리 맺고 (높은 사교성) 부적절한 정동, 애인관계 (intimacy)와 유혹성을 연출한다 (높은 따뜻함). 히스테리성 성격 장애가 외향성 특질의 부적응적 극단적 형태를 얼마나 포함하느냐에 따라 유전성이 지지되기도 한다.
★ 이 장애의 병상은 DSM-Ⅳ 준거 기준으로 어느 정도 알 수 있다. 이 장애를 가진 사람은 사랑받고 매력적이고자(desired) 하며 다른 사람과 성적으로 강하게 관계를 갖고자 하는 병리적 욕구를 갖고 있고 이를 위해 다양한 수단을 사용한다고 할 수 있다. 주의를 끌기 위해 육체적 외모를 이용하고 멜로드라마처럼 정서적이고 부적절하게 유혹적이다. 실제보다 관계를 더 친숙한 것으로 지각하는데 가까운 친숙함에 대한 자신의 욕구와 환상 때문에 그렇게 된다. 매우 피암시적이고 다른 사람들에 의해 영향을 쉽게 받는데 인간관계에 밀접하게 몰입하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피암시성의 극단적 예는 임상가가 특별하고도 의미있는 관계를 제안했다는 증상이나 기억이 생겨나는 것이다?.
★ 이 장애의 기술은 정신역동의 구순기 병리의 기술과 대체로 일치한다. 많은 부모 자녀 관계 때문에 발달될 수 있다?. 지나치게 성애적인 (eroticized) 부모 자녀 관계에서도 부분적으로 과도한 욕구가 발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버지가 딸이 아버지에게 매력적이고 탐나며 도발적이어서 딸을 사랑한다고 언어적으로나 비언어적으로 되풀이하여 전달할 수 있다. 딸의 자기 가치나 의미 감각이 아버지가 딸을 대하는 방식에 대부분 의존하게 될 수 있고 그래서 딸은 기본적으로 남자에 의해 평가되는 방식의 관점에서 자신의 가치를 평가하게 될 수 있다. 남들에게서 자신이 필요로 하는 것을 얻어내는 것을 배울 수 있고 이때 이 딸은 매우 도발적이고 침입적이며 (intrusive) 조종적이게 된다.
★ 이 장애의 신경화학적 모델은 노르아드레날린 체계의 과대반응성을 강조한다. 카테콜아민 기능의 조절장애가 거부 신호에 대한 현저한 정서적 반응성을 빚어낼 수 있다. 사회적 승인이나 거부 신호에 대한 반응에서 정서를 조절하는 생화학적 기제가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 조절기제가 사회생리적으로 도움이 되어 사람들은 사회적 관심의 단서에 적절하게 반응하게 된다. “아마도 히스테리성 dysphoric 환자들은 이 기제가 과도 반응하게 되었고....모노아민 옥시다제 억제자가 이 기능부전을 회복시킨다”(Klein, 1999)
★ 인지이론들은 대인관계 역학과 연합된 비합리적 도식들을 강조한다. Horowitz (1991) 는예를 들어 히스테리성인 사람들이 어떻게 자기를 “성적 인기인, 부상당한 영웅으로 부당하게 가치있게” 여기게 되며 나머지 세계가 흥미로운 구혼자나 헌신적인 구출자같은 지지적 역할을 하게 되는 지를 기술하였다. Beck 과 Freeman (1990) 은 이 사람들의 생각의 핵심적인 비합리적 신념을 제시했는데 “ 내가 사람들을 사로잡지 못하면 나는 아무것도 아니다” 또는 “ 내가 내가 사람들을 기쁘게 하지 못하면 그들은 나를 버릴 것이다”같은 것들이다. 이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치료가 복잡해지는 것은 이들의 인상주의적이고 확산적인(diffuse) 인지 스타이이다. 히스테리적인 인지는 일반적으로 포괄적이고 상대적으로 촹
  • 가격13,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6.03.26
  • 저작시기201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86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