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번역] 5장. Culture, Ethnicity, and Psychopathology [Jeanne L. Tsai, James N. Butcher, Ricardo F. Munoz, and Kelly Vitous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원서번역] 5장. Culture, Ethnicity, and Psychopathology [Jeanne L. Tsai, James N. Butcher, Ricardo F. Munoz, and Kelly Vitous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Defining “Culture", "Ethnicity", and "psychopathology"

2. Theoretical Perspectives

3. Variation Across Different Types of Mental Disorders

4. Asessing Psychopathology Across Cultures

5. Central Qusetioning Regarding Culture and Psychopathology

6. Future Research Direction in Cross-Cultural Psychopathology

본문내용

는 견해에 따라 달라짐
5.3.3. Anxiety Disorders
불안을 촉발시키는 사건들에서 문화적인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불안의 의미는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cultural idioms of distress\' perspective
① Guarnaccia(1993) : \'ataque de nerviou\'은 가족 내에서 일어나는 화남, 놀람으로 정의되는 우울증적이고 불안한 증상.
② Russell(1989), Tanaka-Matsumi(1979) : \'tajin kyofusho\'이 일본적 상황에서만 일어나는, 일본의 가치와 규범의 맥락에서만 이해될 수 있는 독특한 것이라고 주장
③ Malgady, Rogler, Cortes(1996) : 푸에르토리코 주민은 우울증과 불안을 표현할 때 공격성(agression), 자기주장성(assertiveness)과 같은 문화적인 관용어를 사용함을 발견. 유럽계 미국인들과 우울증과 불안을 받아들이는 문화적 의미가 다르다는 것을 시사함.
5.3.4. Substance Abuse and Dependence
알콜과 약물 사용의 의미에서의 문화적 다양성이 알콜과 약물 소비율에 영향을 미친다.
① Caetano(1989) : 아프리카계 미국인, 히스패닉, 백인 미국인 중 앞선 두 그룹은 백인보다 알콜리즘을 도덕적 결함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
② Sigelman과 그의 동료들(1992) : 인디안 학생들이 히스패닉과 백인 아이들보다 알콜리즘을 덜 심각하게 보고, 알콜중독자들이 문제에 덜 책임이 있다고 보며, 알콜리즘을 하나의 병쯤으로 간주함을 발견.
③ Pedigo(1983) ; 이 사람의 주장도 위와 일치; 인디언들이 알콜과 약물 사용 및 남용을 백인 문화에서보다 더 받아들일 만한 것으로 여긴다는 주장. 개인을 holistically 하게 여기고 다른 그룹보다 음주를 덜 심각하게 받아들임. 심지어 어떤 인디언 그룹에서는 음주와 약물 사용의 형태가 과거와 현재의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여겨짐. 이러한 이유들은 인디언 그룹에서 알콜 소비율이 다른 미국의 인종 그룹에서보다 더 높은 이유를 말해줌. 어떤 문화에서는 알콜과 약물 사용이 영적, 종교적 의식에서 의미를 갖고 알콜과 약물 소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함.
5.4. Do \"Culture-Boung\" Syndormes Exits?
유일하게 하나의 문화에서만 발견될 수 있는 신드롬을 \'culture-bound syndrome\'으로 지칭하였음
① 정의 : ‘universal\' disorder의 변동 그 이상의 것이며, 특정 사물과 특정문화의 실행들에 의해 결정되는 것(Ahktar, 1988). 원래는 서양문화가 아닌 곳에서 관찰되는 신드롬을 의미하는 것이었으나, 최근에 특정 신드롬이 서양문화에서만 일어나는 경우라면(=multiple personality disorder) 그것도 포함시키는 것으로 변경이 되었음. Takahashi(1990)의 연구에 따르면, 일본에서 1983-1988년 시기에 DSM-Ⅲ, DSM-Ⅲ-R에 따라 MPD로 진단된 경우는 한 차례도 없었음.
② 이러한 신드롬이 실재로 존재하는가에 대한 뜨거운 논쟁이 벌어지고 있으나 DSM-Ⅳ는 이러한 신드롬을 인정하여 부록에 신드롬의 목록을 제시하고 있음
③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이전의 culture-bound한 것으로 여겨졌던 것들이 우울과 불안의 변화 형태임이 제시되었음(Mumford, 1996). 특정 신드롬을 culture-bound한 것으로 볼 것인지의 여부는 정신병의 정의적 측면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달라지게되는데, 만약 증상들에 대해서만 초점을 맞추어 고려한다면 관습적으로culture-bound하다고 여겨진 많은 신드롬들이 우울과 불안의 문화적 발현으로 고려될 수 있고, 만약 문화적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고려한다면, 어느 정도에 있어 모든 신드롬은 culture-bound하다고 할 수 있음.
5.5. Does Culture Influence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Impact of Mental Illness?
정신병에 대한 사회와 지역사회의 반응이 그 예후에 엄청난 영향을 끼치고 이것이 문화마다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문화에 따른 정신장애의 발병이나 유병율에 대한 연구에 비해 적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임. 정신질병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영향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요인으로는 ① 사회적 관계에 대한 가치, ② 정신병에 대한 관점, ③ 자아에 대한 관점으로 세분해 볼 수 있음
5.5.1. 사회적 관계에 대한 가치
사회적 관계에 대한 문화적 가치와 그것이 정신병환자 개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 정신병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Lefley, 1990). 예를 들면, 가족의 결속이 정신분열증의 재발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음(Birchwood, Cochrane, MacMillan, Copestake, & Cariss, 1992). 뿐만 아니라 가족 내에서 표현된 정서(expressed emotion)수준 표현된 정서는 criticism, emotional overinvolvement, hostility의 3가지 요소로 구성됨.
이 좋지 않은 환자 예후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Brown, Birley, & Wing, 1972). 매문화마다 표현된 정서의 수준이 존재하지만 그 수준이 문화마다 다르며, 표현된 정서의 내용도 문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 이러한 차이점들이 왜 개발도상국에 살고 있는 정신분열증 환자들의 예후가 개발국에 살고 있는 환자들보다 좋은지에 대한 설명이 됨.
5.5.2. 정신병에 대한 관점
특정 문화 맥락에서 정신장애의 영향(impact)은 정신장애와 그로 인해 수반되는 고통을 보는 해당 문화의 관점에 달려 있음. Social labeling theory(Waxler, 1979)에 따르면, 환자에 대한 사회의 반응 방식이 그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침. 예컨대 정신적 스페인어로 nervios로 기술되는데, 이 용어는 멕시코 문화에서 연민을 일으키는 의미로 사용됨. 이와 대조적으로 영어에서는 정신병을 생
  • 가격8,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6.03.26
  • 저작시기201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86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