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p.03
◆ 문헌고찰 (Subdural Hemorrhage, SDH)
-----------------------------p.03
[본론]
◆ 대상자 사정과 객관적 관찰 및 신체검진
-----------------------------p.6
◆ 진단검사 결과와 해석
---------------------------------p.8
◆ 약물과 간호진단-------------------------p.11
[결론]
◆ 참고문헌 및 부록------------------------p.19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p.03
◆ 문헌고찰 (Subdural Hemorrhage, SDH)
-----------------------------p.03
[본론]
◆ 대상자 사정과 객관적 관찰 및 신체검진
-----------------------------p.6
◆ 진단검사 결과와 해석
---------------------------------p.8
◆ 약물과 간호진단-------------------------p.11
[결론]
◆ 참고문헌 및 부록------------------------p.19
본문내용
른 적절한 처치를 통해 빠른 시일 내에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Implication
통증척도(NRS)를 사정하였다.
의식상태 저하로 정확한 측정이 불가함
1시간 간격으로 Vital sign을 monitoring 하였다.
통증을 호소할 때마다 직접가서 살펴보았다
통증 호소 시 손을 잡아주는 등의 \\격려를 하였다.
evaluation
통증척도 사정이 잘 되지 않았다
의식상태 저하로 정확한 측정이 불가함
통증 시 대상자 옆에서 격려를 해주면서 신체적 안위를 도모하였으며 안정을 찾는 모습을
보았다.
간호사 선생님께서 정해진 시간에 정확한 대상자에게 정확한 약물, 정확한 경로, 정확한
용량(5R)을 지켜 투약하였다.
# 2. 뇌내출혈과 관련된 조직관류장애 (뇌압상승의 위험성)
Subjective Data
S1 : “다리랑 팔에 힘이 빠져요”
Objective Data
O1 : 눈 주위, 얼굴의 부종
O2 : 사지 허약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얼굴의 부종이 감소된다.
의식수준이 저하되지 않는다.
plan
의식저하, 두통, 구토, 경련, 고혈압, 서맥, 유두부종 등의 증상을 매 시간마다 관찰한다.
(-뇌 내압 상승, 순환허탈의 지표가 된다.)
활력징후를 1시간마다 측정한다.(혈압상승 : 재출혈야기/ 혈압하강 : 뇌허혈야기)
뇌압상승의 증상을 사정한다.(두통, 구토, 경련, 의식저하, 유두부종, 동공변화)
SaO₂를 유지하고 필요시 산소를 공급한다.
자극을 최소화하고 경련(뇌관류증가)발생을 예방한다
침대머리를 30~45도로 유지한다.
(침상을 올려서 두 개 내압을 감소 시킨☞ 대뇌정맥 순환 돕기 위함)
Implication
1시간 간격으로 Vital sign, 동공 monitoring 하였다. (day 기준)
(-대상자에게서 ICP 상승 증상인 의식수준의 저하, 서맥, 혈압상승 , 동공의 확대, 호흡의 변화 등을 관찰한다.)
SaO₂를 monitoring하였다. >> 대상자는 Sa02를 98%로 유지하였다
(적절한 산소화를 위함이다.)
대상자의 침상을 30도 이상 올려서 유지하였다. (침상을 올려서 두 개 내압을 감소 시킨다)
evaluation
대상자의 의식은 Drowsy
대상자는 ER에 있는 동안 Mental change를 보이지 않음
간호사 선생님께서 정해진 시간에 정확한 대상자에게 정확한 약물, 정확한 경로, 정확한 용량(5R)을 지켜 투약하였다.
# 3. 환자의 상태에 대한 걱정으로 인한 보호자의 불안
Subjective Data
S1 : “자꾸 신음 소리를 내요”
Objective Data
O1 : 통증 때문인지 신음 소리를 냄
O2 : 보호자의 상태에 대한 불안이 대상자의 표면으로 드러남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보호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해준다
종국엔 보호자의 불안이 최대한 줄어든다
plan
보호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해준다
보호자를 최대한 안심 시킨다
보호자에게 최대한 자세한 긍정적 정보를 준다
환자의 상태를 좋게 하면서 보호자의 걱정을 감소시킬 수 있는 Action을 한다 → 침대머리를 30~45도로 유지한다.
(침상을 올려서 두 개 내압을 감소 시킨☞ 대뇌정맥 순환 돕기 위함)
Implication
V/S 측정 후 긍정적 자료를 보호자에게 이야기 해주었다.
보호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해주었다.
환자의 상태를 좋게 하면서 보호자의 걱정을 감소시킬 수 있는 Action을 해주었다 → 침대머리를 30~45도로 올려주었다.
evaluation
보호자의 불안과 걱정이 최대한 줄어들었다
보호자가 환자의 상태를 자세히 이해하며 침착해졌다.
8. 참고문헌
[ 저자명(출판연도), 도서명, 출판사 ]
Joyce M. Black, Jane Hokanson Hawkis 저(2013), 성인간호학, 정담미디어
성미혜, 홍영혜 외 2명 저(2008),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http://www.druginfo.co.kr/ - 드러그인포
http://www.kimsonline.co.kr/ - KIMS 의약정보센터
네이버 지식사전
보건복지부
네이버 백과사전
9. 부록
- 용어사용의 모호성을 제거하고 환자 상태평가의 객관적 측정도구
- 혼수의 정도를 점수화하여 평가: 눈뜨기, 운동반응, 언어반응 등으로 평가
- 환자의 예후판정에 유효: 합계점수(만점:15)가 7이하일 경우 예후불량
최저3점: 심한 혼수
7점 이하: 혼수
9점 이상: 혼수의 범주에서 제외
EYE
VERBAL
MOTOR
4. spontaneous 3. to voice
2. to pain
1. No reaponse
5. Oriented
4. Confused
3. inappropriate
2. incomprehensive 1. No response
6. Obey commands
5. Localize
4. Withdrawal
3. Abnormal Flexion
2. Abnormal Extension
1. No Response
15점: 완전한 의식 명료 상태
<의식수준의 단계>
1. Alert(명료) - coperation / pain localization (+ / +)
의식이 명료하여 TPP(time, person, place) orientation 가능.
시각, 청각, 기타 감각에 대한 자극에 적절한 반응을 즉시 보여주며 의미있는 상호작용을 한다.
2. Confusion(혼돈)
orientation이 불분명 하고 부적합한 행동이나 말을 하는 상태.
의식이 희미한 상태, 집중되지 않고 앞뒤 안 맞는 대화, 최극 기억장애와 최근 사건을 작화한다.
가끔 동요되고 환경적 자극이 감소될 때 밤에 혼돈을 가져오는 지남력 상실이 나타나기도 한다.
3. Lethargy or Drowsy(기면, 둔한) - copertaion / pain localization (+/+)
억지로 깨우면 대답하고 소리질러 눈뜨게 하면 뜨고 가만히 놔두면 다시 자는 상태
졸음 오는 상태, 자극에 대한 반응이 느리고 불완전, 반응을 보이기 위해서 자극의 강도는 증가시켜야
질문에 대한 혼돈이 있고
Implication
통증척도(NRS)를 사정하였다.
의식상태 저하로 정확한 측정이 불가함
1시간 간격으로 Vital sign을 monitoring 하였다.
통증을 호소할 때마다 직접가서 살펴보았다
통증 호소 시 손을 잡아주는 등의 \\격려를 하였다.
evaluation
통증척도 사정이 잘 되지 않았다
의식상태 저하로 정확한 측정이 불가함
통증 시 대상자 옆에서 격려를 해주면서 신체적 안위를 도모하였으며 안정을 찾는 모습을
보았다.
간호사 선생님께서 정해진 시간에 정확한 대상자에게 정확한 약물, 정확한 경로, 정확한
용량(5R)을 지켜 투약하였다.
# 2. 뇌내출혈과 관련된 조직관류장애 (뇌압상승의 위험성)
Subjective Data
S1 : “다리랑 팔에 힘이 빠져요”
Objective Data
O1 : 눈 주위, 얼굴의 부종
O2 : 사지 허약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얼굴의 부종이 감소된다.
의식수준이 저하되지 않는다.
plan
의식저하, 두통, 구토, 경련, 고혈압, 서맥, 유두부종 등의 증상을 매 시간마다 관찰한다.
(-뇌 내압 상승, 순환허탈의 지표가 된다.)
활력징후를 1시간마다 측정한다.(혈압상승 : 재출혈야기/ 혈압하강 : 뇌허혈야기)
뇌압상승의 증상을 사정한다.(두통, 구토, 경련, 의식저하, 유두부종, 동공변화)
SaO₂를 유지하고 필요시 산소를 공급한다.
자극을 최소화하고 경련(뇌관류증가)발생을 예방한다
침대머리를 30~45도로 유지한다.
(침상을 올려서 두 개 내압을 감소 시킨☞ 대뇌정맥 순환 돕기 위함)
Implication
1시간 간격으로 Vital sign, 동공 monitoring 하였다. (day 기준)
(-대상자에게서 ICP 상승 증상인 의식수준의 저하, 서맥, 혈압상승 , 동공의 확대, 호흡의 변화 등을 관찰한다.)
SaO₂를 monitoring하였다. >> 대상자는 Sa02를 98%로 유지하였다
(적절한 산소화를 위함이다.)
대상자의 침상을 30도 이상 올려서 유지하였다. (침상을 올려서 두 개 내압을 감소 시킨다)
evaluation
대상자의 의식은 Drowsy
대상자는 ER에 있는 동안 Mental change를 보이지 않음
간호사 선생님께서 정해진 시간에 정확한 대상자에게 정확한 약물, 정확한 경로, 정확한 용량(5R)을 지켜 투약하였다.
# 3. 환자의 상태에 대한 걱정으로 인한 보호자의 불안
Subjective Data
S1 : “자꾸 신음 소리를 내요”
Objective Data
O1 : 통증 때문인지 신음 소리를 냄
O2 : 보호자의 상태에 대한 불안이 대상자의 표면으로 드러남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보호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해준다
종국엔 보호자의 불안이 최대한 줄어든다
plan
보호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해준다
보호자를 최대한 안심 시킨다
보호자에게 최대한 자세한 긍정적 정보를 준다
환자의 상태를 좋게 하면서 보호자의 걱정을 감소시킬 수 있는 Action을 한다 → 침대머리를 30~45도로 유지한다.
(침상을 올려서 두 개 내압을 감소 시킨☞ 대뇌정맥 순환 돕기 위함)
Implication
V/S 측정 후 긍정적 자료를 보호자에게 이야기 해주었다.
보호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해주었다.
환자의 상태를 좋게 하면서 보호자의 걱정을 감소시킬 수 있는 Action을 해주었다 → 침대머리를 30~45도로 올려주었다.
evaluation
보호자의 불안과 걱정이 최대한 줄어들었다
보호자가 환자의 상태를 자세히 이해하며 침착해졌다.
8. 참고문헌
[ 저자명(출판연도), 도서명, 출판사 ]
Joyce M. Black, Jane Hokanson Hawkis 저(2013), 성인간호학, 정담미디어
성미혜, 홍영혜 외 2명 저(2008),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http://www.druginfo.co.kr/ - 드러그인포
http://www.kimsonline.co.kr/ - KIMS 의약정보센터
네이버 지식사전
보건복지부
네이버 백과사전
9. 부록
- 용어사용의 모호성을 제거하고 환자 상태평가의 객관적 측정도구
- 혼수의 정도를 점수화하여 평가: 눈뜨기, 운동반응, 언어반응 등으로 평가
- 환자의 예후판정에 유효: 합계점수(만점:15)가 7이하일 경우 예후불량
최저3점: 심한 혼수
7점 이하: 혼수
9점 이상: 혼수의 범주에서 제외
EYE
VERBAL
MOTOR
4. spontaneous 3. to voice
2. to pain
1. No reaponse
5. Oriented
4. Confused
3. inappropriate
2. incomprehensive 1. No response
6. Obey commands
5. Localize
4. Withdrawal
3. Abnormal Flexion
2. Abnormal Extension
1. No Response
15점: 완전한 의식 명료 상태
<의식수준의 단계>
1. Alert(명료) - coperation / pain localization (+ / +)
의식이 명료하여 TPP(time, person, place) orientation 가능.
시각, 청각, 기타 감각에 대한 자극에 적절한 반응을 즉시 보여주며 의미있는 상호작용을 한다.
2. Confusion(혼돈)
orientation이 불분명 하고 부적합한 행동이나 말을 하는 상태.
의식이 희미한 상태, 집중되지 않고 앞뒤 안 맞는 대화, 최극 기억장애와 최근 사건을 작화한다.
가끔 동요되고 환경적 자극이 감소될 때 밤에 혼돈을 가져오는 지남력 상실이 나타나기도 한다.
3. Lethargy or Drowsy(기면, 둔한) - copertaion / pain localization (+/+)
억지로 깨우면 대답하고 소리질러 눈뜨게 하면 뜨고 가만히 놔두면 다시 자는 상태
졸음 오는 상태, 자극에 대한 반응이 느리고 불완전, 반응을 보이기 위해서 자극의 강도는 증가시켜야
질문에 대한 혼돈이 있고
추천자료
아동간호학 실습, nicu, 신생아 중환자실,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고위험 신생아, 기저귀 ...
성인간호학 실습 응급실(ER)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늑골골절, 다발성 골절, 폐쇄성 골절, ...
성인간호학 실습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간호진단 2개(질...
성인간호학 임상실습 ER case study
성인간호학 임상실습 직장암 case study
<성인간호학 실습> 편도선염 간호문제 간호과정.
모성간호학 실습-NSVD
성인간호학 실습-타박상
모성간호학 실습-난임
성인간호학 실습-AMI
<성인간호학 실습> 일반외과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실습> 일반외과 케이스 스터디 : Gastric Cancer
<성인간호학 실습> 일반외과 케이스 스터디 : Intestinal Obstruction
<모성간호학 실습> 산부인과 케이스 스터디 : Adenomyosis(자궁선근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