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역사A]영화 “왕과 나”, “콰이강의 다리” 중 1편을 보고 영화 감상평을 쓰되, 동남아시아인의 시각에서 독자적이고 일관된 주제를 택하고, 논문형식으로 작성.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의역사A]영화 “왕과 나”, “콰이강의 다리” 중 1편을 보고 영화 감상평을 쓰되, 동남아시아인의 시각에서 독자적이고 일관된 주제를 택하고, 논문형식으로 작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 <왕과 나(The King And I, 1956)>
1. 서구 열강에 맞서며, 근대화에 노력하는 태국황실
1) 영화 ‘왕과 나’
2) 영화로 엿볼 수 있는 태국의 근대화 의지
2. 영화 ‘왕과 나’의 뭉꿋왕
1) 라마 4세, 뭉꿋왕
2) 찬란한 문화
3. 서구와의 관계형성
1) 서양우월주의, 인종우월주의
2) 제국주의시대에 동서양의 만남
3) 동양과 서양의 화합
4) 태국의 근대화

Ⅲ. 결 론

[참고 자료]

본문내용

, 문화가 다른 안나는 쉽게 융화가 되지 않았지만, 차츰 왕의 큰 목소리 뒤에 숨은 그의 참된 인간미를 이해하게 되어간다.
서구문화를 흡수해서 신교육으로 왕자들을 가르치려는 왕은 정직하고, 소박한 진보적인 인물이었다.
2) 제국주의시대에 동서양의 만남
제국주의 시대에 서구인의 눈에는 동양은 야만의 땅으로 비춰졌을 것이다. 일단, 앞선 과학문명 앞에서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모습에서 더욱 그런 편견을 가졌으리라고 생각한다. 영화 ‘왕과 나’에서 안나는 한 나라의 왕도 우습게 아는 서구인의 우월감을 가진 전형적인 제국주의 시대 여성이었지만, 야만인으로 생각했던 샴 국왕의 국가와 백성을 생각하는 마음에 감복하게 된다.
선입견과는 다르게 자체의 문화도 뛰어나고 역사에 대한 자부심도 대단한 것을 알고, 새로운 세계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자신의 편견을 스스로 깨뜨리고 마음의 문을 열게 된다. 이 영화는 이런 시대의 동서양의 만남을 유쾌하게 풀어 보여주고 있다.
3) 동양과 서양의 화합
숨겨놓은 기호를 따라 한꺼풀씩 ‘왕과나’를 벗겨보면, 깊이 있고 철학적인 의미가 담겨 있으며, 그로 인해 대작 혹은 걸작이라는 호칭이 아깝지 않다. 전형적 미국 뮤지컬 및 영화의 핵심은 ‘화합’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미국의 생성배경에서 찾을 수 있다. 인종적 다양성과 정착민이 없는 떠돌이들이 한 곳에 모여서 문제없이 살자면 ‘화합’이상 중요한 것이 없기 때문이다.
‘왕과 나’의 핵심 중의 하나는 ‘왕과 나’의 주제가가 바로 “서를 알아 가는 것이 화합의 첫 걸음\"이라는 내용의 \"Getting to know you\"라는 노래라는 점이다.
그것을 염두에 두고 보면, 작품의 처음부터 끝까지 등장인물들의 행위나 대사들이 이루어진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왕과 안나는 처음의 만남부터 대립을 시작하고, 나중에 하게 될 화합을 더욱 극적으로 만들기 위해서 적절한 때에 계속해서 대립의 꺼리들이 제공된다.
어쩌면 사회적인 문제가 될 수 있을 만큼, 인종적인 대립이 계속되고, “여자는 천하다” 혹은 “여자가 도움이 되는가?” 따위의 ‘성 대립’과 함께 ‘문화 대립’과 ‘종교 대립’이 계속된다. 그 과정에서 조금씩 서로를 알아가고 결국, 극적 ‘화합’을 이뤄가면서 그 속에 간간이 주제가가 살포시 깔려있다. 화합의 절정인 ‘반지 교환 장면’(마지막에 왕이 죽어가는 시기)에서는 결혼반지를 주고받는 ‘화합’이상의 매우 강렬한 화합을 느끼게 해준다.
4) 태국의 근대화
‘왕’과 ‘나(안나)’ 사이의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차이는 실로 엄청난 것이다. 사랑이 서로가 조화를 이루어 나가는 것이라면, 두 사람은 너무나도 다른 문화적인 차이 때문에 사랑을 이루기 어려워 보였다.
그러나 너무나도 다른 그런 문화적 차이는 그것이 극복되는 과정에서는 문화적 차이가 크지 않을 경우보다 더욱 큰 희열을 줄 수 있었다.
역시, 영화의 영원한 단골소재는 ‘이루어 질수 없는 사랑’속에서 어떻게든 이루어 보려고 노력하는 것이지만, ‘왕과 나’ 처럼 어렵지만, 그것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어렵지 않은 경우보다 더 큰 희열을 느끼는 것도 괜찮은 소재 아닌가 생각된다.
영화 ‘왕과 나’의 태국은 19세기의 태국이다.
새롭게 집권한 뭉꿋 왕이 태국의 근대화를 위해 파격적으로 안나를 자신의 아이들의 가정교사로 초청을 하게 되고, 철저하게 근대화된 영국의 여성이 왕이 절대권력을 가지고 있는태국에서 생활을 하게되고,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겪는 에피소드 들은 참으로 흥미롭다.
이미 근대화 된 서양의 문명과 아직 과거 속에 살고 있는 태국의 전통이 부딪치는 가운데에 안나와 뭉꿋 왕이 있다.
뭉꿋은 현명한 왕이었고, 안나는 그런 왕을 지지하는 현명한 여자였다. 안나의 가르침을 받은 뭉꿋의 세자는 훗날, 계급제도를 폐지하고 종교의 자유를 준 태국 최고의 왕으로 기억되고 있다.
19세기의 태국은 왕이 절대권력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왕과 동등하게 눈을 마주치고 이야기 한다는 것은 상상도 못할 일이 었다.
심지어 남자들도 왕이 나타나면, 이마를 바닥에 대며 머리를 조아리는데, 여성을 경시하던 그 시대에서 여자가 왕과 눈을 마주치고 이야기 한다는 것은 말 그대로 극악무도한 일인 셈이었을 것이다.
실제로 영화의 첫 부분에 태국의 총리와 안나가 접견하는 장면에서 통역을 하는 사람이 안나에게 ‘나으리’라는 존칭을 붙였다.
이에 안나는 의아하여 그에게 왜 자신을 ‘나으리’라 부르냐고 묻는데, 그의 대답은 여자는 이렇게 똑바로 서서 대답 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인간은 모두 평등하다는 생각을 가진 영국의 여성이 권위적인 뭉꿋 왕과 알현하는 장면 도 태국의 왕에 대한 절대적인 복종이 어떤 것인가를 간접적으로 알 수가 있도록 해주는 장면이다.
호위병들이 목에 칼을 들이대도 꼿꼿이 고개를 쳐들고, 자신의 뜻을 밝히는 안나의 모습은 태국의 궁전 안에서는 어색하기까지 했다.
그러나 훗날, 뭉꿋 왕이 자신과 이야기를 할 때에는 언제나 그렇게 얼굴을 마주보고 해도 된다고 말하면서 당당하게 당신의 의견을 밝히라고 말하는 장면, 그리고 함께 아름다운 춤을 추는 장면은 짧은 영화 시간 안에서도 태국의 왕실이 점차 근대화 되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 준다.
물론 왕이 나타났다고 들고 있었던 유리그릇을 다 깨면서까지 머리를 조아렸던 그들의 모습이 완벽하게 바뀌어 지는 데에는 시간이 걸리겠지만..
처음, 안나는 샴에 도착하여 총리와 인터뷰를 가지게 된다.
총리는 당돌한 안나의 모습에 당황하면서도 여러 가지를 묻게 되는데, \"몇 살인가?\", \"결혼은 했는가?\", \"미망인 이라면, 남편이 언제 죽었는가?\", \"왜 죽었는가?\" 등의 사적인 질문들 이었다.
하지난 서양에서는 사적인 질문은 예의에 어긋나는 것이었기에 안나는 매우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다. 자신은 세자를 가르치러 온 가정교사이며, 그런 질문을 받고, 대답할 의무가 없다고 말한다.
이에 영화 속 태국의 총리는 아주 당연한 듯이 이야기한다.
이 곳 태국에서는 사적인 질문을 묻고, 대답하는 과정이 친숙해지는 하나의 방법이며, 관심의 표시라고... 서양에서 사람을 만나면 반갑다고 포옹을 하고 볼에 키스를 하는 행동과 별반 다를 것이 없다고 말이다.
한편, 뭉
  • 가격4,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6.03.31
  • 저작시기201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91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