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택견의 선택동기
Ⅱ. 택견의 개요
2.1 택견의 어원
2.2 택견의 역사
2.3 택견의 정신
2.4 택견의 특징
2.5 택견의 구성요소
Ⅲ. 나의 택견역사와 소감
3.1 내가 기억하고 있는 택견은
3.2 택견의 현(現)주소 및 나의 소감
Ⅳ. 택견의 기술자료
Ⅱ. 택견의 개요
2.1 택견의 어원
2.2 택견의 역사
2.3 택견의 정신
2.4 택견의 특징
2.5 택견의 구성요소
Ⅲ. 나의 택견역사와 소감
3.1 내가 기억하고 있는 택견은
3.2 택견의 현(現)주소 및 나의 소감
Ⅳ. 택견의 기술자료
본문내용
목 차
Ⅰ. 택견의 선택동기 .................................... 2
Ⅱ. 택견의 개요 .................................... 2
2.1 택견의 어원 .................................... 3
2.2 택견의 역사 .................................... 4
2.3 택견의 정신 ................................... 6
2.4 택견의 특징 .................................... 6
2.5 택견의 구성요소 ..................................... 7
Ⅲ. 나의 택견역사와 소감 .................................... 8
3.1 내가 기억하고 있는 택견은... ................................... 8
3.2 택견의 현(現)주소 및 나의 소감..................................... 9
Ⅳ. 택견의 기술자료 .................................... 10
Ⅴ. 참고문헌 .................................... 12
Ⅰ. 택견의 선택동기
이번 학기에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평소 민속 문화에 대해 큰 관심을 두지 않았던 나로서는 우리
나라에 어떤 고유 무예들이 있는지 알게되었다.
평소 무예에 관심이 많았던 나는 우리 민속 문화가 아닌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민속 문화인 태권도를 조사하기로 마음을 결정하였다. 그리하여 태권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던 중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된 나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태권도가 등장하기 훨씬 전에 우리에겐 택견이라는 우리 민족 고유의 무예가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번 학기의 수업내용에서도 교수님께서도 강의해주신
내용임을 다시금 알게 되었다. 우리의 일상생활중에서 택견을 직접 볼수도 체험하기는 어려운 현실
속에서 수집한 소수의 자료와 내가 대학시절에 체험한 택견을 토대로 우리의 자랑스러운 민속
문화인 택견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Ⅱ. 택견의 개요
택견은 지금으로부터 2천년 전 고구려를 지켜 온 민족무예로서 1987년 7월 작고한 인간문화재 故신한승 선생에 의하여 체계화되고 정립되어 1983년 6월 1일 무술로서는 처음으로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제76호로 지정된 조상의 얼이 담겨 있는 우리민족의 유일한 전통무술이다. 광활한 대륙을 지배했던 고구려인들의 활기찬 기상의 원천이 된 것은 바로 택견과 같은 온후하고 낭만적인 민족 무예가 있었기 때문이다.
택견에 대한 기록이 미흡하기는 하나 <고려사>라든가, <세종실록지리지>, <재물보>, 안곽의 <조선무사영웅전>, <조선상고사>, <동국여지승람>, <해동죽지>등에 택견에 대한 기록이 그나마 있어 택견이 우리 민족을 지켜 온 호국무예로서 장려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1> 故송덕기신한승 선생님
단채 신채호의 조선상고사기록을 보면 고구려 당시 매년 3월이 되면 신수두라는 제천행사가 열리는데 성대한 각종 무예시합이 벌어졌다 한다. 왕이 지켜보는 가운데 용맹한 무사들이 나와 덕건(택견)도 하며, 그 밖에 격검, 사예, 기마 등 각종 무예를 겨루어 그 중 승리하는 자를 선배라 칭하여
무예를 장려했던 것이다.
조선상고사의 기록에 도 있듯, 송도의 택견(수박)이 지나에 들어가 권법이 되고, 일본에 건너가 유술일 되었다는 기록을 보아 우리 민족 무술은 택견은 각종 무술의 기본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우리 민족의 원동력이 되었던 택견은 조선시대에 이르러 숭문천무사상으로 인해 점차적으로 쇠퇴하게 되었으며 더구나 1910년 한일합방과 더불어 일제의 한국 민족문화 말살정책에 못 이겨 택견꾼들은 일경의 눈을 피해 산에서 혹은 들에서 택견을 수련해 왔던 것이다. 그동안 아무도 돌보지 않는 진흙 속에 묻혀버린 택견을 정리하고 체계화하여 중요무형문화재 제76호로 지정받게 된 것은 작고한 인간문화재 故신한승 선생의 피나는 노력으로 인해 사장되었던 택견은 다시 빛을 보게 된 것이다. 어느 무술에서도 느낄 수 없는 택견의 독특한 몸놀림은 능청거리기도 하고 때로는 우쭐거리기도 하며, 혹은 발을 차기도 하고, 혹은 상대의 다리를 걸어서 넘어뜨리기도 하는 택견 기법은
서두르지 않고 여유 있는 자연적인 무예라 할 수 있다.
2.1 택견의 어원(語原)
1921년 {조선어 사전}에 \'택견\'이 나오고, 1933년 이후의 사전에는 주로 \'태껸\'으로 되어 있다. 송덕기 선생은 \'탁견\'이라 하고 \'탁견\'하는 사람을 \'택견꾼\'이라 부르며, 이웃마을끼리 약조를 하거나
아는 사람들 끼리 모여서 편을 갈라 시합을 하는 것을 \'결련 택견\'이라 한다고 하였다.
이외에도 택견에 대한 표기는 여러 가지 있다.
착견 : {오가젼집 박타령}(리선유, 1935)
Ⅰ. 택견의 선택동기 .................................... 2
Ⅱ. 택견의 개요 .................................... 2
2.1 택견의 어원 .................................... 3
2.2 택견의 역사 .................................... 4
2.3 택견의 정신 ................................... 6
2.4 택견의 특징 .................................... 6
2.5 택견의 구성요소 ..................................... 7
Ⅲ. 나의 택견역사와 소감 .................................... 8
3.1 내가 기억하고 있는 택견은... ................................... 8
3.2 택견의 현(現)주소 및 나의 소감..................................... 9
Ⅳ. 택견의 기술자료 .................................... 10
Ⅴ. 참고문헌 .................................... 12
Ⅰ. 택견의 선택동기
이번 학기에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평소 민속 문화에 대해 큰 관심을 두지 않았던 나로서는 우리
나라에 어떤 고유 무예들이 있는지 알게되었다.
평소 무예에 관심이 많았던 나는 우리 민속 문화가 아닌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민속 문화인 태권도를 조사하기로 마음을 결정하였다. 그리하여 태권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던 중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된 나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태권도가 등장하기 훨씬 전에 우리에겐 택견이라는 우리 민족 고유의 무예가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번 학기의 수업내용에서도 교수님께서도 강의해주신
내용임을 다시금 알게 되었다. 우리의 일상생활중에서 택견을 직접 볼수도 체험하기는 어려운 현실
속에서 수집한 소수의 자료와 내가 대학시절에 체험한 택견을 토대로 우리의 자랑스러운 민속
문화인 택견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Ⅱ. 택견의 개요
택견은 지금으로부터 2천년 전 고구려를 지켜 온 민족무예로서 1987년 7월 작고한 인간문화재 故신한승 선생에 의하여 체계화되고 정립되어 1983년 6월 1일 무술로서는 처음으로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제76호로 지정된 조상의 얼이 담겨 있는 우리민족의 유일한 전통무술이다. 광활한 대륙을 지배했던 고구려인들의 활기찬 기상의 원천이 된 것은 바로 택견과 같은 온후하고 낭만적인 민족 무예가 있었기 때문이다.
택견에 대한 기록이 미흡하기는 하나 <고려사>라든가, <세종실록지리지>, <재물보>, 안곽의 <조선무사영웅전>, <조선상고사>, <동국여지승람>, <해동죽지>등에 택견에 대한 기록이 그나마 있어 택견이 우리 민족을 지켜 온 호국무예로서 장려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1> 故송덕기신한승 선생님
단채 신채호의 조선상고사기록을 보면 고구려 당시 매년 3월이 되면 신수두라는 제천행사가 열리는데 성대한 각종 무예시합이 벌어졌다 한다. 왕이 지켜보는 가운데 용맹한 무사들이 나와 덕건(택견)도 하며, 그 밖에 격검, 사예, 기마 등 각종 무예를 겨루어 그 중 승리하는 자를 선배라 칭하여
무예를 장려했던 것이다.
조선상고사의 기록에 도 있듯, 송도의 택견(수박)이 지나에 들어가 권법이 되고, 일본에 건너가 유술일 되었다는 기록을 보아 우리 민족 무술은 택견은 각종 무술의 기본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우리 민족의 원동력이 되었던 택견은 조선시대에 이르러 숭문천무사상으로 인해 점차적으로 쇠퇴하게 되었으며 더구나 1910년 한일합방과 더불어 일제의 한국 민족문화 말살정책에 못 이겨 택견꾼들은 일경의 눈을 피해 산에서 혹은 들에서 택견을 수련해 왔던 것이다. 그동안 아무도 돌보지 않는 진흙 속에 묻혀버린 택견을 정리하고 체계화하여 중요무형문화재 제76호로 지정받게 된 것은 작고한 인간문화재 故신한승 선생의 피나는 노력으로 인해 사장되었던 택견은 다시 빛을 보게 된 것이다. 어느 무술에서도 느낄 수 없는 택견의 독특한 몸놀림은 능청거리기도 하고 때로는 우쭐거리기도 하며, 혹은 발을 차기도 하고, 혹은 상대의 다리를 걸어서 넘어뜨리기도 하는 택견 기법은
서두르지 않고 여유 있는 자연적인 무예라 할 수 있다.
2.1 택견의 어원(語原)
1921년 {조선어 사전}에 \'택견\'이 나오고, 1933년 이후의 사전에는 주로 \'태껸\'으로 되어 있다. 송덕기 선생은 \'탁견\'이라 하고 \'탁견\'하는 사람을 \'택견꾼\'이라 부르며, 이웃마을끼리 약조를 하거나
아는 사람들 끼리 모여서 편을 갈라 시합을 하는 것을 \'결련 택견\'이라 한다고 하였다.
이외에도 택견에 대한 표기는 여러 가지 있다.
착견 : {오가젼집 박타령}(리선유, 1935)
키워드
추천자료
나는 역사의 진리를 보았다를 읽고
그림속의 음식, 음식속의 역사
태권도의 역사에 관한 고찰
한국의 전통무술 ‘택견’에 대한 이해 및 발전방안
택견수련에 있어 품밟기의 속도에 따른 운동강도 분석
[태권도, 태권도역사] 태권도의 역사와 정신 및 특징 - 태권도의 유래와 기원, 본질, 태권도 ...
[태껸][택견][태껸(택견) 기원][태껸(택견) 어원][태껸(택견) 운동강도][태껸(택견) 수련방법...
태권도와 택견의 상호영향
일본 문화의 숨은 形을 읽고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및 느낀점과 나의소감 분석
동학(천도교)의 유래, 효시, 기본교리, 수운과 그의 제자 해월, 유교, 성리학, 동학과 사회문...
글쓰기와 스토리 텔링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느낀점, 독후감, 나의 견해, 나의 소감, 시사...
역사의연구_소개 및 내용요약, 감상문.hwp
역사 학습 자료의 개발과 활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