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rn case study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Burn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A. 문헌고찰
1. 화상의 정의
2. 역 학
3. 원인 및 종류
4. 화상의 범위
5. 화상의 증세
6. 응급 처치
A. 간호력
1. 인구사회학적 정보
2. 입원과 관련된 정보
3. 주호소(Chief complain)
4. 전반적인 신체사정
B. 진단검사
C. 치료관련 자료 및 정보
D. 간호과정 적용
< 간호 진단 >
# 1. 스트레스 및 식욕부진과 관련된 잠재성 영양결핍
# 2. 신체부분 상실과 관련된 자존감 저하
# 3. 상처치유 과정의 가피형성으로 인한 소양감
# 4. 부종, 통증, 피부와 관절의 수축과 관련된 운동장애
# 5. 상피조직 손실과 관련된 저체온증

본문내용


1회 50mg 1일 3-4회 IV or IM
위십이지장궤양, 역류성식도염
과민증
shock, 발열, 기관지경련,
과립구감소증, 혈소판감소증, 등
Hyalein Eye drop




1회 1적씩 1일 5-6회 점안
누액생성 부족시 인공누액
검소양감, 안자극감, 결막염, 충혈, 결막충혈, 미만성 표층각막염, 안검염, 안검피부염 등
Ocuhomapine
1일 1-2적 1회 점안
단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산동 및 조절마비
원발성 녹내장 및 협우각이 예견되는 환자, 중증 근무력증, 빈맥, 갑상선 기능항진증
일시적 작열감, 낭포성결막염, 혈관울혈, 부종, 국소자극
수술 기록지
수술날짜
2012년 3월 26일 오후 1시
수술명
Escharectomy(가피절제술), Artificial dermal graft(인공피부 이식술)
마취종류
General Anethesia
operation descriptions
-position : supine
-donor site :
-escharectomy site : Neck, trunk, both arm, both buttock leg
-commet : 3도 화상부위가 대부분 invasive infection이 진행된 상태임. epi-saline injection 후 tangential excision 시행하였음. excision 부위가 아주 넓었지만 사체피부가 없는 관계로 penlac을 군데군데 대놓았음.
- 수술적 중재
- 특수치료
특수 치료명 : 폐쇄 dressing
이용하는 약물 : sulfamylon / Povidone iodine 연고제 도포
치료방법 : 1일 1회 시행
- 드레싱 전 중환자실에서 Pethidine 진통제 투여 후 치료실로 옮겨져 드레싱 시행한다. 붕대와 거즈를 벗기고, 드레싱 전 화상정도를 매일 체크하기 위해 사진을 찍는다. 필요한 검사가 끝났으면, 연고제 도포 후 거즈와 붕대로 드레싱 한다. 드레싱이 끝난 후 신속히 중환자실로 이송한다.
- Povidone-iodine 연고는 적갈색의 살균력이 강한 약으로 박테리아는 물론 곰팡이, 이스트바이러스, 원충류에 효과적이다. 소독장갑을 끼고 환부에 직접 펴서 바르거나 두꺼운 거즈에 적셔서 환부의 표면에 바르고 거즈표면에 연고를 부가적으로 덧발라준다. 혈액 내 iodine치의 상승으로 인해 대사성 산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환부에 건조한 가피가 형성되고, 화상을 입지 않은 피부에 발진이 나타나기도 한다.
특수 치료명 : pnemothorax로 인한 chest tube insert
경과 과정 : 3/23 흉부사진상 우폐하엽에 기낭으로 의심되는 소견이 있어 3/24 흉관삽관이 된 상태이며 흉관을 통한 공기누출이 많은 상태.
4329 air leak 없는 상태이고 wall suction remove 함. 4/1 chest follow up 결과 후 chest tube remove.
D. 간호과정 적용
화상으로 내릴 수 있는 간호진단
- 화상치료, 불안과 관련된 통증
# 1. 감각-지각 장애와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 욕창과 관련된 예방 및 간호 - 소양감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의 장애
- 화상, 통증, 소독, 부목, 부동과 관련된 자가간호 결핍 - 피부이식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의 장애
- 통증과 관련된 운동장애 - 부종, 통증, 피부와 관절의 수축과 관련된 운동장애
- 피부경계면의 손실, 손상된 면역반응, 도뇨관 삽입등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 화상 후유증과 관련된 섬망
- 화상으로 인한 모세관 투과 증가에 따른 체액부족 - 부종 및 순환량 감소와 관련된 조직관류장애
- 부동자세로 인한 통합성 장애 - 신체부분 상실과 관련된 자존감 저하
- 상처회복에 필요한 신진대사의 증가와 관련된 영양부족 -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 화상상처와 관련된 잠재성 감염 - 변화된 신체상과 관련된 불안
- 불안과 관련된 치료불이행 - 화상으로 인한 영양불균형
- 화상으로 인한 고열 - 입원생활과 관련된 수면장애
- 부동자세로 인한 배변장애 - 상처치유과정의 가피형성으로 인한 소양감
- 화상상처에 의한 동통과 관련된 수면장애
- 화상으로 인한 심리변화
- 화상 치료에 대한 공포감
- 상처와 관련된 통증
- 화상상처로 인한 자긍심 저하
- 상처부위 치료를 위한 신진대사 증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 화상으로 인한 불안장애
- 피부공여부위의 부적절한 건조와 관련된 잠재성 감염
- 스트레스 및 식욕부진과 관련된 잠재성 영양결핍
- 상황적 위기와 관련된 불안
- 화상상처와 관련된 기동성 장애
- 수술과 관련된 변비
< 간호 진단 >
# 1. 스트레스 및 식욕부진과 관련된 잠재성 영양결핍
자료
주관적인 자료
객관적인 자료
“ 아파. 먹기싫어”
“ 생각할거 많으니깐 나중에 먹을게. 배 안고파.”
1. 화상환자로 체중 check 불가능.
2. 영양과 consult 나간결과 protein 부족 및 영양결핍
3. TPN 실시 중
간호 목표
단기목표
2일 이내에 환자는 끼니마다 고단백죽을 2/3이상 먹는다.
장기목표
환자는 퇴원전까지 화상 입기 전 체중의 85~90%이상을 유지한다.
간호 계획

간호
수행
1.식사 양상 및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2. 고칼로리, 고단백 식이를 제공한다.
3. 소량씩 자주 먹도록 권장한다.
4. 치료를 식사 시간을 피해서 한다.
5. 구강 위생을 유지한다.
6. 식사 시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7. 기호 식품을 파악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돕는다.
8. 끼니를 거르지 않고 먹어야 하는 이유를 교육한다.
평가
- 대상자에게 계속해서 끼니를 거르지 않고 먹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며 이브닝실습 중 일때 저녁식사 때마다 가서 죽먹자 말씀드리며 권했더니 첫 날엔 나중에 먹을테니 두고 가라는 말을 하셨는데 그 다음날은 저녁 먹기 전부터 말동무도 해주고 옆에 있으면서 필요한 간호를 제공 하면서 있으니 그 날 저녁 고단백죽은 하나도 남기지 않고 드셨다. 하지만 오늘 아침부터 갑자기 구토 증세가 심해져 현재 아무것도 먹지 못한 채 TPN 실시하고 있는 중이다.
# 2. 신체부분 상실과 관련된 자존감 저하
자료
주관적인 자료
객관적인 자료
“ 내 오른쪽 눈 어떻게
  • 가격2,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6.04.04
  • 저작시기2015.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93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