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한 것이 아니고 수령 교체시 재물조사 관련 부서만을 기재한 것이다. <표1>을 보면, 작청(사방 이하 집무). 형방청(형방 집무). 주사, 관청, 해현청, 지소, 부마원, 조어청,서청(서원 집무), 읍창, 대동청(대동색 집무), 군기청(군기색 집무).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1,100원
- 등록일 2010.05.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재건의 중심지였던 경남노회는 신사참배를 죄로 규정하고 그에 대한 참회와 자복(自服)을 가장 강력하게 요구했다. 경남은 순교자인 주기철 목사의 출생지이자 주남선·한상동 목사 등 출옥성도의 영향력이 컸던 지역이다. 이들은 1945년 9월 1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재건 운동이 일어남. 이곳은 주기철 목사님의 출생ㅇ지이고 최상 림, 손양원, 한상동,등 이들의 영향력 때문에 부산이 중심지가 됨. 부산 진교회에 서 회의를 소집하고 경남 재건 노회를 조직함. 주남선 목사를 노회장으로선출.
2) 감리교
재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남부락을 포함한 지원동이 30명, 교도소 주변 10명, 송암동 일대가 11명이라고 집계하고 사체의 이동이 심해 장소를 정확히 규명하기는 어렵다고 밝히고 있다.
정회장은 또 `5월의 소녀\'로 더 유명한 당시 춘태여상 재학 중에 숨진 박 금희 양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0.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재촉했다. 이에 한상동, 박윤선, 주남선, 손양원 목사 등은 1946년 5월 20일 신학교 설립 기성회를 조직하였고, 박윤선 목사를 강사로 하여 6월 23일부터 8월 23일까지 약 2개월간 “하기 신학강좌”를 개최하였다. 신학교 설립 기성회는 7월 9일 경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10.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