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I. 서론
II. 본문 요약
1. 성령과 신자와의 관계
2. 성령이 우리 안에 계신 증거
3. 성령이 우리를 각성케 하심
4. 성령이 우리에게 능력을 주심
5. 성령 안에서의 복종
6. 성령 충만 과 성령세례
7. 성령세례가 주어지는 때
8. 성령세례
|
|
![]() |
성령세례와 충만에 대한 고찰, 「현대종교」, 1987.
디이슨 헨리, 「신약 성서개론」, 권혁봉譯,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74).
디베리우스, 「바울」, 전경연譯, (서울 ; 기독교서회, 1965).
디한, 엠. 알, 「율법이냐 은혜냐」, 이용화譯, (서울 ; 생
|
|
![]() |
성령의 세례는 개인적으로 단 한번으로 끝나는 성령의 인치시는 사역이다. 따라서 성령 세례는 두 번, 세 번 반복되지 아니하고 오직 한 번으로 족한 것이다. 그러나 성령의 충만과 성령의 능력은 계속 받아야 할 것이다.
한 편, 하나님께서는
|
|
![]() |
능력을 받은 영적인 사람들로서 누가의 교회를 표현한다.
누가에게 있어서, 성령의 능력이 임하는 방법이 어떻든 간에 성령세례의 목적은 증인이 되는 것이다.(1:8) 2:1-12절의 표적들은 하나님 나라의 표적들이다. 베드로의 메시지는 하나님의
|
|
![]() |
성령의 세례를 받는데 그 증거로 방언과 예언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령세례를 받는 조건은 갈급함과 같은 끊임없는 인간의 노력에 달린 것이다. 이것은 하나님의 주권성을 강조하는 개혁교회와 다르다.
공교회는 초기부터 성령
|
|
![]() |
성령세례와 충만에 대한 고찰 「현대종교」, 1987.
류형기 역편. 「성서 주해 제 1권」 서울 : 한국 기독교 문화원, 1977.
박형용. 성령세례, 바르게 해석되고 있는가. 「월간목회」 1990.
박윤선. 「공관복음 성경주석」 서울 : 영음사, 1979.
박윤선.
|
|
![]() |
능력을 부어주시어 치유되고 귀신이 나가는 일이 생기고 일본 선교 지원자가 생김 숙소에서 안수 기도하니 다리 불편한 분 치유, 규장 출판사 대표가 성령세례와 방언 받음
③사역을 넓히시는 성령님: 여 대표가 이성과 지성으로만 믿고 성
|
|
![]() |
성령 세례(기름부음, 인침)를 받아야 한다. 설교자는 설교를 할 때 권능을 입고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교회적인 부분에서 이러한 성령 세례(인침, 기름부음)가 있음으로 부흥과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음을 주장한다. 이러한 의미와 관
|
|
![]() |
성령 충만을 받으라는 명령은 성령의 세례를 받으라는 말씀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서신에 명령이 없다고 해서 우리에게 아무 의무가 없는 것은 아니다면 일축시킨다.
5. 성령세례의 조건
차교수는 조건과 관련하여 어떻게
|
|
![]() |
능력과 은사를 받은 것이라고 이해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명백히 오순절 사건이 성령세례임은 분명하지만 그것의 성격이 중생과 칭의인지 사역의 권능과 은사를 받음인지는 분명치 않다.
그러면 우리는 어찌할 것인가? 성령세례를 중생과
성령, 신약에 나타난 성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