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상의 비교
구 분
이황
이이
시대적 상황
훈신에 의해 사람이 탄압받던 시대
사림이 정국의 주도권을 장악한 시기
사 상
주리론적 이기이원론
주기론적 이기일원론
세계를 바라보는 시각
재야나 야당의 입장
집권자의 입장
중 점
현실 비판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체리용
신통·신측
선지후행
주리(虛=無形=無用)
리주기용
활연관통
참고자료
- 손병욱, 「혜강 최한기의 기학적 심성론」,『인성물성론』, 1994
- 尹絲淳 高翊晉,『한국의 사상』, 1988
- 이현구, 「최한기의 인간관」,『실학의 철학』,1996
-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9.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론은 우주와 인간, 그리고 도덕적 삶의 관계를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그는 '주리'와 '기'라는 두 가지 개념을 통해 사물과 현상의 본질을 설명하며, 이들이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논한다. 주리는 이론적이고 보편적인 진리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5.06.10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람)
※ 교육방법 : 소학을 읽고, 대학, 근사록, 논어, 맹자, 중용 등 오경을 읽고 사기와 성리를 읽음.
※ 철학사상 : 기발이승일도설(이기일원론적 주기론)
※ 저서
학교모범(16조로 된 성인을 위한 교육규범)
성학집요(대학의 본 뜻에 의거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론을 간단히 제시한 것같은 관점에 있다. 하여간 율곡은 기발리승 즉 개인적 선·악의 情 이외에 따로 이발이기수지 즉 보편적인 善情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다. 바라건대, 그 이유가 앞에서와 바로 위에서 필자가 시사한 것처럼 기발이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철학, 예문서원
한국 철학사상사 김문용,이흥용 예문서원
현상윤(2003), 조선 유학사, 현음사 Ⅰ. 개요
Ⅱ. 경세치용학파(중농학파) 실학사상가 반계유형원
1. 실제에서의 인식
2. 기준의 객관적 정립
3. 실학에서의 본말론
Ⅲ. 경세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5.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론의 단서가 되기도 했다.
5. 참고문헌
단행본
김충렬, 『고려 유학사』, 고려대 출판부, 1987
유승국, 『한국의 유교』, 세종대왕 기념 사업회, 1980
신창호·서은숙, 『한국 사상과 교육 윤리』, 서현사, 2003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사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철학 , 1998년 서울대출판부
윤사순 역주, 퇴계선집 , 1993년 현암사
황준연, 『이이 철학 연구』, 전남대학교 출판부, 1989
율곡사상연구원 편, 『율곡학』, 율곡사상연구원, 1988
이성원, 「이황, 이이 이기론의 정치사회적 성격에 관한 연구」
성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9.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론적 원리이다.
3) 이이(栗谷, 1536~1584)
이황과 함께 성리학의 쌍벽을 이룬 사상가로서 그의 철학 사상의 기초가 된 것은 氣發理乘一途說(기발이승일도설)이다.
) 朴在文『韓國 敎育史』2001, 學志社, p.394 참조
기발이승일도설은 成渾(성혼)이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6.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회 과학에 가깝다. 오늘날의 과학 이론에 맞추어 살아 남는 이론은 성선설이 아니라 성악설이다. 성악설은 단지 흘러간 이야기가 아니라 오늘의 인간과 사회를 바라보는 이론이 될 수 있다.
8. 참고자료
중국철학과 인성의 문제, 예문서원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