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고」,『서울대논문집』3.
유창균(1980),『한국 고대한자음의 연구Ⅰ』, 계명대출판부.
유창균(1991),『삼국시대의 한자음』,민음사.
장세경(1990),『고대 차자 복수인명 표기 연구』, 국학자료원
조경하(2002),「고대국어 자음체계」,『국어음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08.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고」,『서울대논문집』3.
유창균(1980),『한국 고대한자음의 연구Ⅰ』, 계명대출판부.
유창균(1991),『삼국시대의 한자음』,민음사.
장세경(1990),『고대 차자 복수인명 표기 연구』, 국학자료원
조경하(2002),「고대국어 자음체계」,『국어음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09.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기하는 등, 中古音을 한국어의 음운체계에 맞게 절충하여 反映시켜 한국한자음의 독특성을 나타내게 하고 있다.
일본한자음은 첫째, 자국의 음운체계사정으로, 중국중고음을 받아들이는데,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음을 볼 수 있다.
聲母의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700원
- 등록일 2008.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 사용된 예도 있으나 한자음 표기를 제외하고는 매우 제약되었다.
※‘ㅇ'의 음가는 零/0/이나 ㅎ/h/의 유성음 /ħ/로 추정. 소실시기는 16세기말로 보고 있다.
③파찰음
ㅈ/ts/
무표계열 저지음
ㅉ/ts'/
喉頭緊張性 유표계열
ㅊ/tsh//
유기성 유표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운상의특질
2. 어휘상의 특질
3. 구문상의 특질
Ⅲ. 국어(한국어, 우리말)의 형성
Ⅳ. 국어(한국어, 우리말)의 도상성
Ⅴ. 국어(한국어, 우리말)의 두음법칙
1.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경우
2. 한자음 ‘랴, 려,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4.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 앞에서 기술한 훈민정음 체계는 당시 국어의 전면적 표기를 위하
여 마련되었다. 따라서, 한국의 고유 요소(要素)와 외래 요소까지를 고려에 넣은 체계였던
것이다. 국어에서의 외래 요소는 주로 한자어였으므로 이 한자음의 표기를 위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자말 표기
북한의 「조선말규범집」제 25항
제25항 한자말은 소리마디마다 해당 한자음대로 적는것을 원칙으로 한다.
례: 국가, 녀자, 뇨소, 당, 락원, 로동, 례외, 천리마, 풍모
그러나 아래와 같은 한자말은 변한 소리대로 적는다.
(옳음) (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5.05.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받고 있다. 제2권은 문맥 어휘색인(KWIC색인)이며 유용하다. 1. 중세국어란 무엇인가?
2. 중세국어 음운
3. 중세 국어의 문자와 말소리
4. 중세 국어의 단어
5. 중세국어 문법
6. 중세 국어를 읽는다
7. 일본에서의 중세국어 연구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자음과 구결을 달고 그 뒤에 언해문을 붙여 간행해 낸 책이다.
〔특 징〕
.방점이 한자나 우리말에 충실하게 찍혀 있음.
.'ㆁ'과 'ㅇ'의 두 글자는 구별되어 쓰임.
.'ㅿ'은 간혹 나타나지만 대부분 'ㅇ'으로 표기하는 경향을 보임.
.종성에 'ㅅ'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5.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이 있는 경우는 그 발음을 기준으로 표기한다.
Cannes: 칸/칸느/깐느
鄧小平: 덩샤오핑/등소평 ※ 중국 인명은 과거인[신해혁명(1911) 이전에 죽은 사람]과 현대인을 구분하여 과거인은 종전의 한자음대로 표기하고 현대인은 원칙적으로 중국어
|
- 페이지 33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07.0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