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인욕(사,리)
-상대적으로 기를중시하나
기준은 리다
-삼강오상:영원하고절대적진리
-사단=칠정에 속한다
(황=사단과 칠정을 구분)
-특유의 리욕관
(황=존천리 거인욕) 목차
1-1. 이기론
1-2. 인식론
1-3. 사회 정치관
1-4. 이황의 인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논어, 맹자, 중용)를 권하였는데, 읽는 순서에도 유념하여 「대학」「논어」「맹자」「중용」순서로 할 것을 강조했다.
2) 「대학」을 먼저 읽어 유교를 개론적으로 파악하고, 「논어」를 읽어 공자사상, 즉 유학의 근원을 이해하며, 「맹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0.03.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보고 다양한 교구를 개발하였다.
한편, 몬테소리의 교육방법은 아동의 창의성과 자유를 제한시켰다는 지적이 있다. 즉, 아동으로 하여금 매우 제한된 용도 내에서만 교구를 사용하는 것으로 인식하게 만들었다. 몬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0.03.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알려져 있다.
Montessori는 아동중심의 교육환경을 강조함으로써 루소나 Gesell 등이 주장한 발달철학을 실제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적용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몬테소리는 아동이 민감기에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아동 스스로 연습할 수 있는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0.03.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거인욕(存天理 去人欲) - 주자는 성인이 되는 방법으로 경(敬)의 태도로써 ‘천리를 보존하고 인욕을 제거할 것’을 강조함. 이는 존양성찰과 통하는 의미
· 주자학의 윤리적 의의
- 개인의 지나친 욕망을 조절하여 중용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거인욕去人欲
명의 양명(심학:심즉이) →격심(格心), 심외무물(心外無物), 좌선강조
-사서 : 논어, 맹자, 대학, 중용
·이학의 주요개념들 : 이(異), 기(氣), 도(道), 성(性)
·천리(天理)와 성리(性理)의 관통(주자(朱子)의 집대성)
·내성외왕(內聖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9.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거인욕(천리를 보존하고 인욕을 제거해야..)
-인욕제거에만 강조해 인간의 자연적 욕구 억압하는 결과.. 1. 신유학 등장의 시대적, 사상적 배경
2. 한유(韓愈)의 도통설(道統說)
3. 신유학의 사상적 원천
4. 주돈이의 태극도설(太極圖說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9.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거인욕)- 천리를 보전하고 사람의 욕심을 제거하는 것을 중요시
함
<명나라 왕명>
- 양명심학: 心卽理- 마음이 곧 천리다. 자신의 마음을 잘 연구하면(격심) 천리를 볼 수 있다.
- 心外無物- 마음 밖에는 아무것도 없다. 마음 안에 모든 천리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거인욕
-천리를 보존하고, 인욕을 제거해야 한다고 했는데, 그 중 인욕을 제거하는 부분에만 너무 중점을 둔 나머지 자연스러운 욕망마저 억누르는 폐단이 나타남.
===>이러한 폐단으로 인해, 서양학문에게 비판을 받으면서 유학은 퇴보를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거인욕去人欲
명의 양명(심학:심즉이) →격심(格心), 심외무물(心外無物), 좌선강조
-사서 : 논어, 맹자, 대학, 중용
·이학의 주요개념들 : 이(異), 기(氣), 도(道), 성(性)
·천리(天理)와 성리(性理)의 관통(주자(朱子)의 집대성)
·내성외왕(內聖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8.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