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二三其德。(≪詩經 · 衛風 · 氓≫)
Shi y wng ji, er sn qi de.
사야망극, 이삼기덕.
“그 남자는 믿을 수가 없도록 행동이 이랬다저랬다 하는구나.”
- 참고문헌 -
≪中國文言文法≫, 楊伯峻 저, 윤화중 역, (청년사, 1989. 05. 05) 제 5장 동사(動詞)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700원
- 등록일 2016.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一. 형용사(形容詞)와 동사(動詞)에서 전성(轉成)된 명사(名詞) 3ㆍ1-3ㆍ2 현대 한어에서 어떤 한 사가 명사, 형용사, 동사 중 어떤 것으로 쓰이고 있는지는 그 사의 뜻(=의미)을 보면 쉽게 판명되지만 문언에서는 형용사나 동사인 것이 명사가
|
- 페이지 35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6.04.0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一。동사의 유별
다소간에 유형의 활동을 동반하는 동사
坐, 立, 生, 死, 飮, 食
생각과 뜻을 나타내는 동사
恐, 懼, 愛, 惡, 聞, 見, 知
존재를 나타내는 동사
有, 無
是, 爲 등과 같은 연계성 동사
옛날에는 보통 쓰여지지 않음
|
- 페이지 4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6.04.1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법(文言文法)』.
주송식, 『고대한어(古代漢語)』.
田壎, 『한문교수첩경(1929)』.
성균관 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편, 『고등학교 문법』, 문교부 저작 고85-3004.
문교부, 『5차 한문과 교육 과정 해설』, 문교부 고시 제88-7호, 1988.
, 5차 교육과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사의 분류
1. 동사의 목적어 선택에 따른 분류
2. 동사의 주어 선택까지 고려한 분류
3. 기타 선택제약에 의한 분류
4. 종합:≪動詞用法詞典≫(1987)
Ⅱ. 중국어 품사 동작동사
Ⅲ. 중국어 품사 간류동사
1. ‘看’류 동사의 선택제한
1)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특성
차 례
Ⅰ. 들어가며
Ⅱ. 본 론
1. 국어사 시대 구분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성
1) 고대 국어
2) 중세 국어
3) 근대 국어
4) 현대 국어
2. 국어사 시대별 언어적 특성에 대한 개인적 견해
Ⅴ. 맺는 말
※ 참고문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대에는 철학이 과학과 동일시되었는가를 역사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것은 그당시에는 세계를 서술하는데 사용된 개념들이 모두 매우 애매하였기 때문이다. 과학에게 임무가 부과된 것은 명료한 개념이 없었기 때문이다. 과학이 서서히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3.0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등
8) 차용어 : 주로 16세기의 번역박통사, 훈몽자회 등에 많이 기록되어 있으며 服飾, 布帛, 器用, 食物 등 집중(중국 근대음) 1. 자료
2. 훈민정음 체계
3. 15세기 정서법의 원리
4. 한자어 표기법
5. 음운
6. 문법
7. 어휘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법이 복잡했다 - 성조가 소멸됐다.
- 순수한 우리말이 많았다. - 문법의 변화가 심했다.
→ 조선 후기어 (17, 8세기 - 근대 국어) ---------→ 현대 국어 (현대 국어 형성기)
- ·음이 없어짐 - 언문일치(言文一致) 실현
- 주격 조사가 세분화됨 - 맞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어로 예를 들면, ‘原他小’(그가 어리므로 용서한다)에서 ‘小’는 ‘原’의 원인이 되는데, 문언에서도 이와 비슷하다. 이런 내용식에서는 겸어 뒤에 오는 술어로는 동사 또는 형용사를 쓸 수 있다.
南村群童欺我老無力, 忍能對面賊。(杜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6.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