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미 ‘-군’은 평서문에 쓰임, 새로 알게 된 사실을 화자 스스로 확인하는 혼잣말에 사용되는 종결어미.
(1) a. 비가 오는 군.
b. 지금쯤 영희가 부산에 도착했겠군.
c. 영희가 우산을 두고 갔군.
(2) a. 이런! 지갑을 안 가지고 왔군.
b. 내 참 별꼴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결어미 '-는데'는 원래 연결어미에서 파생되었고, 연결어미 '는데'는 이기동의 <연결어미 '-는데'의 화용상의 기능>에서 밝혔듯이, 기본적으로 배경설정소에서 파생되었다. 종결어미 '-는데'가 언술화 된 것 이상의 의미를 청자 스스로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7.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 평서문 종결어미의 서법의미에 대하여 -격식체와 비격식체의 비교대조를 중심으로-].
로버트파우저 서울대국어교육과 교수(2010.05), 한국일보. [외국인과 '해요'체].
쁘리마꼬바 따띠아나(2005.06) 경남대대학원. [한국어 격식체와 비격식체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9.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결어미 ‘-것’, ‘-도록’의 기능과 성격, 이종철선생회갑기념논집
백봉자(1988), 기초 단계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무엇부터 다루는 것이 좋은가? 동사류어와 종결어미를 중심으로, 한글 제 201, 202호, 한글학회
이현희(1982), 국어 종결어미의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미ETM
접두사XP
체언접두사XPN
접미사 XS
명사파생접미사XSN
동사파생접미사XSV
형용사파생접미사XSA
어근XR
(7) 기호
마침표,물음표, 느낌표
SF
쉼표, 가운뎃점, 콜론, 빗금
SP
따옴표, 괄호표, 줄표
SS
줄임표
SE
붙임표(물결, 숨김, 빠짐)
SO
외국어
S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0원
- 등록일 2010.03.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의 부정문에 대하여, 긍포 조규설 교수 회갑기념논총
○ 이남순(1988), 국어의 부정격과 격표지 생략, 탑출판사
○ 최학근(1964), 경상도 방언에 사용되는 종결어미, 국어국문학27
○ 황병순(1980), 국어 부정문의 통시적 고찰, 어문학40, 한국어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국어 어미의 기능
1. 선어말어미
2. 문말어미의 기능
Ⅱ. 국어 명사형어미
Ⅲ. 국어 부사형어미
Ⅳ. 국어 의문어미
Ⅴ. 국어 서술어미
Ⅵ. 국어 연결어미
Ⅶ. 국어 어미의 오용 사례
참고문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는 많은 것이 끝에서 이루어진다. 문장의 끝에 오는 종결어미에 따라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등으로 나누어진다. 각 문장에 따라 그 특징이 달라지며, 의미 또한 달라지기 마련이다.
모든 언어는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현상도 있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능력시험.
한국어 고급 문법 항목 연구 : 한국어능력시험 고급 문항과 한국어 교재 고급 문법을 중심으로 학위논문(석사) -양산-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 종결어미의 의미 체계 연구 학위논문(박사) -이종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1. 서론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9.0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결어미 '-녀, -뇨(현재), -려, -료(미래)'가 의문형을 나타냄
-공덕이 하녀 몬 하녀(많냐 많지 않느냐)
.중세국어에서 종결어미 '-ㄴ다, -ㄹ다'가 의문법을 나타냄. 2인칭 대명사와 호응
-네 엇뎨 안다
.간접적인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어미 : '-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5.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