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 빈 칸에 들어갈 한자의 모양, 음, 뜻을 쓰시오. (이수, 성덕여)
모양
木
㉠
水
음
㉡
석
수
뜻
나무
돌
㉢
2. 밑줄 친 한자어의 독음을 쓰시오. (문광여, 한양)
그 사람은 木石같이 무뚝뚝하다.
3.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원촌, 홍대사대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낮-晝夜(주야)
┗ 畵(화)그림-畵家(화가)
┏ 眠(면)잠자다-安眠(안면)
┗ 眼(안)눈-眼目(안목)
┏ 科(과)조목-百科(백과)
┗ 料(료)재료-材料(재료)
10
뜻이 대립되는 한자.
易(이)쉽다 ⇔ 難(난)어렵다
今(금)이제 ⇔ 昔(석)옛날
送(송)보내다 ⇔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객관식 기출문제
2. 해답과 풀이
3. 주관식 기출문제
4. 해답과 풀이
|
- 페이지 61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6.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독음이 맞는 것은?
① 渴求 : 청구
② 熱誠 : 열정
③ 執念 : 집념
④ 立志 : 입사
⑤ 抱負 : 승부
13. 한자어의 짜임이 같은 것끼리 묶인 것은?
① 希望 - 堅固
② 有益 - 千里
③ 自我 - 知己
④ 初志 - 意志
⑤ 立身 - 靑雲
14. 다음에서 설명하는 뜻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 중 두음 법칙이 적용되는 한자는 ? (서라벌, 선덕)
① 尾② 死
③ 律④ 如
⑤ 和
33. 다음 중 ‘觀’과 같은 뜻으로 쓰이는 한자는 ? (대청, 연희여)
① 看② 通
③ 過④ 得
⑤ 誤
34. 다음 중 한자어의 독음이 바른 것은 ? (동덕여, 충암)
① 樹立(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6.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