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피랑 마을을 여행했을 때 어떤 카페에서 보았던 아이디어를 착안해온 것이다. 그 카페에서는 펜과 수첩을 하나 걸어놨는데, 거기 온 사람들이 모두 방명록을 남기듯이 글을 써놓은 것이다. 주로 정보를 공유하는데 자신이 가보았던 이 동네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8.03.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피랑의 경우는 통영에서 경치가 아름다운 동피랑이 재개발 되는 것을 우려하여 민간주도로 추진한 동피랑 벽화마을은 지역주민들의 협업이 가장 잘 진행되고 있는 마을이다. 통영 동피랑 마을은 푸른통영21과 마을주민들이 협력하여 지역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7.09.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피랑 벽화마을에서 시작된 작은 기적, 남해의봄날, 2015
김상철, 권단, 김신범, 김정찬, 박영길, 하승우, 한채윤 저, 모두를 위한 마을은 없다 - 마을 만들기 사업에 던지는 질문, 삶창(삶이보이는창), 2014
정진, 농부의 삶이 그립다, 기탄교육, 2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6.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피랑 벽화마을에서 시작된 작은 기적. 윤미숙 (지은이). 남해의봄날. 2015
이혜인. 학교숲이 초등학생의 환경인식 및 친환경적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2008
김귀곤 외. 자연환경 생태복원학 원론. 아카데미서적. 2004
배상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6.09.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피랑 벽화마을에서 시작된 작은 기적. 남해의봄날.
김상철(2014). 모두를 위한 마을은 없다 - 마을 만들기 사업에 던지는 질문. 삶창.
임동근(2015). 메트로폴리스 서울의 탄생 - 서울의 삶을 만들어낸 권력, 자본, 제도, 그리고 욕망들. 반비.
박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6.09.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