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규정을 떠난 해석이며, 논리의 비약임을 위에서 언급하고 있다.
또한 다수의견이 채용하고 있는 제103조와 제746조를 같게 취급하고, 제746조의 입법목적이 단지 채권상의 부당이득반환에 관한 청구권의 행사를 금하는 규정이 아닌, 민법 전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2.04.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법 제103조 소정의 반사회질서의 법률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대판 99다38613).
8. (예외적으로)강행규정 위반행위가 사회질서에 반한다고 본 사례
1)금융기관이 증권회사에 대해 원래는 구 증권거래법 제69조의3 제1항에 따른 투자자보호기금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법학강의 민법총칙편 (신조사 2006)
곽윤직, 민법총칙 (박영사 2004)
김종원, 핵심정리민법 (고시연구사 2004)
권순한, 요해민법 I (도서출판 학우 2004)
강양원, 뉴에이스 민법 (네오시스 2004)
임영호, 민법의 정리 (유스티니아누스 2003)
저명교수엄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7.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규정을 회피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건설업양도계약도 관련규정의 적용을 잠탈하기 위한 탈법행위로서 무효이다(대판 88.11.22. 88다카7306). 1. 들어가며
2. 강행법규와 임의법규의 구별
3. 민법상의 강행규정
4. 효력규정에 위반한 행위는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4.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법은 법인의 권리능력(제34조)과 불법행위능력(제35조)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다. 법인의 능력에 관한 규정은 강행규정이며, 모든 법인에 관해 원칙적으로 적용된다. 그럼 법인의 능력 중 불법행위능력이란 무엇인가? 법인의 불법행위능력을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9.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규정에 없으면 주무관청의 허가를 얻어 비슷한 목적으로 처분이 가능하다.
출연재산의 귀속시기
I. 의의
민법 제 48조 제1항은 생전처분으로 재단법인을 설립한 경우에는 출연재산은 법인이 성립한 때에, 제2항은 유언에 의하여 설립하는 경우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2.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법 제117조)
(5)유언행위(민법 제1061조)
(6)특별법상의 행위
4. 동의와 허락의 취소 또는 제한
(1)동의(제5조)와 허락(제6조)의 취소
(2)영업허락(제8조)의 취소와 제한
III. 법정대리인의 지위와 권한
1. 법정대리인이 되는 자
2. 법정대리인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법강의 초판, 박영사, 2009, 942면)
에 대한 공시방법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통설이 이와 관련한 민법규정을 강행법규로 파악하고 있는 점 민법 제450조 제1항은 임의규정이고 민법 제450조 제2항만이 강행규정에 해당합니다.(송덕수, 신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0.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해 모두 소멸하나 유치권은 경매가 있더라도 효력을 잃지 않음
3) 용익권에 대한 효력 : 저당권의 설정등기 시를 기준으로 저당관
1. 개요
2. 한국 민법상의 저당권
3. 저당권의 성격
4. 저당권의 효력
근저당
1. 성격 및 내용 정리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1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법 제1조에서는 법률, 관습, 조리의 세 가지가 있음을 규정
- 관습법의 성립 시기는 그 관습이 법적 확신을 획득한 대로 소급
- 민사분쟁에 대한 민법 제1조의 적용순서: 강행규정 → 임의규정 → 관습법
- 법률행위의 종류: 계약, 단독행위,
|
- 페이지 42페이지
- 가격 11,000원
- 등록일 2024.12.16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