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중매매의 의의
2. 부동산 이중매매가 유효인 경우
(1) 이행불능에 따른 계약해제(약정해제 및 법정해제) 및 원상회복청구
가. 약정해제권 및 법정해제권의 발생
나. 해제의 효과
(2) 이행불능에 따른 전보배상청구 및 대상청구권의 문제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0.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중매매와 제1매수인의 보호”, 고시연구, 1988
김광태, “부동산 이중매매의 법률관계”, 제15기 사법연수생 논문집, 1985
김상묵, “부동산의 이중양도에 관한 고찰”, 중앙법학 제4호, 2001
김상찬·이충은, “부동산 이중매매에 관한 연구”,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0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극적으로 권유한 경우에는 사회질서에 반하는 경우로서 허용되지 않는다고 한다. 즉 이중매매가 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요건으로 제2매수인이 매도인과 제1매수인 사이에 제1매도계약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고 이중으로 매도계약을 체결하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 있는지 여부도 아울러 검토해야한다.
2. 매도인과 제2매수인 간의 매매계약의 효력에 관한 판단기준
(1) 적극가담이론
1) 사적인 법률관계의 영역에서는 계약자유의 원칙이 지배하므로, 이중으로 행하여진 매매계약이라 하더라도 법률행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0.03.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권의 행사가 문제이나 판례는 이것도 부정한다(대판 1999.4.27. 98다56690). 그 이유는 채권자취소권이 인정되기 위해서는 피보전채권이 사해행위보다 먼저 성립할 것이 원칙적으로 요구되는데 이중매매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은 사해행위(이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