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엌, 內房(큰방), 안청(마루), 越房(작은방)의 순서로 구성되어서 일반형과 동일한 형태로 나타나지만, 마루의 구조가 중앙부엌형과 같이 외부에 대하여 폐쇄되어 있는 점에서 일반형과 구분된다.
남해를 위시한 남동해안형 주택의 분포지역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4.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엌에 가스렌지, 보일러, 싱크대, 목욕용품, 각종 주방용품
들이 있으며 따로 세면실이 없어 부엌에서 목욕을 함
4. 우선순위 설정(각 항목 1~3점)
문제의
심각성
가족의
관심도
도미노
현상
결과확인
가능성
쉽게 수행할
수 있는 것
가족 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0.07.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엌 앞마당이 세수간이 되고 주인은 사랑채 앞 기단에 세숫대야를 놓고 세수한다. 한편 안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부엌이나 광에서, 또 방에서도 큰 그릇에 더운물을 담아 목욕하거나 부엌 뒷마당에 굴뚝을 의지하여 헛간처럼 벽을 둘러치고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4.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엌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장식장과 부엌의 작업대 및 수납장을 제거 또는 변경(교체)하는 사례가 매우 빈번하므로 거실 장식장, 부엌 작업대 및 수납장은 거주자가 임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수납시설을 설치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10.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엌 . 방 . 대청 .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전술한 평안도지방형처럼 일자형이나 기후 적 요인으로 대청이 첨가된 것이 특징이다. 남부지방형 초가는 一자형의 평면 형태가 압도적으로 많이 나타난다 간잡이는 3칸 또는 4칸 전퇴집으로 지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9.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전술한 평안도지방형처럼 일자형이나 기후 적 요인으로 대청이 첨가된 것이 특징이다.
남부지방형 초가는 一자형의 평면 형태가 압도적으로 많이 나타난다 간잡이는 3칸 또는 4칸 전퇴집으로 지어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엌에 모시는 신령으로 조왕, 조왕각시 또는 조왕할매라고 부른다. 는 아궁이, 부뚜막, 부엌, 부엌귀신을 의미한다. 조자 자체는 부엌에 모시는 신령을 말하는 것으로 왕, 군, 신 등을 붙인다.
- 조왕은 집안의 화평과 질서를 위하여 부엌에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7.1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엌의 화덕이 왼쪽 방까지 연결되었고, 공간이 더 필요하니까 부엌의 오른쪽에 임시 방을 만들고 바닥을 흙인 채로 남겨놓아 일이 편리하도록 하였다. 이것이 좀더 발전한 형태가 바로 3칸의 토담집이다. 조선 시대에 백성은 초가집에서 살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0.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엌, 욕실 등의 배수와 빗물 등을 공공 하수관으로 흘러 나가게 한다.
트랩 : 하수관의 악취, 벌레 등이 집 안으로 침입할 수 없도록 한다.
5. 주택의 조명 방식
직접 조명 :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90 ∼ 100%의 광속을 아래로 비치게 하는 방식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엌
- 부엌 구성의 배열 방법으로는 직선형의 배열이 이루어지고 있다. 부엌의 바닥은 예전에 신발을 신고 다니는 곳에 장판을 깔아 실내화를 신고 다니는 곳으로 바꾸었다고 하셨다.
▶ 부엌의 선반은 어르신이 사용하기에 편하신 높이로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9.0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