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파와 율곡학파로 규정 지으려는 다카하시의 주장은 재고되어야 한다. 조선의 리기철학은 리를 목표로 하고 기를 제어해야 한다고 하는 주장에 조금도 의심치 않았던 철학이다. 리 중심의 철학이 조선에서 장구하게 지속될 수 있었던 이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6.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학파는 남인으로 율곡학파는 서인으로 다시 노론과 소론으로 분열되었다. 율곡학파에는 우암학파 농암학파 화서학파 등의 세분이 가능하다.
조선조 후기에야 실학파가 등장함으로써 제도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지만 기철학의 등장과는 아직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학파가 겸재의 진경산수를 율곡(栗谷) 이이(李珥·1536∼1584)에서 완성된 조선성리학의 적통을 이어받은 우암(尤庵) 송시열을 영수로 한 노론(老論)의 정치적 이념이 구현된 산물로 바라보고 있기 때문에 ‘조선중화주의의 덫’에 빠져 있다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1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율곡의 이통기국설에 대한 대립
내용 : 18c 율곡학파에서 본격적 주장 → 송시열 직계 제자들의 논쟁, 조선말까지 지속
인물성동론과 이론에 대한 청에 대한 시각차(인 : 理, 물 : 氣)
호론(충청도 노론계) : 인물성이론, 정통주기설(북벌론적),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12,600원
- 등록일 2012.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학파(또는 남명의 사상까지 포괄하는 영남학파)와 율곡학파(또는 기호학파), 육경중심주의와 사서중심주의 간의 대립이었다. 이외에도 서학과 실학에 대한 입장차이도 있었고, 호락논쟁에 대해서도 양 정파는 이해를 서로 달리하였다.
따라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4.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학파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남인(南人)이라는 정파를 이루어 율곡학파(栗谷學派)의 서인(西人)과 상호견제하면서 붕당정국(朋黨政局)을 이끌어 나갔으나 1694년 갑술환국(甲戌換局) 이후 정계의 주도권을 상실하고 영남(嶺南)으로 밀려난 영남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학파, 율곡학파나 주리파, 주기파 또는 영남학파, 기호학파라는 학파의 형성을 가져온 사실 자체가 조선의 성리학이 이황의 사상을 계기로 본격적인 한국화의 길로 접어들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그의 사상으로 인하여 한국 성리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율곡학파의 인심도심 논변 -이세필, 송시열, 윤증의 \"기용사(氣用事)\" 논변을 중심으로- = 17世紀谷學派的人心道心論辯 -以李世弼、宋時烈、尹拯的 \"氣用事\"論辯爲中心
이선열,(東洋哲學硏究, Vol.57 No.-,[2009])[KCI등재]
새로운 세상을 꿈꾼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0.0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율곡학파계통의 유학자들은 이 문제를 어떻게든 나름대로 해결하지 못하면 안 되었고 각자 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입장을 다시 정리하게 된다.
Ⅸ. 결론 및 제언
성리학이 우리 나라에 들어온 시기를 잘라 말하기는 어렵다. 대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율곡 그 삶의 모습 (황준연, 서울대학교 출판부)
* 율곡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한국 정신 문화 연구원)
* 율곡 사상의 체계적 이해 (황의동, 서광사)
* 퇴계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한국 정신 문화 연구원)
* 남명 학파와 퇴계 학파의 사상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