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책 소개
『자유에로 초대하는 진리』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으로 네덜란드 자유대학교에서 공부하여 네덜란드 깜펀신학교에서 조직신학을 가르치고, 고국 남아프리카공화국 스텔렌보쉬대학교에서 조직신학을 가르친 Willem D. Jonker교
|
|
![]() |
조직신학(下)』,(서울:장로교출판사,1993).
D.M 로이드 존슨, 『성령론』,홍정식역,(서울:새순출판사,1986).
J.I 패커,『성령을 아는 지식』,서문강역,(서울:새순출판사,1986).
목 차
I.연구 동기와 목적 ----------------------------------------- P.1
II.사마리아
|
|
![]() |
신학교육 이념을 수립하는 문제에 있어서 적극적이었다. 그는 1917년부터는 평양 장로회 신학교교수로 부임하여 어학과 함께 조직신학 분야를 담당하여 가르쳐 한국교회 지도자 양성에 있어서 자신의 지도 이념을 구체화 충분한 기회를 가졌
|
|
![]() |
궁금점들을 해소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마찬가지로 기독교강요를 요약한듯한 칼빈의 신학체계를 다시한번 살펴봄으로서우리가 알고 있는 교리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돕기때문에 조직신학(교리)과 관련된 책이라고도 말하고 싶다.
|
|
![]() |
신학』 박영희 역, 서울 : 개혁주의신행협회, 1999.
Vos Geerhardus, 『바울의 종말론』, 이승구 역, 서울 : 도서출판 엠마오, 1989.
조갑진,『창조의 보존과 회복-바울의 종말론』, 인천 : 도서출판 바울, 2005.
황승룡, 『조직신학(하)』, 서울 : 한국장
|
|
![]() |
신학대학교 출판부, 2000.
이종성, 성령론, 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 1984.
현요한, 성령, 그 다양한 얼굴, 서울: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1998.
다니엘 L.밀리오리, 장경철 역, 기독교 조직신학 개론, 서울:한국장로교출판사, 1995.
레온 모리스, 황
성령, 신약에 나타난 성령,
|
|
![]() |
조직신학자요,종교철학자인 카알 하인쯔 라쵸(Carl Heinz Ratschow)는 그의 강연 현대 속에서의 종교에 관해서에서 세속적 종교 형태를 4가지 현상 그룹으로 분류하면서 시도하고 있다.
첫째 그룹은 “유사종교들”이다.틸리히는 현대의 세속적 그
|
|
![]() |
조직신학논총 제 23집 41-66 이오갑” 이라는 논문을 신중심주의에 대한 논문을 검색하다가 보게 되었다, 사실 이것은 조금 더 읽는 층이 누구일 것인가가 책이 아님에도 더 정확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평신도를 대상으로 조금더 재미가 있도록
|
|
![]() |
신학만을 성급하게 구축하려는 구약신학자나 조직신학자의 방법을 지양한다.
넷째, 문학비평학자들은 본문 자체의 연구와 아울러 독자에 대한 연구도 본문의 의미를 산출하고, 그것을 현대화시키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됨을 강조한다.
3. 문학
|
|
![]() |
신학연구소,1982.
성령론 관련 도서
오웬,J. 이근수 역. 개혁주의 성령론. 서울:여수룬,1993.
카이퍼,A. 김해연 역. 성령론. 서울:세종문화사,1992.
김명용. 현대의 도전과 오늘의 조직신학. 서울: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1998.
벨커,M. 하나님의 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