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이트>
네이버 용어사전. <http://terms.naver.com/item.nhn?dirId=7&docId=3460> I. 서론
사단칠정(四端七情)의 이해
II. 본론
1. 사단칠정(四端七情)논쟁
1) 퇴계 이황의 견해
2) 기대승의 견해
3) 율곡 이이의 견해
III. 결론
참고 문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0.07.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퇴계나 성호에게 있어서 이른바 <知行>의 원칙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르는 것이다.
-426-
우리는 퇴계의 知行에 관해서 일반적으로 < 進論> 또는 <互進論>을 주장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그러면서도 성리학적 기준이라 할 수 있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퇴계와 율곡 양자는 다같이 주자학적 관점을 채택하고 있었는데, 그들 이론의 상이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살았던 역사적인 상황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합니다. 그 당시의 역사적 상황이 무시되면 율곡을 숭앙하는 북한이 현대적 노론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리학적 접근의 두 사상가
퇴계와 율곡의 공통점
; 건강한 윤리, 도덕적 측면을 지닌 성인의 인격적 특질을 다룸
성숙 인격 이론으로 재해석하여
① 성인과 같은 인격은 노력으로 수양을 거듭하여 천리를 깨치고 습득하며 본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2.2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교육사상 비교표
구 분
이황(퇴계)
이이(율곡)
교육사상
理氣二元論(主理論)
敬과 立志
二元論的 一元論 : 理乘氣發說(主氣論)
立志와 誠
교육목적
성리학적 도덕인 양성
立志, 明知, 力行의 이념으로 聖人
교육내용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교육사상 비교표
구 분
이황(퇴계)
이이(율곡)
교육사상
理氣二元論(主理論)
敬과 立志
二元論的 一元論 : 理乘氣發說(主氣論)
立志와 誠
교육목적
성리학적 도덕인 양성
立志, 明知, 力行의 이념으로 聖人
교육내용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9.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리학의 근본이념을 일상생활에 구체적으로 적용했으며, 사람이 이 세상에 나서 학문에 의존하지 않고서는 올바른 사람이 될 수 없다는 것으로 교육의 필요성, 교육이 있어야하는 이유, 학문을 배움에 있어 기본적인 교양지식을 알 수 있다.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8.0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原型
2. 儒學의 토착화와 傳統思想으로의 보편화
3. 고려말 선초의 사상적 전환과 '儒學의 나라' 건국
4. 퇴계․율곡의 출현과 朝鮮 性理學의 융성
5. 朝鮮 後期 근대로의 지향과 實學의 대두
6. 韓末 儒林 運動과 心山의 志操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리학을 심화 시킨퇴계(退溪)와 율곡(栗谷)의 학풍이 조선사회에 크게 영향을 미치면서 주자의 구곡경영과 정사건립은 주자의 경영철학과 이상을 배우는 과정으로 널리 유행되어 졌다. 따라서 복잡한 현실로부터 벗어나 산수 간에 집을 짓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1.09.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자학 전체를 포괄하는 논리적 구조에 좀 더 근접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사단과 칠정을 주자학의 심성론 체계 속에서 이해했기 때문에 사단이 칠정 속에 포함되어 있다고 보고 독립적인 의미를 갖지 않는 것으로 본 것이다. 퇴계는 이발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