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함수를 알아내면 광전판이 어떤 금속인지도 알아낼 수 있다. 빛의 색과 파장과 진동수의 관계도 알아두면 좋을 것이다.
실험데이터를 얻는 과정에서 주의할 사항은 먼저 다루는 장비가 민감한 광학장비이므로 광전판과 렌즈표면의 청결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6.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플랑크상수를 결정할 수 있었다.
그런데 파장은 필터에 의해서 쉽게 얻을 수 가 있었고 우리는 전압값을 구하여 플랑크 상수를 쉽게 구할 수가 있었다.
플랑크상수를 계산하여본 결과 예측대로 파장에 따라 저지 전압은 다르지만 기울기인 Pla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6.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플랑크상수 가 된다. 그리고 일함수는 의 식에 의해 문턱진동수 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값이다. 하지만 측정해낸 플랑크상수가 실제값과 72%정도의 차이가 나서 문턱진동수 또한 실제값과 많이 차이가 나서 빛이 쪼여진 금속이 어떤것이 었는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9.11.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함수에 근전한 결과가 나왔을것이다. 상승폭이 높다는것은 기울기(즉, 플랑크상수)가 지금 그래프 보다 더 높아야 실제 일함수값과 근접하게 결과가 나올것이다.
실제 플랑크상수값과 측정한 값을 비교해 보면 우리가 측정한 값은 2/3 정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플랑크 상수 h는 의 값을 갖는다.같은 진동수를 갖는 모든 광자는 같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진동수가 인 빛을 금속 표면에 쪼여주면 전자는 의 에너지를 얻는데 이 에너지가 일함수 보다 크다면 광전자는 즉시 방출되며, 이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