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 백부 숙부 내외, 시삼촌, 시고모 순으로 절을 하고 시누이와 시동생과는 맞절을 한다.
(5) 시조부모가 있다 하더라도 시부모에게 먼저 절을 하고 나서 그 다음에 시조부모에게 절하는 것이 원칙이다. 1. 의혼
2. 납채
3. 납폐
4. 친영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혼례의 유래 및 변천 ·····················3
3. 전통혼례의 절차 및 의미······················3
1) 의혼 ······························3
2) 납채 ······························3
3)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2.10.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마련해야 합니다. 셋째로는 가정이라는 하나의 공동 생활을 하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혼인절차
1. [의혼]-의의
2. [납채]-의의
3. [친영]-의의
혼례음식
1. [초례상]-의미
2. [폐백음식]-의미
3. [이바지음식]-의미
[참고문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02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혼례 의상
신랑은 친영을 위하여 사모관대로 장속한다. 사모관대라 사모를 쓰고 단령포를 입은 다음 각대를 띠고 목화를 신은 옷차림을 말한다.
사모관대는 조선조 벼슬아치의 관복 중 상복에 속하는 것으로서 초기에는 당선관에 한했으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혼례란?
2. 혼인이란?
- 혼인의 의의
3. 혼인의 적령
4. 혼인의 정신
(1) 삼서정신(三誓精神)
(2) 평등정신(平等精神)
5. 전통혼례의 유래와 변천
6. 혼례의 절차
<1> 의혼
<2> 납채(納采=사성(四星))
<3> 납폐(納幣: 함보내기)
<4> 혼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0.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