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산 이은상은 그를 가리켜 '맹인의 세종대왕'이라고 칭송했다. 1 역사적 개관
2 홀 여사와 맹교육
3 일제 시대의 맹교육
4 해방 이후의 맹교육
5 통합교육의 시도
6 저시력 아동의 교육
7 박두성과 훈맹정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3.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명칭을 훈맹정음이라 하기로 하였다.
1926년 11월 4일 원효로 1가 87번지 원정당에서 코엔 선교사, 원한경 박사 부부 및 동인 32명이 참석한 가운데 훈맹정음 반포식을 갖게 되었다. Ⅰ. 홀여사와 조선훈맹점자
Ⅱ. 3-2점자
Ⅲ. 훈맹정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5.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1938년 원산 맹학교
함흥 맹학교
경남 맹학교 설립 (1) 역사적 개관
(2) 홀여사와 맹교육
(3) 일제시대의 맹교육
(4) 해방이후의 맹교육
(5) 통합교육의 시도
(6) 저시력 아동의 교육
(7) 박두성과 훈맹정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0.14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양학 교육
② 1878~1884년 사이로 추정되는 기간에 선교사이며 의사인 홀여사가 평양에 여맹학교에서 최초로 특수교육을 시작
③ 1913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최초 공립맹아교육기관의 설립
④ 1923년: 박두성에 이해 훈맹정음이 반포
⑤ 1935년:
|
- 페이지 97페이지
- 가격 10,800원
- 등록일 2019.11.06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양학 교육
② 1878~1884년 사이로 추정되는 기간에 선교사이며 의사인 홀여사가 평양에 여맹학교에서 최초로 특수교육을 시작
③ 1913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최초 공립맹아교육기관의 설립
④ 1923년: 박두성에 이해 훈맹정음이 반포
⑤ 1935년:
|
- 페이지 97페이지
- 가격 10,800원
- 등록일 2019.12.13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