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루
7. 포(包)
8. 활주
5. 건축의 용어설명
1. 간살이
2. 귀마루
3. 누마루
4. 치미
5. 망새
6. 방풍판
7. 솟을대문
8. 추녀
9. 출목
6 - [1] 사찰건축
1. 사원의 어원
2. 사원의 성립
3. 우리나라의 사원이 주로 산지가람형인 까닭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누마루가 놓여있다. 더 높은 곳에서 경관을 감상하라는 배려이다. 지금은 아쉽게도 기국정과 새로 지은 집들에 가려 제 맛을 느낄 수 없게 되었다. 설상가상으로 건물 앞 좌우측의 돌담과 솟을삼문이 어색하고 답답해 보이는데 우암 사후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9.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누각이며 땅에서 다섯 계단을 오르면 방형의 대가 형성되고 다시 다섯 계단을 오르면 누마루가 된다. 평면은 아자형이며 전면이 凸형으로 튀어나와 사방을 바라볼 수 있다. 아래층에는 전돌을 쌓은 홍예문이 있으며, 전쟁에 대비하여 전면에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3.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누마루 형과 마당 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누마루 형은 객실에 들어서면 안락한 거실이 고객을 맞이하며, 거실 좌측으로는 각 객실별로 독립 온천 탕이 마련되어 있어 운치 있게 온천욕을 즐길 수 있다.
누마루 형 객실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누마루
누마루는 대개 사랑방에 이어서 건축되며 마루 주변을 따라 난간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고주(高柱)로 높여져 있으며 연등천정 또는 부분적으로 우물천정을 한 전망 좋은 공간인 누마루는 특히 여름철에는 청한(淸閑)한 한 때를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누마루
주로 사랑채에 설치되었던 누마루는 기단 없이 기둥위에 설치된 형태로 원두막처럼 마루바닥 밑으로 바람이 통하도록 사방이 트인 노출공간이다. 누마루는 대청처럼 여름에는 문을 걸어 올려 주변의 자연의 운치를 즐기는 공간으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5.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누마루 형식을 지닌 운치 있는 풍모이다. 앞 툇마루는 상당한 넓이를 확보하고 있어, 여름철에 허물없는 손은 여기서 접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곳의 가장 중심부인 대청의 서북쪽으로 난간을 부착한 툇마루가 앞 툇마루를 연결지어 돌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누각에 최초의 현관이 되었는데, 이전까지는 누각의 높이에 따라 오르내리는 사다리만 설치하였을 뿐이었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인 1910년부터 18년 동안 일본인들이 문화말살 정책에 따라 누각 마루 위는 재판소로, 누각 마루 밑은 감옥으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5.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누마루
흔히 대청마루와 연결되어 있어 유학자들의 예(禮)를 논하는 장소
침방
사랑채에 배치하여 침실 기능을 하는 장소이다.
서고
서책의 보관 또는 독서를 위한 방이다.
안채, 안방
가장 폐쇄된 공간. 안주인이 거처. 남편과 직계비속 외는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4.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누마루
흔히 대청마루와 연결되어 있어 유학자들의 예(禮)를 논하는 장소
침방
사랑채에 배치하여 침실 기능을 하는 장소이다.
서고
서책의 보관 또는 독서를 위한 방이다.
안채, 안방
가장 폐쇄된 공간. 안주인이 거처. 남편과 직계비속 외는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