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개요
Ⅱ. 이론적 고찰
1. 식생활의 의의
2. 식생활의 변천
3. 현대인의 식습관의 문제점
4. 현대인의 식습관 기호도에 따른 올바른 식생활 문화
Ⅲ. 요약 및 고찰
참고문헌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개요
Ⅱ. 이론적 고찰
1. 식생활의 의의
2. 식생활의 변천
3. 현대인의 식습관의 문제점
4. 현대인의 식습관 기호도에 따른 올바른 식생활 문화
Ⅲ. 요약 및 고찰
참고문헌
본문내용
장 잘 나타나며 강한 보수적 경향을 갖고 있는 것이 식생활이기 때문에 단기간에 큰 변화를 이루는 것은 매우 어려울 것이다.
그 동안의 낭비적인 식문화가 개선되기 위해서는 우선 우리 식문화의 진정한 의미를 알고 잘못된 부분을 고치도록 해야 할 것이다.
3.1 남기는 식문화
대가족 제도 아래에서의 농경사회였던 예전의 우리 사회에서는 부녀자들의 덕목으로 음식을 항상 넉넉히 장만하여야 잘 산다고 했습니다.
예전에는 상물림이라는 것이 있어서 집안의 웃어른이 식사를 한 뒤에 아녀자들이나 아랫사람들이 이 상을 물려서 남은 음식에 밥과 국만을 추가로 가지고 와서 식사를 했습니다.
웃사람은 음식을 남겨서 다음 사람이 먹을 수 있게 배려를 하였으며 음식을 남김없이 먹어버리는 것은 아랫사람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것으로 여겼습니다. 또한 남는다 해도 여물통에 모아 가축을 기르는 생활양식이 일반화되어 있어 많은 식구와 주위 사람들에게 고루 식사를 하게 하려면 음식 장만을 담당하는 안주인의 손이 커야 잘 산다는 인습이 생기게 된 것입니다.
3.2 과다한 상차림
손님을 대접할 때 상위에 놓이는 음식의 가짓수로 손님 대접의 정도를 나타내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고려도경(高麗圖經)을 보면 개경에 개설한 여관에서 접객을 할 때 상객(上客)에게는 다섯 상(床), 중객(中客)에게는 세 상(상), 하객(下客)에게는 함께 먹게 차린다고 했다.
즉 귀한 손님일수록 음식의 가짓수가 많게 상을 바다야 제대로 대접을 받았다고 믿게 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푸짐한 상차림과 많은 음식을 상위에 차려내는 공간전개형(空間展開形)의 식사 체계는 먹거리가 충분치 않은 사회에서 더욱 강조되었으며 손님과 음식을 대접하는 주인과의 신뢰를 깊게 하고 사회적 권위를 높이는 데에는 적절한 방법이었으나 음식의 낭비와 음식의 제 맛을 보기 위해서는 적절하지 못하였다.
3.3 같이먹는 식습관
한 그릇에 담긴 음식을 여럿이 같이 먹는 식사 습관은 우리의 전통적인 대가족 단위에서라면 음식을 같이 나누어 먹음으로써 가족끼리의 유대감과 결속을 다지는 역할을 한다고 하겠으나, 현대와 같은 개인 중심의 사회와 외부와의 접촉이 빈번한 사회구조에서는 비위생적이고 우리의 식문화를 세계화하는 데 가장 걸림돌이 되는 식습관이라고 할 수 있다.
3.4 외식문화와 음식물의 과소비
1950년대부터 미국에서 크게 성행하여 세계로 확산되어 보편화된 외식산업이 1979년에 우리나라에도 들어오게 됨에 따라 요즘에는 식사로서 패스트 푸드(fast food : 편의식품)를 찾는 경향이 늘고 있다. 이에 더해 바쁜 현대인의 생활과 맞벌이 부부의 증가는 우리의 아침식사 패턴까지도 햄버거나 샌드위치 등 외식으로 해결하는 경우가 많아져 아침이면 온 가족이 밥상에 둘러앉아 오순도순 이야기를 나누며 식사를 하는 우리 고유의 식습관을 파괴하고 있어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오늘날 우리의 식생활에서 또 하나의 만연된 풍조는 소득증대에 따른 식품의 과소비 내지 낭비하는 습관이다. 지난 세월 \"보릿고개\"라 불리는 춘궁기가 있었음을 까마득히 잊은 듯 음식을 과소비하는 풍조가 일고 있다. 이러한 식생활의 풍조는 과학적 근거가 전혀 없는 강장식품, 건강식품 등이 비싼 가격으로 팔리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또 하나 간과할 수 없는 것은 식생활의 사치에 따른 문제이다. 음식점에서 필요 이상으로 많은 음식을 주문하여 다 먹지 못하고 남길 경우, 남은 음식이 그대로 다른 손님의 상에 오를 수도 있으므로 비위생적이고 불결하고, 그것들이 그대로 쓰레기통으로 들어갈 경우 결과적으로 음식값이 비싸지게 되므로 소비자의 부담만 가중되기 마련이다.
4. 현대인의 식습 기호도에 따른 올바른 식생활 문화 신민자: 한국식생활 문화의 어제와 오늘, 국민영양 , 1986
올바른 식생활은 제때에, 다양한 식품들을 골고루, 자신의 체중과 활동량에 알맞게, 싱겁게 그리고 온 가족이 한 자리에 모여 즐겁게 먹는 것이다.
규칙적인 시간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자연적인 식품을 골고루, 과식하지 않고 싱겁게, 가족과 함께 식사하는 것이 올바른 식생활이다.
건강한 내일에의 어렵지 않은 해법! 올바른 식생활에서 찾을 수 있다.
☞ 제때에 하는 식사
신체리듬에 맞춰 규칙적으로 식사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특히 아침식사는 자동차에 시동을 걸 듯이 인체에 시동을 걸어주므로 꼭 챙겨 먹는 것이 좋다.
☞ 우리 농산물로!
우리 농산물은 우리의 기후, 풍토 속에서 우리 체질에 맞도록 생산된 것이다.
우리의 건강과 안전, 경제 발전과 환경보전, 도시와 농촌을 이어주는 믿음의 공동체 형성을 위하여 우리 농산물을 이용하여 우리 몸에 맞는 식생활을 실천해야 하겠다.
☞ 골고루 !
영양소는 한 가지 식품에 균형 있게 함유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종류의 식품에 골고루 포함되어 있으므로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식사를 하려면 다양한 식품을 선택해 부족 되는 영양소가 없도록 해야 한다.
☞ 알맞게 !
표준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 하루에 필요한 적정열량을 섭취하는 것은 비만과 성인병을 예방하는 기본 노력이다.
< 표준체중이란?>
여자 : 키(m) × 키(m) × 21
남자 : 키(m) × 키(m) × 22
예) 키 160cm 인 성인여자의 표준체중은 1.6 × 1.6 × 21 = 53.8kg이다.
키에 따른 성인 남녀 표준체중키(cm)
남(Kkg)
여(kg)
150
155
160
165
170
175
50
53
56
60
64
67
47
50
54
57
61
64
☞ 싱겁게 !
소금의 과잉섭취는 고혈압을 비롯한 순환기계질환의 주요 요인이 된다. 건강을 위해 소금 섭취를 하루 10g 이하로 줄여야 한다.
한국인 평균 하루 소금 섭취량 : 20g
세계보건기구(WHO)권장량 : 10g 이하
생리적 하루 필요 소금량 : 5g
※ 소금을 줄이려면 소금절임·가공·인스턴트 식품의 섭취를 줄이고 외식의 빈도를 줄이는 것이 좋다.
< 소금은 어떤 식품에 많은가?>
소금에 절인 식품 : 젓갈류, 장아찌, 자반고등어, 굴비
훈연·어육식품 : 햄, 소시지, 베이컨, 훈연연어
소금이 많이 첨가된 스낵식품 : 포테이토
그 동안의 낭비적인 식문화가 개선되기 위해서는 우선 우리 식문화의 진정한 의미를 알고 잘못된 부분을 고치도록 해야 할 것이다.
3.1 남기는 식문화
대가족 제도 아래에서의 농경사회였던 예전의 우리 사회에서는 부녀자들의 덕목으로 음식을 항상 넉넉히 장만하여야 잘 산다고 했습니다.
예전에는 상물림이라는 것이 있어서 집안의 웃어른이 식사를 한 뒤에 아녀자들이나 아랫사람들이 이 상을 물려서 남은 음식에 밥과 국만을 추가로 가지고 와서 식사를 했습니다.
웃사람은 음식을 남겨서 다음 사람이 먹을 수 있게 배려를 하였으며 음식을 남김없이 먹어버리는 것은 아랫사람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것으로 여겼습니다. 또한 남는다 해도 여물통에 모아 가축을 기르는 생활양식이 일반화되어 있어 많은 식구와 주위 사람들에게 고루 식사를 하게 하려면 음식 장만을 담당하는 안주인의 손이 커야 잘 산다는 인습이 생기게 된 것입니다.
3.2 과다한 상차림
손님을 대접할 때 상위에 놓이는 음식의 가짓수로 손님 대접의 정도를 나타내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고려도경(高麗圖經)을 보면 개경에 개설한 여관에서 접객을 할 때 상객(上客)에게는 다섯 상(床), 중객(中客)에게는 세 상(상), 하객(下客)에게는 함께 먹게 차린다고 했다.
즉 귀한 손님일수록 음식의 가짓수가 많게 상을 바다야 제대로 대접을 받았다고 믿게 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푸짐한 상차림과 많은 음식을 상위에 차려내는 공간전개형(空間展開形)의 식사 체계는 먹거리가 충분치 않은 사회에서 더욱 강조되었으며 손님과 음식을 대접하는 주인과의 신뢰를 깊게 하고 사회적 권위를 높이는 데에는 적절한 방법이었으나 음식의 낭비와 음식의 제 맛을 보기 위해서는 적절하지 못하였다.
3.3 같이먹는 식습관
한 그릇에 담긴 음식을 여럿이 같이 먹는 식사 습관은 우리의 전통적인 대가족 단위에서라면 음식을 같이 나누어 먹음으로써 가족끼리의 유대감과 결속을 다지는 역할을 한다고 하겠으나, 현대와 같은 개인 중심의 사회와 외부와의 접촉이 빈번한 사회구조에서는 비위생적이고 우리의 식문화를 세계화하는 데 가장 걸림돌이 되는 식습관이라고 할 수 있다.
3.4 외식문화와 음식물의 과소비
1950년대부터 미국에서 크게 성행하여 세계로 확산되어 보편화된 외식산업이 1979년에 우리나라에도 들어오게 됨에 따라 요즘에는 식사로서 패스트 푸드(fast food : 편의식품)를 찾는 경향이 늘고 있다. 이에 더해 바쁜 현대인의 생활과 맞벌이 부부의 증가는 우리의 아침식사 패턴까지도 햄버거나 샌드위치 등 외식으로 해결하는 경우가 많아져 아침이면 온 가족이 밥상에 둘러앉아 오순도순 이야기를 나누며 식사를 하는 우리 고유의 식습관을 파괴하고 있어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오늘날 우리의 식생활에서 또 하나의 만연된 풍조는 소득증대에 따른 식품의 과소비 내지 낭비하는 습관이다. 지난 세월 \"보릿고개\"라 불리는 춘궁기가 있었음을 까마득히 잊은 듯 음식을 과소비하는 풍조가 일고 있다. 이러한 식생활의 풍조는 과학적 근거가 전혀 없는 강장식품, 건강식품 등이 비싼 가격으로 팔리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또 하나 간과할 수 없는 것은 식생활의 사치에 따른 문제이다. 음식점에서 필요 이상으로 많은 음식을 주문하여 다 먹지 못하고 남길 경우, 남은 음식이 그대로 다른 손님의 상에 오를 수도 있으므로 비위생적이고 불결하고, 그것들이 그대로 쓰레기통으로 들어갈 경우 결과적으로 음식값이 비싸지게 되므로 소비자의 부담만 가중되기 마련이다.
4. 현대인의 식습 기호도에 따른 올바른 식생활 문화 신민자: 한국식생활 문화의 어제와 오늘, 국민영양 , 1986
올바른 식생활은 제때에, 다양한 식품들을 골고루, 자신의 체중과 활동량에 알맞게, 싱겁게 그리고 온 가족이 한 자리에 모여 즐겁게 먹는 것이다.
규칙적인 시간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자연적인 식품을 골고루, 과식하지 않고 싱겁게, 가족과 함께 식사하는 것이 올바른 식생활이다.
건강한 내일에의 어렵지 않은 해법! 올바른 식생활에서 찾을 수 있다.
☞ 제때에 하는 식사
신체리듬에 맞춰 규칙적으로 식사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특히 아침식사는 자동차에 시동을 걸 듯이 인체에 시동을 걸어주므로 꼭 챙겨 먹는 것이 좋다.
☞ 우리 농산물로!
우리 농산물은 우리의 기후, 풍토 속에서 우리 체질에 맞도록 생산된 것이다.
우리의 건강과 안전, 경제 발전과 환경보전, 도시와 농촌을 이어주는 믿음의 공동체 형성을 위하여 우리 농산물을 이용하여 우리 몸에 맞는 식생활을 실천해야 하겠다.
☞ 골고루 !
영양소는 한 가지 식품에 균형 있게 함유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종류의 식품에 골고루 포함되어 있으므로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식사를 하려면 다양한 식품을 선택해 부족 되는 영양소가 없도록 해야 한다.
☞ 알맞게 !
표준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 하루에 필요한 적정열량을 섭취하는 것은 비만과 성인병을 예방하는 기본 노력이다.
< 표준체중이란?>
여자 : 키(m) × 키(m) × 21
남자 : 키(m) × 키(m) × 22
예) 키 160cm 인 성인여자의 표준체중은 1.6 × 1.6 × 21 = 53.8kg이다.
키에 따른 성인 남녀 표준체중키(cm)
남(Kkg)
여(kg)
150
155
160
165
170
175
50
53
56
60
64
67
47
50
54
57
61
64
☞ 싱겁게 !
소금의 과잉섭취는 고혈압을 비롯한 순환기계질환의 주요 요인이 된다. 건강을 위해 소금 섭취를 하루 10g 이하로 줄여야 한다.
한국인 평균 하루 소금 섭취량 : 20g
세계보건기구(WHO)권장량 : 10g 이하
생리적 하루 필요 소금량 : 5g
※ 소금을 줄이려면 소금절임·가공·인스턴트 식품의 섭취를 줄이고 외식의 빈도를 줄이는 것이 좋다.
< 소금은 어떤 식품에 많은가?>
소금에 절인 식품 : 젓갈류, 장아찌, 자반고등어, 굴비
훈연·어육식품 : 햄, 소시지, 베이컨, 훈연연어
소금이 많이 첨가된 스낵식품 : 포테이토
추천자료
인스턴트 식품과 발효식품
[웰빙][웰빙족][웰빙식품][웰빙음식]웰빙의 개념, 웰빙의 등장배경, 웰빙의 트렌드, 웰빙족의...
[기능성식품] 시판되고 있는 기능성 식품의 효과와 발전 전망
[식품영양] 식품의 주성분별 종류 조사
[유전자변형식품] 유전자변형식품(GMO)의 안전성에 대한 대책방안
[푸드마케팅]1) 식품표시제와 관련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2) 시판되고 있는 가공식품(다음...
자연은,자연은마케팅전략,웅진식품마케팅전략,웅진식품기업분석,색채마케팅,생육일수마케팅.P...
[사과(능금), 원산지, 세계시장, 식품]사과(능금)의 개념, 사과(능금)의 역사, 사과(능금)의 ...
유기식품 산업의 현황과 우리나라 유기식품 관리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논의
푸드마케팅 1. 식품표시제와 관련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10점) 2. 시판되고 있는 가공식품...
[푸드마케팅]1. 현재 유통되고 있는 가공식품 중 한가지의 일괄표시면, 주표시면, 기타 표시...
건강기능식품 현황과 문제점 및 건강기능식품 발전방안
[농학과] [푸드마케팅 공통] 식품표시제도의 목적과 기능을 설명하시오 가공식품에 대한 정확...
소개글